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nhwangsa Stone Brick Pagoda, constructed in 634, is Korea's oldest stone pagoda. As a prototype of the Silla Stone Pagoda, the pagoda was constructed using flagstones. Since it was constructed with flagstones, it has been known to be a pagoda that replicates the brick pagoda until now. The latest research suggests that it copies the India Stupa or the Stacked Stone Pagoda more than the Brick Pagoda. However, the Bunhwangsa stone brick pagoda h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construction technique and shape compared to Brick Pagodas, India Stupas, and Stacked Stone Pagodas. Therefore, it is worth paying attention to the stone building technique used in Silla. Through this study, I would like to clarify that the Bunhwangsa stone brick pagoda is a stone pagoda that creatively reflects the existing Silla stone building techniques such as stone fortresses and stone chamber tombs.
본 연구는 제주 지역에 산재한 방사탑을 풍수적인 측면에서 해석하고 이를 육지 돌탑과의 비교를 통해 제주 방사탑이 가지는 지역적 특수성을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지방문화재로 등록된 제주 6개 지역의 17개 방사탑을 사례로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육지 돌탑은 각종 재앙의 방지, 보허, 수구막이, 조산, 형국 보완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지지만, 제주 방사탑은 보허와 재액방지 등 그 기능 이 비교적 단순하였다. 둘째, 육지 돌탑은 숲이나 나무 등과 혼합된 형태의 비보양상을 보이지만 제주방사탑은 탑 자체만 존재하였다. 셋째, 방사탑의 위 치가 포구가 아닌 마을의 경우 육지와 유사하게 마을 입구에 존재한 반면, 포 구에 위치한 방사탑은 포구 자체를 마을 입구로 상정하고 세워졌다. 넷째, 육 지의 비보가 숲, 돌탑, 연못, 조산 등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으나, 제주 방사탑은 탑만이 존재하는 단순성을 보였다. 다섯째, 육지돌탑은 마을 내부의 기운 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의 사기(邪氣)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등 양면성을 보이고 있으나, 제주 방사탑은 외부의 사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 는 것이 주목적인 단면성을 보이고 있다. 여섯째, 육지 돌탑은 비보와 아울러 제의(祭義)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대부분이나, 제주 방사탑은 제의기능이 없는 비보기능만이 존재하였다. 이는 결국 육지에서 제주지역으로 유입된 돌탑비 보가 제주지역의 지역적 특수성에 의해 선택적으로 또한 해당 지역의 특성을 반영하여 적용된 것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한반도 풍수에서의 비보 역시 제주 지역으로 대표되는 특정 지역에서는 지역적 특수성에 있으며, 이는 풍수적 불 완전성을 극복하고자 하는 제주인들의 풍수적 노력의 산물이라 할 수 있다.
최근 생활방식의 변화로 인하여 실내 생활이 점점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인테리어 자재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인테리어 스톤 제품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산업 폐기물인 슬러지의 발 생도 더불어 증가하고 있다. 발생하는 슬러지는 전량 소각 및 매립되어 처리되고 있으며 환경파괴 및 매립지 부족 등의 문제로 슬러지 처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더불어 최근 건설 현장의 골재 수급은 매우 어려운 상황이며 이는 직접적으로 레미콘의 품질 및 가격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 러한 문제점의 해결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모르타르 내부의 잔골재를 인테리어 스톤 슬러지로 치환 하여 슬러지의 친환경적 재활용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시멘트, 슬러지, 잔골 재, 고유동화제 등을 활용하여 배합비를 설정하였으며, 이에 대한 시험체를 제작 하였다. 잔골재 무게 대비 슬러지는 각각 5, 10, 15, 20%를 치환하였으며, 각 배합에 대한 유동성과 재령별 압축강도를 측 정하였다. 관입저항 실험을 통해 각 시편의 초결과 종결 시간을 확인하였으며 수은압입법을 통해 시편 별 내부의 공극을 측정하였다.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incorporation of eco-friendly materials, namely fly ash and artificial interior stone sludge into cement grouts. The study aims to establish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icrostructural properties and the compressive strength, providing a comprehensive behavior of fly ash and artificial interior stone (AIS) sludge on the cement grouts. A multifaceted experimental approach encompassing compressive strength testing, mercury intrusion porosimetry, thermogravimetric analysis,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is employed. The result indicated that incorporating fly ash and artificial interior stone sludge into cement grouts led to a reduction in the porosity and refinement of the pore size. The thermogravimetry analysis revealed a notable impact of fly ash and artificial interior stone sludge on hydration and phase transition.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indings of the microstructural enhancement confirmed that the combined incorporation of fly ash and AIS sludge densified the structu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damage to cultural assets resulting from vibrations generated by construction vehicle traffic. The cultural heritage's natural vibration frequency was determined to be 150Hz by measurement. The damping ratios were calculated as 4.7% using the logarithmic decrement approach and 4.3% using the half-power method. The vibration measurements obtained during vehicle operation indicated that, despite an increase in vehicle velocity of up to 15 km/h, the vibrations remained below the detectable level of 0.13 mm/sec. When the road is curved and the terrain is sloped, a suitable speed for vehicle operation was found to be around 17 km/h, at which point vibrations were seen. The highest recorded vibration amplitude at this velocity was 0.217 mm/sec, which remains below the stringent regulation limit of 2 mm/sec. Thu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re is no actual harm caused by vibrations.
