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작물의 연작재배가 만연한 국내 경작지 중, 특히 인삼재배지는 인삼뿌리썩음병균, 시설재배지는 선충에 의한 연작피해가 매우 심각하며, 주로 화학·생물학 약제로 방제하지만 효과가 낮고 토양오염과 약제저항성 등의 부작용을 유발하고 있음. 모든 살아 있는 병해충은 고온에 저항성이 없는 장점에 착안하여 마이크로파(915MHz) 전력밀도 균일화 응용으로 경작지 토양 30cm 이상 깊이까지 100℃ 이상 침투 가열하는 마이크로파 방제장치 및 방제기술을 개발하여 토양 속에 존재하는 선충, 개미, 인삼뿌리썩음병균에 적용한 결과, 선충은 60℃, 개미는 50℃에서 완전사멸 되었으며, 인삼뿌리썩음병균은 80℃에서 연작 가능한 수치까지 떨어지는 방제 효과를 나타 냄에 따라 농약을 대체하는 방제기술로 평가된다.
콘크리트는 우수하고 뛰어난 내구성에 의해 구조물 건설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재료 중 하나이다. 오늘날 급격한 경제의 발전 및 도시화 등에 의해 오늘날 구조물은 대형화 및 고층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고강도, 고경량, 고내구 콘크리트 개발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나노소재가 첨 가된 콘크리트는 나노소재에 의해 미세공극이 충진되어 강도 및 내구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그러나 기존 나노소재가 적용된 콘크리트는 단위중량이 높아 이를 구조물에 적용시 자중을 증가시키 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입자 직경이 10-100 μm이지만 입자 내부의 공극이 있어 단위 중량이 0.6t/m3인 Micro hollow sphere가 잔골재로 사용된 고경량, 고강도 콘크리트의 염화물 침투 특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실험변수로써 Micro hollow sphere의 잔골재 치환량(0%, 42%, 100%)가 고려되었으며, 이 시편의 단위중량은 각각 2.37 t/m3, 1.89 t/m3, 1.62 t/m3이다. Micro hollow sphere가 사용된 콘크리트의 염화물 침투 특성은 NT-Build 492 시험을 통해 평가되었다. 실 험결과 Micro hollow sphere 치환율이 0%, 42%, 100%인 실험체의 단위중량은 염화이온 확산계수는 각각 4.45 x10-13 m2/s, 2.57 x10-13 m2/s, 1.4x10-13 m2/s로 Micro hollow sphere 치환량이 증 가함에 따라 염화이온 침투 저항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Micro hollow sphere를 이용한다면 단위중량이 작으며 내구성이 큰 고경량, 고내구 콘크리트 배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과 기존 교통수단의 융복합으로 수소자동차, 자율주행자동차 등과 같은 새로운 교통수단 등장으로 광역 이동과 같은 이동성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또한, 보다 빠른 광역 이동성 확보를 위해 BRT 전용차로 도입에 대한 논의가 계속되고 있으므로 본 연구는 BRT 전용차로 구간에서 자율주행자동차의 혼입률 및 대중교통 전환율에 따른 시나리오를 설정해 서비스수준 분석을 기반으로 잉여차로 발생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미래교통량 증가와 자율주행 기술 의 발전이 BRT 전용차로 운영 구간에 미치는 변화를 분석해 도로의 자산가치 산정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설정한 시나리오에서 도로 가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일정한 서비스수준(Level of Service, LOS)를 유지하는 자율주행자동차 혼입률 수준을 파악하였으며, A~F 의 6단계로 구분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도로의 자산가치 산정방법은 국가회계기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토지의 대체적 평가방법 4가 지 방법과 보다 객관성을 확보한 새로운 자산가치 평가방법을 준용하여 도로의 자산가치를 산정하였다. 분석 결과, 간선도로 서비스수 준을 통해 BRT 전용차로를 시행하면서 연속류 구간에서는 자율주행자동차 혼입률이 75%되는 경우 편도 3차로에서 편도 2차로로 1차 로 감소가 이루어져도 현재의 서비스수준을 유지할 수 있으며, 단속류에서는 자율주행자동차의 혼입률이 50%되는 시점에 편도 4차로 에서 편도3차로 1차로 감소 시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연속류 구간에서 자율주행자동차 비율이 75% 및 단 속류 구간에서는 자율주행자동차의 비율이 50%되는 시점에서 1차로에 대한 도로 자산가치가 발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잉여차로는 보행약자를 위한 보행 공간 및 자전거도로, 개인형이동장치((Personal Mobility, PM)전용도로, 완충녹지 등의 완전도 로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해상풍력발전 시장의 성장과 함께 해상풍력발전기 설치 선 시장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해상풍력발전 시장 내 2030년까 지 약 100척의 설치 선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척당 가격이 3,000∼4,000억 원이라서 일반 운반선보다 고부가가치 시장이다. 특 히, 풍력발전기 용량이 11MW 이상의 대형 설치 선의 수요가 커지고 있다. 중국을 중심으로 아시아 해상풍력발전기 시장의 급성장으로 이 지역에서 운용 가능한 설치 선에 대한 발주에 대한 협의가 많다. 아시아권역 대부분의 해저 지질은 지지 반력이 작은 점토층으로 구성되 어 있다. 이러한 특성에 의해서 설치 선이 작업을 위해 수면 밖으로 오르고 내림 시 스퍼드캔(Spudcan)과 레그(Leg)의 관입 깊이가 크게 발 생한다. 연구에서는 최소 3m에서 최대 21m까지 관입 변수를 이용하여 관입 깊이에 따른 고유 진동 주기, 레그의 구조 안전성 평가 그리고 전복 안전성 지수를 평가하였다. 관입 깊이가 증가하면 고유 진동 주기가 짧아지고, 레그의 모멘트 길이가 짧아져서 구조 강도의 여유 치 가 증가한다. 모든 입사각에서 전복 모멘트에 대해 안전하며, 최댓값은 270도에서 발생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검토된 조건들은 연약 지반 에서 설치 선의 운용 절차서를 작성 시 관입 깊이에 따라서 레그를 어떻게 운용해야 하는지 판단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 다. 결론적으로 관입 깊이에 따른 레그 구조 안전성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설치 선의 안전과 직결된 문제이다.
