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

        1.
        2024.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presents data capturing Korean university students’ familiarity with English online acronyms, examines factors that may predict this familiarity, and presents an explicit instruction intervention involving vocabulary knowledge of online acronyms. The Vocabulary Size Test (VST) measured stude nts’ vocabulary size, while a self-report survey measured social media engagement and the percentage of engagement that occurred in English. The Vocabulary Knowledge Scale (VKS) measured initial familiarity and gains in vocabulary knowledge. The results suggest that English learners in Korean universities are not well-acquainted with English online acronyms, but that receptive vocabulary size and English-language social media engagement may offer some predictive power regarding their level of familiarity. An explicit treatment of acronym expansions and their uses resulted in a significant and robust gain in vocabulary knowledge, suggesting that explicit instruction of online acronyms may improve digital literacy and comprehension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CMC) more effectively than simply relying on incidental gains through repeat exposures over time.
        5,400원
        2.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receptive and productive knowledge of collocations of second language (L2) and heritage speakers of Korean and also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phrasal frequency, exposure to Korean, and phonological short-term memory (PSTM). Seventeen L2 learners and 14 heritage speakers of Korean were tested on 30 Korean noun-verb collocations, which varied in phrasal frequency, using an acceptability judgment task and a collocation completion test.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L2 and heritage speakers demonstrated considerable receptive knowledge of Korean collocations while productive knowledge was more limited for both groups. The mixed-effects modelling results of four independent variables of interest (i.e., phrasal frequency, exposure via media, academic use, and PSTM) showed that phrasal frequency was the only significant predictor of receptive knowledge of collocations for both L2 and heritage speakers; none of the four factor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productive knowledge of collocations for either group. These data are discussed in relation to previous studies on collocation development of L2 learners and heritage speakers.
        6,700원
        3.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음악 공연 무대는 연주자가 해당 음악이 표현하는 생각과 감정을 가창, 음악 공연 등을 통해 관객에게 전달하여 관객으로 하여금 수준 높은 음악적 향연을 즐기게 한다. 그러나 실제 공연 과정에서 많은 요인의 영향을 받아 연주자들은 공연 전, 공연 중, 공연 후에 긴장, 불안, 우울, 두려움과 같은 부정적인 감정을 쉽게 느끼는 경향이 있다1). 이러한 감정은 공연 무대 효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수용적 음악 요법은 주로 치료 받는 사람으로 하여금 수동적으로 음악을 듣게 함으로써 심리적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안정적인 감정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2). 음악 공연 무대에서 수용적 음악 요법의 적용 효과를 탐구하기 위해 본고는 주로 연구 목적 및 의의, 연구 방법 및 범위, 선행 연구, 수용음악 요법 개론, 수용적 음악 요법이 중국 음악 공연 무대 에서의 적용 의의, 현재 중국 음악 공연 무대 주요 문제점, 음악 공연 무대의 긴장 완화와 감정 조절에 있어서 수용적 음악 요법의 역할, 사례 분석이라는 8가지 측면에서 연구를 전개하고자 한다. 본고는 2019년 1월부터 2021년 1월까지 중국에서 음악 공연을 한 15명 연주자들을 대상으로 수용적 음악 치료 전후 긴장 완화 및 감정 조절 효과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한 결과, 수용적 음악 치료 후 연주자들의 감정 상태가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안정되고 좋은 감정 상태를 되찾으며 음악 연주를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되었다.
        5,800원
        4.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wo-fold: (a) to investigate L2 learners’ receptive and productive collocational knowledge concerning the learners’ lexical proficiency levels, and (b) to explore the degree of their productive collocational knowledge. A total of 358 Korean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completed a Vocabulary Size Test, two receptive collocation tests, and one productive collocation test.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re was significance among the scores of three collocation tests. It is also observed that receptive and productive collocational competence tends to increase as L2 learners’ vocabulary size develops. Regarding productive collocational knowledge gain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collocation combinations but no interaction effect was found between combination types and vocabulary level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L2 learners need to be aware of the importance of learning collocational knowledge while teachers need to attempt to help them notice high-frequency collocations that regularly occur in various contexts.
