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플라스틱 재료를 사용한 유공관 암거의 품질성능시험을 통해 간척지 농지 범용화에 적용가능 여부를 판단하였다. 직경 30mm, 50mm, 55mm의 폴리에틸렌 재질의 유공관을 사용하였으며, 품질성능평가 항목은 밀도시험, 인장강도시험, 충격강도시험, 투수시험을 실시하였다. 밀도시험결과는 모든 시험편에서 유공관 품질기준인 밀도 0.94g/㎤이상의 결과를 보였으며, 인장강도 시험은 직경 30mm와 직경 55mm는 24.5MPa이상으로 품질기준을 만족하지만, 직경 50mm 유공관에서 24.4MPa로 품질기준인 24.5MPa에 미흡하므로 보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충격강도시험은 모든 시험편에서 파괴도 5미만으로 품질기준을 만족하는 결과를 보였으며, 내면에도 이상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투수시험 결과는 모든 시험편에서 품질기준인 0.1㎝/sec 이하를 만족하는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에 적용한 주름유공관은 간척지 범용농지 에 지하배수암거로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하지만 제품의 공장생산 시 품질관리가 미흡할 소지가 있으므로 현장반입 전 사전품질 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π-ray treated feeds on the growth performance, carcass composition, internal organ weight, and sensory evaluation of broilers. One hundred and eighty broiler chicks were used as experimental animals. These were divided into four treatment groups according to the π-ray treated feed supplement level: 0% (control) 1%, 3%, and 5%. The π-ray treated feed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on the body weight gain (2,484–2,602 g), feed intake (4,747–4,944 g), and feed efficiency (1.90–1.98) in broilers (p>0.05). Also, carcass protein (20.2–20.4%) and fat (4.6–4.9%) contents were not affected. The lengths (178.0, 182.7, 198.0, and 190.3 cm) and weights (38.4, 41.2, 44.2, and 38.9 g/kg of body weight) of the small intestine were slightly but not significantly higher in the π-ray treatments than in the control. Further, there were no overall effect of the π-ray treatment on the abdominal fat pad (2.3, 2.1, 2.1, and 1.8%), and cecum (6.7, 4.0, 5.6, and 6.0 g/kg of body weight) and gizzard (16.8, 15.2, 18.0, and 16.6 g/kg of body weight) weights of the broilers in the present study (p>0.05). The stickiness (2.25, 4.25, 4.50, and 4.38) and flavor (2.44, 4.25, 4.31, and 4.38) of cooked breast meat were higher in the π-ray treatments than in the control (p<0.01). This study also found that, in humans, eating cooked breast meat of broilers that were fed π-ray treated feed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blood circulation in the capillaries. Thu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dietary π-ray treat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ensory evaluation of broilers, without any negative effect on their body weight gain, feed intake, and feed efficiency, and that the consumption of these broilers is beneficial for humans on their blood circulation.
본 연구는 열 스트레스 (heat stress, HS)에 노출된 브로일러에서 혼합 생균제의 급여가 혈 액 생체지표, 면역반응, 맹장 미생물 및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총 400마리의 브로일러 수 컷 (Ross 308)을 각각 100마리씩 4그룹, C (대조군, 실온 25℃), HS (열 스트레스 33℃), HSP (HS플 러스 혼합 생균제 500, 750 mg/kg) 그룹으로 배치하였다. 브로일러의 증체량, 사료섭취, 사료요구율 및 면역기관 무게는 HSP 그룹에서 HS 그룹과 비교했을 때 증가하였다. 혈액 IgG, lymphocytes 농도는 HS 그룹에서 HSP그룹과 비교했을 때 증가하였고, heterophil과 lymphocyte(H:L)비율, 코르티코스테론 농도 및 폐사율은 낮았다. 맹장의 Lactobacillus는 HS 그룹과 비교했을 때 HSP 그룹에서 증가하였으나 Escherichia coli (E. coli), coliform bacteria, aerobic bacteria는 낮아졌다. 본 연구결과는 열 스트레스 에 노출된 브로일러에게 B. subtilis, S. galilaeus 및 Sphingobacteriaceae등 3가지 균주가 포함된 혼합 생균제를 급여해주면 면역반응 증진, 미생물 균형을 유지해줌으로써 폐사율을 낮추고 생산성을 개선할 수 있음을 시사해준다.