PURPOSES :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congestion mitigation strategy at lane drop bottleneck with low Connected and Automated Vehicle (CAV) penetration. METHODS : The proposed strategy is designed to assign a role of a moving bottleneck to CAVs to reduce low-speed lane changes at bottleneck locations, which are the main cause of bottleneck capacity drop. Through this, it aims to induce proactive upstream lane changes for Human-Driven Vehicles (HDVs,). Therefore, this study includes the control algorithm for CAVs, and the evaluation of the strategy assumes penetration rates of 5% and 10% in a Microsimulation VISSIM environment. The assessment is conducted by comparing the capacity drop and total travel time. Additionally, a sensitivity test for the parameter of the CAV control algorithm, reduced speed, is performed to find the optimal parameter. RESULTS : In this study, three scenarios, a) Base, b) CAV with no control, and c) CAV with control, are design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CAV control strategy. Analysis of segment density and lane change distribution reveals that the control strategy effectively prevented vehicle congestion due to the bottleneck effect. Additionally, the analysis of capacity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bottleneck and total travel time shows the effectiveness of the control strategy. The sensitivity test on CAV control spee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selecting an appropriate speed for maintaining efficient traffic flow. Lastly, as the CAV penetration rate increased, the control strategy exhibited greater effectiveness in mitigating capacity drop. CONCLUSIONS : The proposed strategy is intended for use at low CAV penetration rates and is expected to provide assistance in mitigating congestion at bottlenecks during the early stages of CAV commercialization. Furthermore, since the role of CAV in the strategy can be performed by CVs or even HDVs, it can be applied not only immediately but also in the near future.
In the pressurized water nuclear reactors (PWRs), the upper and bottom head penetration nozzles, the geometric asymmetry of the welded part increases from the center to the outer part,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defects. For this reason, it is important to perform early detection and management through analysis of defects occurring in the welded parts of upper and bottom penetration nozzles of reactor vessel.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operate boat sampling of the welding area because the spacing of the penetration nozzle of the bottom head of the reactor is very narrow. In addition, it is more difficult to collect welded specimens of bottom penetration nozzles by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in a boric acid water environment of nuclear reactor. In this work, to overcoming these technical difficulties, we developed a boat sampling robot system, which is composed of the specimen collection electrode head, borate-mediated discharge electrode and control system. Also, we performed basic performance tests and summarize the results.