        6,400원
        5.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세기에 들어서서 베토벤을 바라보는 관점은 예술 음악을 이해하는 하나의 패러다임으로 자리 매김해 왔다. 현재 통용 중인 음악사 문헌은 그러한 결과적 베토벤을 소개한다. 하지만 베토벤 상의 형성 과정이나 그것과 결부된 주요 요소들은 자주 간과된다. 본 연구는 베토벤 수용사에 관한 주요 연구물을 중심으로 수용사에 나타난 핵심 관점들을 정리하고, 그것이 현재 통용되고 있는 음악사 문헌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를 살펴본다. 한국의 대학에서 교재로 활용되는 네 개의 음악사 문헌에서는 전반적으로 베토벤 패러다임을 근간으로 하여 베토벤을 소개한다. 하지만 그 역사적 과정이나 관점 도출에 동원된 근거들은 거의 다루지 않고 있다. 이것은 향후 베토벤 수용의 폭과 깊이를 제한하는 장애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베토벤 수용의 전개 상황에 대해 보다 근접하여 소개하는 음악사 문헌을 기대한다.
        6,400원
        6.
        2017.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irect and indirect contributions of Korean EFL college students’ L2 receptive and productive vocabulary knowledge to their L2 writing performances by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alysis with a goal to explore the pathways of vocabulary knowledge to writing. Data from 178 students were collected through tests of receptive and productive vocabulary breadth and depth, a writing test and a reading test. In testing a hypothesized model on the roles of receptive and productive vocabulary in writing, the results of the SEM analysis reveal the direct role of productive vocabulary in writing. The indirect role of receptive vocabulary on writing was observed through the mediating role of productive vocabulary or reading ability due to the direct contribution of receptive vocabulary to both productive vocabulary and reading and that of productive vocabulary and reading to writing. Findings from the study shed light on the relations of L2 receptive and productive vocabulary knowledge with L2 writing abilities, suggesting potential benefits of both receptive and productive vocabulary learning for L2 writing.
        5,800원
        7.
        2013.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article reports on a study that compared EFL freshman university students’receptive and productive recall vocabulary knowledge and their ability to use that knowledge, as it remains unclear in the literature to what extent knowledge of vocabulary, especially productive knowledge, is indicative of learners’ ability to use vocabulary to communicate. The study first measured the vocabulary size of 169students from 24 majors. Next, deeper meaning word knowledge and vocabulary userelated knowledge were assessed by administering depth tests to 51 of the students who completed the size tests. The study found that the participants were able to use only 60.3% of the words that were known receptively and productively on the size tests, and that receptive deeper meaning vocabulary knowledge was 43.0% greater than productive knowledge. Finally, the study results support the concept of a vocabulary knowledge continuum, but highlight the importance of including both receptive and productive knowledge, as they were found to develop in a dissimilar manner.
        6,000원
        9.
        2012.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exical knowledge is an important predictor of second language learning. The present study focuses on aspects of lexical knowledge of Korean elementary (6'h grade) and middle school learners (9'h grade) in connection to learni ng strategies, that is, with regard to vocabulary learning and by investigating the learners' preferred English medium of interest. The learners were asked to complete questionnaires for information on vocabu lary learni ng strategies, and were tested with receptive and prod uctive vocabulalY levels test to assess their vocabulary knowledge.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note differences between the different vocabulary learning strategy groups, and multiple regression was employed to select predictors of learners' receptive and vocabulary knowledge. While the learners did not favor public education (school lessons), private lessons indicated to be the dominant means of learning English among the 6th graders with larger vocabu lalY sizes; the use of the vocabu lary workbook indicated to be a useful resource for the 9th graders. Although movies were popularly viewed by most of the learners, it was tile learners who had been reading books in Engli sh that seemed t.o have obtained larger vocabulary sizes. The findings provide guidelines for vocabulalY instruction in Korea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ontexts .
        6,400원
        10.