본 연구는 열 스트레스 (heat stress, HS)에 노출된 산란계에서 혼합 생균제의 급여가 생산성, 계란품질, 면역반응, 맹장 미생물 및 분 암모니아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총 400마리의 50주령 Hy-Line brown 산란계를 무작위로 각각 100마리씩 4 그룹, C (대조군, 실온 25℃), HS (열 스트레스 33℃), HSP (HS 플러스 혼합 생균제 500, 750 mg/kg)로 배치하였다. 산란계의 생산성, 계란품질, 비장 무게, 혈액 IgG 및 lymphocyte 농도는 HSP 그룹에서 HS 그룹과 비교했을 때 증가하였고, 코르티코스테론, heterophil과 lymphocyte의 비율 (H:L) 및 폐사율은 유의하게 낮았다. Lactobacillus는 HSP 그룹에서 HS 그룹과 비교했을 때 증가하였으나 Escherichiacoli (E. coli), coliform bacteria 및 aerobic bacteria는 유의하게 낮았다. 분에서 암모니아 발생은 HS 그룹이 HSP 그룹에 비해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혼합 생균제가 여름철 산란계의 더위 피해를 방해주고 면역반응, 맹장 미생물 균형을 경유하여 생산성, 계란품질 및 계분으로부터 악취 발생을 줄이는 데 효율적인 영양전략이 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본 연구는 Bacillus subtilis를 포함하는 3개의 균주를 지렁이 분변토에 접종하여 제조한 생균제인 분변토 발효사료가 육계의 사양성적 및 닭고기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육계 240마리를 4개의 처리구로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실험 처리구는 대조구, Lactobacillus fermentum으로 제 조된 상업용 생균제 (CP) 0.2%, 분변토 발효사료 0.3% (FECF3), 분변토 발효사료 0.5% (FECF5)로 구분하였다. 평균 체중 증가량, 흉선, 비장, F낭의 무게는 대조구, CP 처리구와 비교할 때 FECF 처리구가 높았다. 혈액 IgG 함량은 대조구, CP 처리구와 비교할 때 FECF 처리구가 증가하였다. 맹장 Lactobacillus는 대조구, CP 처리구와 비교할 때 FECF 처리구가 높았으나 Escherichia, Salmonella, Coliform bacteria 및 total aerobic bacteria는 FECF 처리구가 낮았다. 닭고기의 보수력은 대조구, CP 처리구와 비교할 때 FECF 처리구가 높았다. 닭고기 n-6/n-3 지방산의 비율은 대조구, CP 처리구와 비교할 때 FECF 처리구가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반추동물용 섬유질배합사료(TMR) 제조업체 의 사료안전관리 인식 및 사료 중 위해인자 오염도를 조사 하기 위해 138개소 TMR 제조시설을 대상으로 약 10개월 동안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표는 총 17개 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얻어진 자료는 기술통계분석, 교차분석 및 신뢰도 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TMR 제조시설의 평균 일 일 생산능력은 81.38톤 이었다. 평균 개업연도는 2004년 및 종사인원은 13.7명이었고, 유통경로는 직접거래가 80.4%로 가장 많았다. 사료안전관리 시스템 도입은 사료안전관리의 제도적 여건이 조성된 후 도입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주를 이루었으며, 사료안전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해서는 사료안 전정보 제공 및 공유가 가장 필요한 조건으로 나타났다. 사료안전성 및 위해물질 관리에 가장 취약한 분야는 곰팡 이 독소인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사료 제조과정에서 가장 위험한 위해인자는 쇠, 파편, 흙 등과 같은 이물질로 나타 났다. 사료 중 위험인자 오염도 조사에서 카드뮴, 비소 및 셀레늄은 허용기준치를 초과한 제품이 일부 조사되었고, 오크라톡신류 및 아플라톡신류는 허용범위내로 조사되었 다. 잔류농약, BSE, 푸모니신 및 살모넬라는 검출되지 않았 으며, 멜라민 및 비단백태질소화합물은 각각 11.35ppm 및 5%로 최댓값을 나타냈다. 규모별 TMR 제조시설의 사료 내 위해인자 오염도는 규모별로 차이가 많았으며, 같은 규 모 내에서도 제조시설에 따라 위해인자의 검출량이 다르 게 나타났다. 또한 소규모에 비해 중규모 및 대규모에서 위해인자 검출량이 더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본 조사결과 TMR 제조시설의 사료안전관리 시스템을 구축하 기 위해서는 사료안전에 대한 정보제공 및 공유가 정책적 으로 제도화되어야 하고, 사료 내 발생하는 곰팡이 독소방 지 및 이물질 제거를 위한 사료관리법의 강화와 원료 공급 처에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장치 도입을 의무화할 필 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The objective of the research was to identify the presence of adiponectin receptors and to study adiponectin action on glucose uptake and growth in mouse mammary epithelial cells. These cells expressed adiponectin receptors, AdipoR1 and AdipoR2. Insulin (10 ng/ml) or insulin like growth factor-I (IGF-I, 10 ng/ml) alone did not alter the degree of AdipoR1 and AdipoR2 genes expression from 0 to 4 h incubation. Prolactin (10 ng/ml) or epidermal growth factor (EGF, 10 ng/ml) alone also did not induce the two genes’ mRNA in the incubation time. Adiponectin (1 μg/ml) alone or pre-incubation of insulin alone (100 ng/ml) for 2 h prior to adiponectin stimulation did not increase 2-deoxy-D-glucose,[1,2-3H] uptake but adiponectin+pre-incubation of