PURPOSES : Advancements in science and technology caused by industrialization have led to an increase in particulate matter emissions and, consequently, severity of air pollution. Nitrogen oxide (NOx), which accounts for 58% of road transport pollutants, adversely affects both human health and the environment. A test-bed was constructed to determine NOx removal efficiency at the roadside. TiO2, a material used to reduce particulate matter, was used to remove NOx. It was applied to a vertical concrete structure using the dynamic pressurized penetration TiO2 fixation method, which can be easily applied to vertical concrete structur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NOx removal efficiency of the dynamic pressurized-penetration TiO2 fixation method in a test-bed under real roadside conditions.
METHODS : A test-bed was constructed in order to determine the NOx removal efficiency using the dynamic pressurized penetration TiO2 fixation method on the roadside. The dynamic pressurized-penetration TiO2 fixation method was applied by installing a vertical concrete structure. NOx was injected into the test-bed using an exhaust gas generator. By installing a shading screen, the photocatalytic reaction of TiO2 was suppressed to a maximum concentration of 1000 ppb along the roadside. The removal efficiency was evaluated by measuring NOx concentrations. In addition, illuminance was measured using an illuminance meter.
RESULTS : Fro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NOx removal efficiency in the test-bed which the dynamic pressurized type TiO2 fixation method was applied to, an average removal efficiency ranging from 18% to 40% was achieved, depending on the illuminance. Similar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of the NO removal efficiency, an average of removal efficiency ranging from 20% to 62% was achieved. Thus, the NOx removal efficiency increased when the illuminance was high.
CONCLUSIONS : From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conducted, the efficiency of NOx removal per unit volume was obtained according to the illuminance of TiO2 concrete along an actual road. Field applicability of the dynamic pressurized-penetration-type TiO2 fixation method to vertical concrete structures along roads was confirmed.
최근 신체활동에 대해 인식하는 센서와 그 제품군에 대한 관심 및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유연하고 연신이 가능하 며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웨어러블 소재에 대한 개발이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수성 소재에 Micro Needle을 통해 미세 구멍을 형성한 후 SWCNT 분산용액에 대한 함침 효율을 향상시키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는 구멍을 뚫지 않은 소재를 대조(control) 군으로 함침을 진행, 비교 분석하였다. 센서의 전기전도도를 평가하기 위해 Strain UTM (Universal Testing Machine, UTM, Dacell)과 저항을 측정하는 멀티미터(Keysight)를 이용해 센서를 인장했 을 때의 센서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센서의 내구성을 평가하기 위해 시료별로 500회 인장을 진행한 후에 센서 의 전기전도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Needling을 한 센서의 전기전도성이 Needling을 하지 않은 센서에 비해 최소 16배 이상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센서의 초기 저항에 비해 게이지 팩터도 우수해 센서로서 좋은 성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친수성 소재에 비해 물성이 뛰어나지만, 높은 표면장력 때문에 함침 효율이 좋지 않았던 소수성 소재의 함침 효율을 높여 신체의 움직임을 더 효과적으로 감지하고 내구성과 활용 가능성이 뛰어난 센서를 제작했다.
This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of acute stroke survivors was completed to report our clinical application of the Penetration-Aspiration Scale (PAS), an 8-point multidimensional assessment, used in conjunction with the Video Fluoroscopic Swallow Study (VFSS). In addition, we were interested in determining the association of PAS scores at admission, demographics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with functional recovery (measured by the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IM]) at discharge from an inpatient rehabilitation hospital. There were thirty-five patients that met inclusion and consented. Out of the 35, 34 (97%) were successfully assessed with the PAS with VFSS. Multivariate regression model revealed that the PAS scores, sex, length of stay, and admission FIM score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functional recovery at hospital discharge (all p values < .05). We conclude that the PAS was feasible to administer with VFSS and implement in our inpatient setting. The PAS provided information about the depth of the airway invasion, material remaining after the swallow, and the response to aspiration, which were not reported in a standardized way prior to this study. The association between the PAS and functional recovery at discharge suggests that stroke survivors with swallowing impairment have less functional improvement noted at discharge than those with better swallowing scores. Therefore, people with dysphagia may need additional services and care. Future research should determine if using the PAS can improve clinical practice and ensure consistency across care transitions (expansion), as those with dysphagia may need additional services and care.