        2011.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realization that there is a mismatch between the vocabulary level presented in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 and the required vocabulary size for EFL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learners to take the high-stakes Korean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stimulated the researchers of the present study to administer an assessment of Korean high school learners’ vocabulary sizes. Measurement of vocabulary knowledge was conducted with the adaptation of Nation’s bilingual vocabulary size test, receptive and productive, by improving construct validity of the items. Learners were tested for the 1st ~ 10th 1,000 word bands to ascertain learners’ vocabulary size at each level. The assessment of vocabulary size demonstrated receptive vocabulary knowledge to be as large as 6,000 words. However, unforeseen rises in the EFL learners’ vocabulary sizes at some word bands were observed, which seem to have emerged from the educational milieu and the predominant focus on receptive lexical knowledge and the testing of them. Suggestions are proposed for the revision of word list of the National Curriculum, which would become the blueprint for controlling vocabulary level in the development of national textbooks of English.
        6,700원
        11.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8,000원
        12.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700원
        14.
        201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비장애아동의 장애아동에 대한 수용태도 및 장애아동의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 시하였다. 전라북도 I시에 소재한 M 사회복지시설에 거주하고 있 는 5-6세 장애아동 8명과 동일지역 소재의 일반 어린이집에 재원중 인 5-6세 비장애아동 8명이 참여하였다. 본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2012년 3월부터 6월까지 총 15회기로 주 1회, 평균 40분씩 실시되 었다. 10회기는 텃밭위주의 활동(예: 텃밭준비, 파종하기, 모종심 기, 수확하기 등)으로 5회기는 실내활동(예: 식물심기, 수경재배 등)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의 수용태도 및 언어능력 평가를 위해 프로그램 사전과 사후에 장애아 동에 대한 수용태도와 장애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척도 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비장애아동의 장애아동에 대한 수용태도에 서는 유의한 결과를 얻지 못하였으며, 장애아동의 표현언어능력은 프로그램 후에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아동에 대한 비장애아동의 수용태도에 대한 효과를 얻기 위해 본 프로그램의 수 정 및 보완과 효과구명을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 생각된 다.
        15.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鄭琢은 이황과 조식의 문하에서 수학한 학자이자 관료였다. 그는 이황에게서 心學의 요체를 배워 스승을 중심으로 심화되고 있던 조선 유학의 心學化 현상 의 한 가운데에서 활동하였다. 조식으로부터는 壁立千仞의 기상을 배워 불굴의 절의를 실천하였다. 그의 정신 세계의 원천은 유학의 경전이었고, 그 중에서도 󰡔소학󰡕, 󰡔대학󰡕, 󰡔중용󰡕을 가장 중시하였다. 내용적으로는 경-중용-절의의 세 요소가 서로 유기적으로 연관되어 하나의 체계를 구성한다. 중용과 절의를 최 선의 가치로 본 유가의 철학에 세계와 인간의 신성함에 대한 성찰을 더하면서, 수양에 의한 인격화 및 사회적 확산을 도모하는 도정에 나타난 것이 정탁의 학 문이다. 그의 시대의 사림파들은 도덕으로부터 독립된 利害의 세계를 허용하는 대신 의리론에 입각하여 이해의 세계를 재해석하고, 이해 타산이 아닌 순수한 도덕 감정에 의해, 私心없는 도덕성에 의해 영위되는 삶을 살고자 하였다. 그것 은 일상의 세계를 이상적 도덕 관념과 실천으로 엄밀하게 통제하여 감을 뜻한 다. 이 목표를 이루기 위해 心性論과 理氣論을 검토하고 그로부터 추출된 진리 를 修養論에 의하여 體化하고자 한 것이 이 시대 학자들의 학문이었다. 그러나 이런 흐름의 영향 하에서 도덕적 관념을 일상화하고, 세계와 인간의 본질을 신 성화하는 정탁의 생각은 도덕적 근본주의라고 부를 수 있는 것으로서 세상을 바라보는 아주 좁은 시각이다. 정주학적 세계관과 윤리관의 착근과 순수성에의 몰입은 이념의 경색화와 다른 것이 아니었다. 전기 관학파가 의리와 함께 실리 를 함께 중시하다가 이해의 함정에 빠졌다면, 사림파는 도의의 순정성을 중시 함으로써 일상에 대한 탄력적 대응 능력을 상실하였다. 정탁은 정주학이 이 두 모습을 모두 드러내던 시기에 활동한 학자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