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eld drying remains the primary bottleneck to consistent alfalfa haymaking under Korea’s humid, rain-prone summers. This study evaluated how dry matter (DM) yield and tedding frequency shape seasonal drying trajectories and leaf shatter in Cheonan during 2024.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May, June, August, September, and October 2024 with three DM yield levels (3, 5, and 7 ton/ha) and three tedding regimes (no tedding, once daily, and twice daily). Favorable May–June weather enabled swaths to reach <20% moisture within 100 h, whereas in September–October, moisture commonly remained ≥50%, indicating conditions unsuitable for dry hay. Yield effects on drying were generally small except in August, when re-wetting events accentuated between-group differences. Tedding effects were season-dependent: treatment differences emerged after rainfall in August and were evident in September, with twice-daily tedding producing the lowest moisture among tedding treatments. Leaf dropout rose with greater tedding frequency and higher DM yield; significant tedding effects were detected in June and September, and twice-daily tedding often exceeded no-tedding for leaf losses, particularly at 7 ton/ha. Collectively, omitting tedding is a viable option for May–June hay (4 days to ~20% moisture), while for post-June harvests, tedding offers limited drying benefits and may elevate leaf shatter; ensiling is therefore recommended when drying conditions are suboptimal.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easonal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of two key environmental flow sources for the Gwangju Stream: the Yeongsan River water supply and effluent from a sewage treatment plant. Monitoring data collected between 2019 and 2023 were analyzed for both sources, and field surveys from October 2023 to June 2024 examined confluence points where environmental flows entered the Gwangju Stream, measuring both main-stream and inflow waters. The Yeongsan River supply recorded its highest spring organic matter levels (mean BOD: 5.2 mg L-1; maximum: 8.7 mg L-1), while the sewage treatment plant effluent exhibited pronounced seasonal variation in total nitrogen (T-N), ranging from a summer low of 8.2 mg L-1 to a winter high of 13.8 mg L-1. Upstream water quality remained stable; however, downstream BOD increased annually by 8.2%, and total phosphorus (T-P) peaked sharply in summer (0.567 mg L-1). Field survey results indicated that in spring, T-N increased by up to 495%, BOD by 182%, and T-P by 290%; in winter, T-N rose by 239%, BOD by 164%, and COD by 73%. These findings reveal marked seasonal variability in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flow sources, with T-N showing the most substantial increase in spring. The results highlight the need for targeted nutrient management strategies, such as increasing the proportion of the plant’s effluent in spring to stabilize nutrient loads and improving its biological treatment efficiency in winter to reduce T-N concentrations. Season-specific measures of this kind can improve water quality and help sustain the ecological integrity of the Gwangju Stream.
Pine wilt disease (PWD), caused by the pine 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is a major threat to Pinus thunbergii forests in South Korea. Although climatic conditions are known to affect the spread of PWD, the specific influences of temperature and geography on nematode density and tree mortality remain unclear. This study assessed monthly PWN density and black pine mortality across three regions—two coastal (Geoje and Sacheon) and one inland (Jinju)—from 2021 to 2023. Nematode density and tree mortality consistently peaked in autumn across all regions.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nematode density and tree mortality (r = 0.7468, p < 0.01), while temperature showe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ither variabl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WD severity is more closely tied to nematode activity than to temperature alone, and that regional and seasonal variability must be considered in disease assessment. The findings highlight the need for region-specific monitoring and management strategies that prioritize high-risk periods, particularly autumn, when nematode activity and disease expression are most pronounced. This research provides essential data to support adaptive PWD control programs under changing climatic conditions.
