Second language (L2) peer response literature is defined in part by discourse research, yet there is scant research on text-specific comments, or comments that make explicit text references, thus resisting generic qualities.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was to examine such peer response activities in an English writing course at a South Korean university. The data comprises two essay assignments with peer response conducted between two drafts – as accomplished during class time on the class learning management system (LMS) – as well as the subsequent revisions in second drafts. This paper expands on previous coding schemes accounting for area, nature and type commentary to account for a specificity dimension, and also links these categories to revision practices. While students entertained diverse commenting and revising options, popular practices included generic evaluating or revising local or surface-level concerns. This paper offers implications for modelling response activities as well as for how to better define specific and complex idea construction exhibited during response.
Vygotsky의 인지발달이론은 구성주의 철학을 뒷받침하고 있으므로 그 이론을 현장에 적용하는 것은 학생이 스스로 지식을 구성하는 교육의 실현에 한 발 가까워 질 수 있는 기초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Vygotsky의 비계 설정 이론을 고등학교 경제과 교수-학습 과정에 적용한 후, 비계설정의 효과 및 한계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교수-학습 과정에서의 효과적 비계설정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농촌 소재 인문계 K고등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동료 비계 전략을 활용한 수업을 진행한 후 형성평가와 총괄평가 결과, 효능감과 만족도 검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교수-학습 과정에서 효과적 동료비계 적용을 통해 학습자의 인지적, 정의적 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방안은 학습자의 학습습관(개별학습 선호 또는 동료학습 선호 여부), 학업 성취도에 따른 비계 설정 방법 차별화를 통한 멘토의 효능감과 멘티의 만족감 극대화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eer feedback combined with teacher feedback on L2 writing. From a review of related studies, several factors were selected as predictors of L2 writing proficiency: L2 knowledge and composition skills, L2writing anxiety, and metacognitive knowledge on L2 writing. Participants were 75college students, who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or the control group. Both groups received teacher feedback, while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peer feedback activities, and the control group did self-reflective revision in addi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teacher and peer feedback, timed writing, an L2writing anxiety survey, and evaluation of a sample essay. A statistical analysis revealed differences between teacher and peer feedback. Peer feedback combined with teacher feedback appeared to be beneficial for increasing L2 knowledge and lowering L2 writing anxiety. In the regression analysis, writing anxiety predicted the level of L2 knowledge and composition skills. Based on the findings, implications for L2 writing clas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re presented.
Engl ish as a Foreign Language (EFL) students in traditional second language (L2) writing classrooms are not provided sufficient opportunities for giving and receiving peer feedback. To compensate for this limitation, blended learning has been suggested in the L2 writing classroom.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on peer feedback in blended learning in L2 writing.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atterns of peer feedback and the impact of peer feedback on revisions in blended leaming in L2 writing. The subjects for the qualitative study consisted of three university students, representing low- intermediate,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of English writing proficiency. Data sources included student-produced feedback in online and offline sessions, 18 drafts in process-oriented writing, classroom observations, and the interview. The major fi ndings of the study are as fo llows. First, the students produced more onl ine peer feedback than offline peer feedback. Second, they provided more fonn-focused feedback in online sessions, but more meaning-focused feedback in offline sessions. Third, they incorporated online peer feedback in their second drafts more than offline peer feedback in the final drafts. Based on the findings, implications are considered and suggestions are made for the effective use of peer feedback in blended learning in L2 writing .