insulin significantly increased glucose uptake compare to control (p<0.05). In a similar way, insulin alone or pre-incubation of adiponectin alone (2 h) did not increase glucose uptake but insulin+pre-incubation of adiponectin increased glucose uptake compare to control (p<0.05). Insulin sensitization for 2 h prior to adiponectin stimulation tended to increase glucose uptake response by the following adiponectin stimulation showing small interaction effect between insulin and adiponectin (p<0.1). However, adiponectin sensitization for 2 hours prior to insulin stimulation did not shown interaction effect between adiponectin and insulin (p>0.1). The glucose uptake by both of hormones seems to be not interactive but additive (p<0.05). Adiponectin in the presence of 2% FBS decreased DNA synthesis of mammary epithelia (p<0.05). AICAR (100 or 200 μM), AMPK activator, decreased mammary epithelial cell growth in the presence of 2% FB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diponectin pathway has inhibitory effect on mammary epithelial cell growth.
Antler of deer have been used in Asia as a dietary supplementary or alternative medical substance. The antler contains various biological active substances, including ganglioside has been known to promote growth, bone hyperactivity, immune function, protein synthesis and various pharmacological action. Therefor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ntler on productivity of broiler chicks. Feeding trial has a number of 240 broiler chick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ntler extract (AE) treated feeds on body performance, breast meat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in broilers. Each treatment had 15 chicks with 4 replications. The supplementation level of AE treated feeds was 0.3, 0.6 and 0.9% in the experimental diets.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Average body weight gain was significantly (p<0.05) increased in broilers fed with AE compared to that of control during overall periods. Especially, the body weight gain of 0.9% AE treated chickens showed highly increased by 6.0% compare to the control. Average feed intak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reatments. Average feed efficiency was significantly (p<0.05) improved by 4% in broiler chicks fed with AE compare to that of control. Average breast meat composition and concentration of cholesterol were also not different by feeding the AE. In breast meat characteristics, the shear force (kg/0.5inch2) of breast meat showed similar results in all treatments. The cooking loss of breast meat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chick fed AE than that of control. But the water holding capacity (%) of breast meat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the chicks fed AE than that of control. In breast meat color of chick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all treatments. The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and volatile base nitrogen (VBN) value were not showed different with all treatments. Also, the fatty acids composition of breast meat were showed similar results in all treatments. In conclusion, the dietary feed of AE tended to improve the body weight gain and feed efficiency, but did not influenced breast meat characteristics of broiler chicks