관측 시상은 천체관측을 진행하는데 있어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이 연구에서는 밀양아리랑우주천문대의 평 균 시상이 어느 정도인지, 그리고 그 시상이 계절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밀양아리랑우주천 문대의 0.7m 망원경을 이용해 관측을 2 4회 진행했으며, 그 관측은 2 02 2년 6월부터 2 02 3년 5월까지 진행됐다. 그 결과, 측정된 밀양아리랑우주천문대의 연평균 시상은 3.1"±0.8"이었다. 계절별로는 여름철의 평균 시상이 2.2"±0.3"로 가장 좋 았으며 이어서 봄(2.8"±0.4"), 가을(3.1"±0.7"), 겨울(4.1"±1.1"), 순으로 시상이 좋았다. 이러한 결과는 부산에 위치한 한 국과학영재학교 천지인천문대에서의 시상 계절 변화와 비교해 논의했다. 추가적으로 시상이 풍속 및 미세먼지 농도와 관계가 있는지 조사해 보았으나, 뚜렷한 상관관계는 확인할 수 없었다. 향후에는 시상 관측 자료와 기상 정보를 장기적 으로 종합해, 시상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이 무엇인지 보다 자세히 규명하고자 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seasonal variations in phytoplankton community composition and physicochemical water quality across 90 lakes in South Korea surveyed 2022 to 2024, and examined their relationships with environmental factors. Over the course of four seasons, a total of 952 phytoplankton taxa were identified, with Bacillariophyta (diatoms) and Chlorophyta (green algae) accounting for 64.2% of the total species richness. Diatom species such as Aulacoseira granulata, Fragilaria crotonensis, and Cyclotella meneghiniana were frequently observed regardless of season. In terms of cell density, Cyanophyta were dominant, comprising 85.1% on average, with particularly high summer densities driven by blooms of Microcystis aeruginosa and Aphanizomenon sp. In contrast, diatoms accounted for the highest relative abundance in winter (54.1%).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CCA) revealed that Cyanophyta and Chlorophyta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water temperature, TP, COD, and Chl-a, whereas Bacillariophyta and Cryptophyta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these variabl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Korean lakes are highly responsive to variations in temperature and nutrient concentrations, and that summer rainfall-driven nutrient inflow plays a critical role in triggering cyanobacterial blooms. This study provides a scientific basis for understanding seasonal ecosystem dynamics in Korean lakes and offers foundational data for eutrophication management and the development of biological water quality assessment indices.
최근 국내에 유입된 팔점날개매미충(Ricania speculum)의 발생소장과 발육 단계별 기주식물을 조사하였다. 경기지역에서 팔점날개매미충은 연 1세대 발생하며, 월동 난괴는 6월 상순부터 부화를 시작하였고 7월 중하순부터 우화한 성충은 8월 하순부터 산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팔점 날개매미충 기주식물로 38과 70속 74종이 확인되었으며, 발육 단계별로 기주 선호도의 차이를 보였다. 다양한 기주범위는 팔점날개매미충의 생존 력과 확산에 유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생각되며, 따라서 대응 전략을 선제적으로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easonal variations and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ing soil respiration in Quercus mongolica forests at three distinct sites in South Korea: Mt. Jeombongsan, Mt. Namsan, and Mt. Jirisan. Monthly soil respiration rates were measured from 2009 to 2010 using a closed chamber method, alongside assessments of soil temperature, moisture, and organic matter. Results revealed significant seasonal and spatial variability, with the highest respiration rates recorded during summer months. Soil temperature was identified as the primary driver of respiration, showing strong positive correlations across all sites (R2=0.64 - 0.88). The temperature sensitivity (Q10) values ranged from 2.7 at Mt. Namsan to 5.7 at Mt. Jeombongsan, underscoring the heightened vulnerability of cooler, high-altitude forests to warming. Soil moisture had a dual role, promoting respiration at moderate levels but inhibiting it under saturated conditions, particularly at Mt. Jirisan. Soil organic matter content exhibited an inverse relationship with respiration rates, indicating that substrate quality, rather than quantity, predominantly governs microbial activity. Plant-soil interactions, including root respiration and litterfall decomposition, further modulated respiration patterns, with site-specific differences reflecting variations in vegetation density and ecosystem structure.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complexity of soil carbon dynamics in temperate forests and the critical influence of environmental factors and plant-soil processes. The study provides essential insights for improving carbon cycling models and informs climate-resilient forest management strategies. Future research should prioritize long-term monitoring and experimental manipulations to better predict soil respiration under changing climatic conditions.