목적: 이 연구는 체육수업에 참여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체육교사와 동료의 관계성지지가 학생들의 심리적 욕구, 학습참여와 여가시간 신체활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였다. 방법: 연구 참여자들은 서울 및 경기도 소재 중학교에 재학 중인 1,004명의 학생이다. 연구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체육수업 상황에서 지각하고 있는 교사와 동료의 관계성지지, 심리적 욕구, 학습 참여(학습 목표)와 여가시간 신체활동 의도에 관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신뢰도 분석, 타당도 분석, 상관 분석과 경로 분석을 진행했다. 결과: 체육교사와 동료의 관계성지지는 학생들의 심리적 욕구, 학습참여와 신체활동 의도와 정적 상관 및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무엇보다 동료의 관계성지지는 교사의 관계성지지 보다 학생들의 심리적 욕구, 학습참여와 신체활동 의도와 더 높은 상관 및 예측력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체육수업 상황에서 교사만큼이나 동료의 관계성지지가 학생들의 긍정적인 정서 및 심리적 경험을 유도하는 선행변인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체육수업 및 스포츠 상황에서 교사와 더불어 동료의 영향력에 관한 정보를 교육 현장에 제공하여 실제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대안적 수업 장학의 한 형태인 동료코칭 방식이 중학교 영어 교사의 수업 운영 및 구성에서의 변화와 이에 따른 학생들의 학습 참여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 탐색한다. 코치 를 받은 교사는 자신의 수업을 일 년 동안 총 3회에 걸쳐 비디오로 촬영하고 3명의 코치교사 로부터 수업 코치를 받았다. 코치교사들은 매 코칭 전 수업 동영상을 전사하여 교사와 학생 간 상호작용, 학생과 학생 간 상호작용을 중점적으로 분석한 뒤 코칭 하였다. 또한 온라인 카페를 개설하여 각 수업의 계획과 수업 운영 전반에 관하여 코치교사들이 함께 코칭을 하였다. 매 수 업 마다 코치를 받은 교사로 하여금 자신의 수업에서 잘 된 점과 개선할 점을 중심으로 수업 일지를 작성하도록 하였고 수업 동영상을 함께 관찰하며 코칭 함으로써 스스로 수업 실천의 전 과정을 성찰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여러 자료들을 종합하여 분석한 결과 코치를 받은 교 사의 수업 운영이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교사주도의 정보 전달식 수업 형태에서 조별 학 습 형태를 바탕으로 조별 과업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변화되었고 이는 점차 학생들의 학습 참 여가 높아지는 변화로 이어졌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일회적이고 관행적인 성격을 띤 과거의 장학이 가진 한계를 넘어, 새로운 장학의 모형으로 동료코칭이 가져올 수 있는 긍정적인 효과 를 나타내고 있는바 앞으로의 현직 교사 교육과 통합 적용함으로써 교사의 수업 능력 함양과 최종적으로는 이를 통한 학생의 학업 성취 향상까지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이를 확대 적용할 필요성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는 음악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사 간 협동이 교사 전문성에 미치는 효과가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미국 뉴욕 주에 소재한 대학교의 석사 프로그램에 참여한 7명의 음악교사들이었으며, 연구방법으로 관찰과 심층면접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간 협동의 효과는 크게 세 가지로 찾아볼 수 있었다. 첫째, 많은 음악교사들이 그들의 동료로부터 교사로서 열린 마음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배웠다. 음악교사들은 수업준비 과정에서 이 태도를 적용시켜 그들의 경험이나 사고에 의존하지 않고 새로운 자료나 교수법에 열린 마음으로 다가가도록 노력하는 모습을 보였다. 둘째, 교사 간 협동은 음악교사들의 교수법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음악교사들은 수업의 방향과 다를지라도 학생들의 의견을 존중하고 수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였으며, 학습자 중심의 교수법을 강조하였다. 또한, 수업시간에 교수들로부터 배운 새로운 교수법을 바탕으로 동료교사들의 참신한 아이디어를 활용하여 다양하고 창의적인 음악활동을 개발하였다. 셋째, 음악교사들은 서로 협동하면서 그들이 취약하다고 여기는 교과과정을 재편성할 수 있었고 그 결과, 교사들은 학생들에게 질 높은 교육을 제공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입각하여 본 연구는 교사들 간의 협동이 학교조직 안에서 적극활용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