여수는 성곽의 고장이라 할 만큼 석창(석보)성을 포함하여 많은 성곽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더불어 바다가 제공하는 풍부한 문화관광자원 및 먹거리가 풍부한 고장으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이 글은 여수가 가진 역사와 문화의 소산인 석창성을 대상으로 무엇을 보존하고 정비복원할 것인지, 그리고 이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에 대해 간략하게 그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여수 석창성의 정비복원의 기준은 군사적인 기능의 여수석보성에 맞추어져야 하며, 이를 토대로 보존할 것과 정비복원할 것으로 나누어 보았다. 보존대상은 여수 석창성의 체성부 가운데 잔존 상태가 가장 양호한 남문지 서쪽구간의 체성부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 구간은 지대석과 면석을 비롯한 외벽의 양상이 비교적 원형을 유지하고 있어 석창(석보)성의 축조기법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일부는 원형을 보전하고, 일부는 기존의 성벽 상부만 보수하는 형태로 추진하여야 한다. 정비복원 대상은 남문지 서쪽구간의 보존대상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의 성벽을 비롯하여 동·서·남문 등 3개소의 성문지, 적대, 해자, 객사·동헌·내아 등의 주요건물지 등 이다. 여수 석창성의 문화재환경을 고려하여 보호구역, 완충구역, 전시 및 주차공간으로 나누어 정비복원해 나가야 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고군산군도의 해조상 및 군집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7개 정점을 선정하여 2008년 12월부터 2009년 11월까지 계절별 조사를 실시하였다. 고군산군도에서 출현한 해조류는 총 58종으로, 녹조식물 10종, 갈조식물 16종, 홍조식물 32종이 채집 동정되었으며, 그 중 11종은 연중 출현하였다. 평균 생물량은 Sinsido 1 정점에서 213.8 g m-2, Sinsido 2 정점에서 143.1 g m-2, Sinsido 3 정점에서 133.3 g m-2, Munyeodo 정점에서 164.0 g m-2, Seonyudo 정점에서 116.9 g m-2, Jangjado 정점에서 145.1 g m-2으로 Sinsido 1 정점에서 가장 높은 생물량을 보였으며, Sinsido 4 정점에서 최저 생물량을 나타냈다. 생물량에서 우점종은 지충이(Sargassum thunbergii), 구멍갈파래(Ulva pertusa), 톳(Sargassum fusiforme) 및 작은구슬산호말(Corallina pilulifera)이었으며, 지충이는 전 계절에 걸쳐 가장 높은 생물량을 보여 이 지역 대표종으로 확인되었다. 이 지역의 6개 기능형군은 성긴분기형(46.6%), 사상형(27.6%), 엽상형(17.2%), 다육질형(3.4%), 유절산호말형(3.4%), 각상형(1.7%)군으로 구분되었다. 해조류의 지역적 특성의 기준으로 이용되는 C/P, R/P 그리고 (R+C)/P값은 각각 0.33~0.75, 1.11~2.50, 1.47~3.25이었다. 종다양도지수(H')와 우점도지수(DI)로 본 고군산군도의 해조군집 안정도는 '불안정'하고 환경상태는 '나쁜것'으로 나타났다. MDS와 군집분석 결과, Sinsido 2, Sinsido 3, Seonyudo, Munyeodo로 이루어진 그룹, Sinsido 1, Jangjado로 이루어진 그룹, 그리고 Sinsido 4로 이루어진 총 3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으며, 암반이 적어 해조류가 빈약하였던 Sinsido 4는 다른 정점과 유사도에서 차이를 나타냈다.
Osmolarity of culture media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affecting in vitro develop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NA methylation status of Pre-1 and satellite sequence in pig nuclear transfer (pNT) embryos produced under different osmolarity culture conditions. Control group of pNT embryos was cultured in PZM-3 for six days. Other two treatment groups of pNT embryos were cultured in modified PZM-3 with 138 mM NaCl or 0.05M sucrose (mPZM-3, 320 mOsmol) for two days, and then cultured in PZM-3 (270 mOsmol) for four days. Previous our studies have reported that pNT embryos cultured in both hypertonic media showed significantly higher blastocyst formation rate than that of control. The DNA methylation status of the satellite sequences in blastocyst was characterized using bisulfite-sequencing technology. The satellite region had a similar methylation pattern of in vivo blastocyst among two culture groups excepting the control group. Each level of methylation is that the satellite DNA moderately methylated (43.10% of PZM-3; 56.12% of NaCl; 55.06% of sucrose; 60.00% of in vivo embryos). As a result of the sequence of PRE-1, CpG methylation pattern was similar to three groups, including in vivo group. In case of the satellite DNA region, the osmolarity conditions were affected CpG DNA methylation status while PRE-1 sequence was not affected CpG DNA methylation in pNT blastocyst stag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modification of osmolarity in a culture media may influence to spatially change of DNA methylation of repetitive sequence for pNT embryo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