본 논고는 주역(周易)의 ‘화수미제(水火未濟)’와 사공도의 『이십사시품』중 ‘유동(流動)’을 중심으로, 동양 철학의 변화와 조화라는 핵심 개념이 문인화를 비롯한 문화예술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해석될 수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주역은 자연과 인간, 그리고 우주 원리를 상징적 언어로 설명하며, 괘(卦)와 효(爻) 의 구조를 통해 변화의 철학을 전개한다. 특히, ‘화수미제’는 불 (火)과 물(水)이라는 대립적 요소가 조화를 이루지 못한 상태를 상징하며, 미완성과 긴장 속에서 창조적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십사시품』의 마지막 품격인 ‘유동’은 물의 흐름을 통해 지 속적 순환과 조화를 강조하며, 동양 철학이 문화예술 전반에서 미학적 가치를 형성하는 데 기여한다. 본 연구는 주역의 상(象), 괘(卦), 효(爻)의 해석 방법론을 기 반으로, ‘화수미제’와 '유동'의 철학적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문인화를 포함한 동양 문화예술에서 변 화와 조화가 창작 과정과 미학적 해석에 어떻게 반영되는지 고 찰하였다. 이와 함께, 본 논문은 동기창의 ‘산수도’와 김정희의 ‘세한도’를 분석하고 윤선도의 시 ‘오우가’를 결합하여 동양 철 학의 변화와 조화의 원리가 문인화 창작 과정에서 구현되는 의 미를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주역의 철학적 원리와 『이십사시품』의 미학적 가치를 문인화 및 동양 문화예술의 창작에 재해석하여, 현대 문화예술 창작에서 새로운 창조적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 다. 향후 연구는 동양 철학적 원리가 문인화를 포함한 문화예 술 전반에 어떻게 확장 적용될 수 있는지 탐구하여, 보다 폭넓 은 학문적 성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종밋 Arcuatula senhousia의 생식생태학적 기초자료와 생물자원의 관리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시료는 벌교읍 여자만에서 2019년 6월부터 2020년 5월까지 채집하여 분석하였다. 생식소는 다수의 생식소형성소낭으로 구성되었다. 성비 (암:수)는 1:1.1 (n=128:140, 암컷 46.4%)였으며, 각장이 증가함에 따라 수컷의 비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생식소지수는 암, 수 모두 5월에 연중 최고값을 보인 후 급격히 감소하여 11월부터 이듬해 1월까지 1.0 이하의 낮은 값을 보였다. 육중량비는 생식소지수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월별 생식소발달단계의 변화는 비활성기 (1-2월), 초기활성기 (3-4월), 후기활성기 (4-5월), 완숙기 (5-6월), 방출기 (6-8월), 퇴화기 (9-1월)였다. 종밋의 생식소 활성은 암컷과 수컷 모두 하계에 높고, 동계에 낮은 뚜렷한 계절적 변화를 보였으며, 주 산란기는 6-8월로 분석되었다. 종밋 개체군의 암컷과 수컷 모두 최소 72.7% 이상이 각장 10.1 mm 이상에서 성숙하였으며, 50% 군성숙 크기는 각장 약 10.0 mm로 분석되었다.
기후 모형에서 해면수온을 정확하게 모의하는 것은 해수면의 에너지 규모를 표현하고 해양-대기 상호작용 내 에너지 균형을 정량화한다는 측면에서 중요하다. 그런데 기후 모형 모의에서 이러한 해수면 온도가 지속적인 오차를 보 이는 몇몇 지역이 있고, 북서태평양은 많은 기후 모형 모의에서 음의 오차를 보이는 지역 중 하나이다. 많은 연구가 이 오차와 관련하여 수행되었지만 대부분은 오차의 연평균 및 앙상블평균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었다. 하지만, 본 연구는 31개 CMIP6 모형의 과거 해면수온을 분석하여 다중 모형 평균 및 개별 모형의 북태평양 오차의 패턴과 그 크기를 계 절별로 분석하였다. 이 음의 오차는 비슷한 공간 분포를 가진 대부분의 CMIP6 모형에서 나타나며 연중 내내 존재한다. 계절별로는 봄(1.7oC)과 여름(1.8oC)에 오차의 크기가 더 크고, 가을(1.3oC)과 겨울(1.2oC)에는 소폭 감소한다. 또한 북서태평양의 여름과 겨울에는 다른 계절에 비해 개별 모형 간의 차이가 더 크다.
본 연구는 국내산 절화류 품질보증 가이드라인 기초자료 제 공을 위해 수행되었다. 국내산 절화류 20품목을 대상으로 소비 단계에서의 계절별 절화수명과 상업용 절화보존제 효과를 조사 하였다. 그 결과, 계절별 절화수명의 차이가 뚜렷했고 사계절 중 여름철에 46.2% 짧아졌다. 또한, 계절과 상관없이 국내산 절화류 20품목의 절화수명 품질보증 기한을 3수준(3일, 5일, 7일 이상)으로 분류 가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