Biliary stent migration is one of the late complications of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Most of the biliary stent migration is asymptomatic and successfully managed by stent removal. A 66-year-old man with unresectable pancreatic cancer, common bile duct obstruction, and duodenal third portion obstruction underwent endoscopic plastic biliary stent placement and duodenal uncovered metallic stent placement in two separate sessions. After 3 weeks from the duodenal stenting, he presented with hematemesis. Urgent esophagogastroduodenoscopy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showed hemobilia. The patient recovered with conservative managements. Cross-sectional imagings done 2 months later demonstrated the penetration of the biliary stent into portal vein. Here, we present a case of delayed hemobilia caused by penetration of biliary plastic stent into the portal vein.
본 연구에서는 토양-탄체 간 분리 및 재접촉을 고려한 IFL 기반 침투해석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기존 문헌의 실험결과와 비교하는 연구를 수행했다. 탄체를 강체로 가정한 후, 토양 내로 침투 시 발생하는 구형공동팽창 현상을 고려함으로써 탄체의 궤적을 예측할 수 있다. 토양에 대한 저항함수는 Mohr-Coulomb 항복 모델을 활용했으며, 입사각 혹은 AOA에 따른 J-hook 현상을 모사할 수 있다. 기존 문헌에서의 실험결과(총 6회)와의 비교 결과, 수치해석으로부터 예측한 탄체의 침투 깊이는 실험대비 약 13.4%의 평균오차를 나타냈 다. 일반적으로 탄체의 침투 경로를 예측하기 위해 유한요소법이 널리 활용된다. 하지만, 유한요소법 활용 시, 탄체의 모델링을 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며, 해석 수행을 위해 수 시간이 소요된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모델을 활용할 시, 탄체의 치수 입력만 필 요하며 해석 시간도 수 초 이내이다.
본 연구에서는 피부 보습 및 진정효능을 갖는 비타민 B5인 Pantothenic acid (PA)의 피부 투과율을 개선시키기 위해 고형지질나노입자(SLN)를 설계하였다. SLN은 지질과 유화제의 종류를 변화하여 여러 조성으로 제조하였고, PA는 이중 에멀젼 가온 용융유화법으로 SLN 내에 봉입하였다. 제조 된 PA 봉입 SLN은 입자의 물리화학적 특성인 입자크기, 다분산 지수, 제타전위, 봉입율을 평가하였다. 피부 투과시험의 경우 인체 유래 인조 피부 조직을 사용하였다. 제조 된 PA 봉입 SLN의 입자크기는 192.15 – 369.87 nm이었고, 제타전위는 –21.39 - -40.55 mV이었다. SLN 내 PA의 평균 봉입효율은 44.36 – 57.16%이었고, 평균 봉입율은 12.60 – 16.36%이었다. PA 봉입 SLN의 피부 투과 결과는 SLN을 적용한 제형이 적용하지 않은 PA 용액 보다 약 3.8 – 8.8 배 PA의 피부 투과율이 개선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조 된 SLN은 PA의 피부 투과율을 개선하였음을 보여주었다. 특히, glyceryl behenate와 Span 60을 사용한 SLN이 PA의 피부 투과율이 가장 높은 결과를 보여 주었다.
본 연구에서는 피부 미백 개선 기능성 화장품 소재이자 친수성 소재인 ascorbyl glucoside (AG)의 피부 투과율을 개선시키기 위해 고형지질나노입자(SLN)을 설계하였다. AG는 이중 에멀젼 가온 용융유화법으로 SLN 내에 봉입하였다. 제조 된 AG 봉입 SLN의 입자크기, 다분산 지수, 제타전위, 봉입율등의 입자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피부 투과시험의 경우 인체 유래 인조 피부 조직 모델 중 SkinEthic RHE를 사용하였다. 제조 된 AG 봉입 SLN의 평균 입자크기는 172.65 – 347.19 nm 이었고, 평균 제타전위는 –22.90 - -41.20 mV이었다. SLN 내 AG의 평균 봉입효율은 44.18 – 57.77%이었고, 평균 봉입율은 12.83 – 16.15%이었다. AG 봉입 SLN의 피부 투과 결과는 SLN을 적용하였을 때가 적용하지 않을 때 보다 약 3.7 – 7.4 배 피부 투과율이 개선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조 된 SLN은 AG의 국소약물전달시스템으로 사용하는데 유용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