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12주간의 맨손 근력운동 수행이 복부비만 여성노인의 혈청지질, 인슐린 및 C-peptide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운동군(EG, n=13), 대조군(CG, n=13)으로 구분하여 실시하 였다. 맨손근력운동 강도는 주관적 운동 자각도(rating of perceived exertion; RPE)를 사용하였으며, 1-4 주, RPE 12-13, 5-8주, RPE 13-14, 9-12주, RPE 14-15로 설정하여 주 3회, 1회 운동시간 60분 실시하 였다. 자료처리는 측정항목에 대한 평균값(M)과 표준편차(SD)를 산출하였고, 그룹 및 시기 간 상호작용 효 과검증은 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를 실시하였다. 상호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필요에 따라 그 룹 내 시기 간 차이 검증은 paired t-test를 실시하였고, 그룹 간 차이 검증은 independent t-test, 각 항목 별 통계적 유의수준은 통계 방식에 따라 .05와 .025로 각각 달리 설정하였다. 그 결과, TG(p<.01) 및 HDL-C(p<.05)에서 상호작용 효과, 인슐린(p<.05) 및 C-peptide(p<.01)는 시기 간 주효과가 나타났다. 이 상의 결과, 12주간의 운동이 혈청지질 중 TG, HDL-C를 개선이 나타났고, 이는 혈관 및 대사 기능의 측 면에서 매우 중요한 결과라 생각된다. 하지만, 인슐린과 C-peptide에서는 운동군보다 대조군이 더 많이 증 가하여, 맨손근력운동에 대한 긍정적인 개선은 기대하기 힘들었다. 이는 복부비만 여성노인의 나이가 고령 임을 감안하였을 때, 비교적 짧은 저항운동 기간으로는 인슐린과 C-peptide의 변화를 기대하기 힘들다는 점을 시사한다. 하지만, 맨손근력운동은 노인이 부상의 위험없이 실시할 수 있으므로 후속 연구를 통해 다 양한 결과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ated liposome from Discorea rhizoma extract (DRE) in streptozotocin (STZ)-induced, we evaluated changes in body weight, fasting blood glucose, blood insulin and blood lipid concentrations in mice. Mice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DC), diabetic DRE at 10 ㎎/㎏ (DRE-1), diabetic DRE at 50 ㎎/㎏ (DRE-2), and diabetic DRE at 250 ㎎/㎏ (DRE-3). Mice had free access to water and diet (10 weeks). The DC group showed higher blood cholesterol than the DRE-1, DRE-2, DRE-3 groups. In glucose tolerance test, the DRE-1, DRE-2, and DRE-3 groups increased after 30 minutes in decremental glycemic response area under the curve. Fasting blood glucose levels in the DRE groups significantly decreased through 4 weeks. Plasma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LDL-cholesterol concentrations were also lower in the DRE groups. On the other hand, the DRE-1, DRE-2 and DRE-3 groups showed higher HDL-cholesterol and insulin levels than the DC group. Moreover, blood glucose and lipid levels significantly decreased in streptozotocin (STZ)-induced diabetic mice treated with DR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RE may reduce elevated blood glucose levels and serum lipid concentrations in hypoglycemic and diabetic mice, suggesting its usefulness as a functional food.
Marine ω-3 fatty fish가 정상인의 공복 혈당 및 기저 인슐린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Low ω-3 fatty acid군은 3.8g ω-3 fatty acid (EPA 1.0g, DHA 2.8g)를 포함, 약 1, 780kcal/day의 실험식을, high ω-3 fatty acid군은 7.7g ω-3 fatty acid(EPA 2.06g, DHA 5.68g)가 함유된 약 1, 815kcal/day의 실험식을 각각 1주일씩 투여받았으며, 실험 후 체중과 BMI는 두 군 모두에서 약간의 증가를 보였으나, 실험 전, 후의 체중 및 BMI가 모두 정상 범위였다. 공복 혈당농도는 low ω-3 fatty acid군이 실험 전 89.8±7.0mg/dl에서 88.7±8.5mg/dl로, high ω-3 fatty acid군은 91.0±6.6mg/dl에서 89.8±6.7mg/dl로 두 군 모두 약간 감소하였으나, 유의성은 없었으며, 두 군간에 ω-3 fatty acid 투여량에 따른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기저 인슐린 농도는 low ω-3 fatty acid군이 4.02±1.44uU/ml에서 4.54±2.61uU/ml 약 12.9% 정도 증가하고, high ω-3 fatty acid군은 4.97±2.13uU/ml에서 5.19±2.19uU/ml로 약간 증가하였으나, 두 군 모두 유의성은 없었으며, 두 군간에 유의적 차도 존재하지 않았다. 이로 미루어 marine ω-3 fatty acid 투여는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환자에 미치는 영향과는 달리, 정상인에 있어서는 일상적 섭취수준이나 그 보다 비교적 높은 섭취수준에도 glycemic control에 그다지 영향이 미치지 않을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 Insulin-like growth factor 1 (IGF-1) appears to enhance the differentiation of osteoblasts and to activate the mineralization of bone. Henc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inseng complex on the remodeling of rats tibia. Methods and Results : Ginseng complex significantly increased serum IGF-1 by 58% and 34.5% than the control, respectively. Treatment with α-amylase when manufacturing these extracts remarkably increased the concentration of IGF-1 by 63% and 36% above the control, respectively. This ways that this ginseng complex, especially α-amylase treated extracts, contained a higher level of IGF-1 secretion in the ginseng complex groups. In addition, increases of 8% in femuf length were found after 12 weeks of oral administration with ginseng complex (300mg/kg). Conclusion : These results mean that ginseng complex have beneficial effects on bone effects on bone growth via IGF-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