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taxonomic importance of pollen morphologyin family Malvaceae had long been acknowledged as it pro-vides the basis for palynological and phylogenetic analysis.In present study, polle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var-ious Hibiscus syriacus cultivars were examin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comprehensive evidence onpollen morphology and to determine pollen morphologicaldiversity in cultivars of H. syriacus that would be useful forplant taxonomy and classification. To get a clear insights ofthe pollen morpholog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was carried out. It has been recorded that the pollen diam-eter of 16 cultivars of H. syriacus ranges from 108.81 to172.15 •Ïm. The maximum pollen size was reported fromthe cultivar ‘Chongdansim’ followed by the cultivar ‘Paedal’.The maximum spine exine length was reported from‘Jabae’ (25.29µm) followed by ‘Collie mullens’ (23.25µm),whereas the minimum value was recorded from ‘Paedal’(8.16µm). It is apparent from this study that pollen morphol-ogy of various H. syriacus cultivars was fairly uniform, andin almost all studied cultivars the pollen shape was spheroi-dal. The spines were present in all studied cultivars and var-ied considerably among the cultivars. The pollen spinefeatures presented notable variations which were of greatsignificance at both specific and generic levels, and hasalso been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spine evo-lution within H. syriacus. The maximum distance betweenspines was observed from cultivar ‘Gyewolhyang’ that haddistance of 45.03µm.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pollen studied in this study could be useful in performing amore efficient Hibiscus hybridization and breeding in future.
        4,000원
        2.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능소화를 대상으로 화분형태 및 RAW264.7 대식세포에서의 세포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유해성 여부를 파악하고자 한다.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한 화분 형태를 확인해 본 결과, 화분립 형태는 장구형이고 발아구의 형태는 3공구형이며 화분 표벽 (extine)은 망상의 형태이고 외부로 돌출된 돌기는 관찰되지 않았다. 능소화 70% MeOH 부위별 (꽃, 잎, 줄기) 추출물 및 화밀을 24, 48시간 동안 농도별 (10, 20, 50, 100 μg mL-1)로 RAW264.7 대식세포에 처리한 후 MTT assay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능소화 추출물 및 화밀을 농도별로 24시간 처리하였을 때 모든 농도에서 99.0% 이상의 세포생존율을 보여 세포독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48시간 처리하였을 때 꽃, 잎, 줄기 추출물은 50 μg mL-1농도 이하에서 세포독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화밀의 경우 저농도인 10 μg mL-1부터 농도의존적으로 세포독성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4,000원
        3.
        201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observed the pollen grains and fruits of six Isodon taxa distributed in Korea using a light microscope and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muri thickness on the surface of the pollen grains distinguishes Isodon serra from other taxa: the thickness of I. serra is ca. 0.6 μm, while the thicknesses of other taxa are 0.37~0.49 μm. I. inflexus var. canescens has a relatively nutlet small (about 0.93×0.83 mm) compared to other Korean Isodon taxa (about 1.15~1.37×1.02~1.17 mm). Characteristically, a nutlet of I. inflexus var. microphyllus has non-glandular hairs distributed all over its surface. However, I. serra has non-glandular hairs distributed only on the top of the nutlet while it has glandular hairs broadly distributed over the entire nutlet. We suggested that these characters of the pollen and fruit surfaces can be included in the key to Korean Isodon as diagnostic characters to distinguish the above taxa from other Korean taxa.
        4,000원
        5.
        200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Atractylodes속과 혼용되는 Atractylis속 6분류군의 화분을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본 속의 화분은 단립(monad)으로, 극축의 길이는 46.5-66.7μm, 적도면의 나비는 43.6-60.47μm이 었다. 발아구는 3공구형 (tri-colporate)으로서 , 구구(colpus)의 길이는 19.6-29.1 μm, 나비는 7.3-11.0μm이 었고, 공구의 직경 은 6.4-10.6μm 이었다. 화분벽은 외표벽 (ektexine)은 기저층(foot layer)과 원주층(columellae), 피복층(tectum)으로 구성되고, 두에는 5.2-8.3μm이었다. 화분의 표면 돌기는 자상(echinate)으로서 길이가 1.4-5.8μm이었으며, 단위면적당(No./20μm2) 분포는 6-33개 이었다 본 연구에서 취급된 분류군들의 화분, 특히 Atractylis arabica, A. aristata, A. carduus, A. microcephala의 화분형 태는 Atractylodes속의 화분과 매우 유사하였으며, 따라서 화분에 관련된 형질은 두 속을 구분하는 식별형질로 적용할 수 없었다. 그러나 화분에 관련된 형질이 Atractylodes속에서는 화분의 크기만이 속내 분류군간의 식별형질로서 기여도가 적은 반면, Atractylis속에서는 화분의 크기뿐만 아니라 형태 및 표면무늬와 자상돌기의 크기 등에 있어서 분류군간 의 식별형질로서 적용되어 분류학적 기여도가 다소 큰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취급된 분류군 중 A. cancellata와 A. prolifera는 나머지 분류군들과 달리 자상돌기가 작고 적도면상이 긴 특징은 본속의 화분의 진화경 향성을 파악하는데 매우 유용하였다.
        6.
        199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작약(芍藥) 화분(花粉)의 형웅(形熊)와 화분발아능력(花粉發芽能力)에 관한 실험을 수행(遂行)한 결과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작약(芍藥)의 화분형태(花紛形態)는 주(主)로 장타원형(長楕圓形)이었으며 작약화분(芍藥花粉)의 화분(花粉) 발아률(發芽率)은 71% 정도로 타계통보다 낮은 편이었다. 2. 꽃봉오리 상태에서 화분은 개화 10일전까지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개화전(開花前) 7~9일 부터 관찰되었고 개화기(開花期)가 가까울수록 정상화정비률(正常花精比率)과 화분(花粉) 발아률(發芽率)이 높았다. 3. 작약화분(芍藥花粉)은 화분발아배지(花粉發芽培地)에서 치상(置床) 30분 후(後)부터 발아하기 시작하여 화분관(花粉管)이 신장(伸長)하였으며 약 2시간부터 3시간 사이에서 발아가 거의 완료(完了)되었다. 4. 화분(花紛)의 수명(壽命)은 저장기간(貯藏期間)이 경과(經過)할수록 단축(短縮)되었는데 상온(常溫)저장시 저장 8일에 51%. 15일에 25% 31일에는 전혀 발아되지 않았고 5℃와 -15℃에 15일 저장시는 각각50%, 55%가 발아되었으며 95일 저장에서도 각각 48%와 43%로 높은 발아율을 나타내어 5℃냉장(冷藏)과 -15℃냉동(冷凍)에서는 작약화분(芍藥花粉)의 장기저장(長期貯藏)이 가능(可能)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