Stone inscriptions, as one type of excavated literature, have unique functions different from those of traditional literature, and they hold great value for the study of language, script, history, and culture. However, due to various reasons, there are some materials with difficult-to-distinguish authenticity, age, or nature, which cause significant interference in the study of language, script, history, and culture, and also affect the judgments of collectors. Therefore, it is crucial to identify them. This article examines the stone inscriptions of six stone statues in medieval China. Among them, the inscriptions of four of the statues, which date back to the Six Dynasties,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forgeries, half-true and half-false, and errors in recording or omissions by the compiler. Of these inscriptions, this demonstrates the complexity and difficulty of determining the authenticity. This is also why determining the authenticity of the “Statues of Wang Sanniang” is challenging, based on a single piece of evidence. With limited excavated information and other tangible historical records, it becomes necessary to look for clues in other areas. One such suspicious records involves the mention of “Child-giving Guanyin”. This reference, as a singular instance predating the Ming Dynasty, is questionable when considered alongside the premature use of era name before the official announcement of the regime, suggesting a high probability that this inscription is a forgery. The Guanyin statue from the third year of the Renshou of the Sui Dynasty, whether in terms of the inscription’s content or the statue’s type, should not be identified as the “Child-giving Guanyin”. This suggests that the claim regarding the origin of Child-giving Guanyin from the Six Dynasties has lost an important documentary backing, which is worthy of reflection on the current issues in the research regarding the origin and dissemination of the Child-giving Guanyin.
용인 영문리유적 출토 편주형 석도 5점에 대한 사용흔을 분석하여 그 사용 방식을 추정하였다. 분 석 결과 아래쪽 날에 대해서는 기존의 사용 방식을 다시 한 번 입증하게 되었다. 구체적인 사용법은 오른손 중지에 끈을 연결하여 석도를 잡은 다음, 엄지로 벼과식물을 석도에 밀착시키고 검지로 누르 면서 손목을 비틀어 이삭을 따는 형태로 복원되었다. 측면 날에 대한 분석에서는 날을 따라 분포하는 발달된 벼과식물 접촉 광택, 날과 같은 방향의 선상흔 등이 관찰되어, 수확 후 짚 확보나 잡초 제거를 위해 날과 평행하는 방향으로 석도를 움직여 여러 줄기의 벼과식물을 한 번에 자르는 용도가 상정되 었다. 또한 앞뒷면 광택 발달 정도의 차이에 따라 오른손잡이와 왼손잡이의 사용을 구분할 수 있었으 며, 구체적인 사용법으로 직접 석도를 손에 잡고 다른 손으로 벼과식물의 윗부분을 잡은 다음 작업자 의 몸 쪽으로 석도를 당기면서 절단하는 방식이 추정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을 통해 편주형 석도 가 수확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두 가지의 다른 작업에 대응 가능한 다목적 도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대수 석패방은 랴오닝성 흥성에 있으며 명나라 숭정(崇禎) 4년에 칙명을 받들어 건축된 공덕패방이다. 본 연구는 조대수 석패방 인물 이야기 그림을 연구 대상으로 삼고, 사료를 찾아 석각 그림을 분석하여 석각의 내용을 고찰하였다. 조대수 석패 방의 횡방 부분에는 4개의 세트 그림이 있는데, 각각 3개씩 총 12개의 인물 그림이 조각되어 있다. 남쪽 1층 횡방에는 조대수 가 사냥을 갔을 때 몽골군에게 기습당한 적이 있는데, 이로 인 해 조대수가 징벌을 받고 하옥됐다는 이야기가 조각되어 있다. 남쪽 2층 횡방에는 조대수가 각화도(覺華島)로 피신했을 때, 손 승종(孫承宗)이 조대수를 불러서 만리장성을 축조하도록 한 내 용이 새겨져 있다. 북쪽 1층 횡방에는 조대수가 영금대첩(寧錦 大捷)에서 전공을 세운 내용이 담겨 있다. 북쪽 2층 횡방에는 조선 사신의 방문 이야기가 조각되어 있다. 북서쪽에는 조대수 가 잉어약룡문(鯉魚躍龍門)을 차용해 원숭환(袁崇煥)에 대한 감 사를 표현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조대수 석패방에는 석각의 형식으로 조대수의 생애가 묘사되어 있다. 석각의 형식으로 조 대수의 생애를 담아낸 것은, 청나라 말기의 역사를 보여줄 뿐 아니라, 예술적인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한 사료가 된다.
Lactococcus garvieae is a Gram-positive cocci that has been known to be a fish pathogen, and considered as a low virulence organism rarely associated with human infection. We report a case of acute cholangitis with common bile duct (CBD) stone and bacteremia by L. garvieae bacteremia in a 70-year-old male. The patient presented with epigastric pain and was diagnosed with two CBD stones. Blood culture obtained prior to empiric antimicrobial therapy with ceftizoxime sodium showed growth with Escherichia coli and L. garvieae. The bacteria were confirmed by matrix-assisted desorption/ionization 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 Initial attempt at endoscopic biliary drainage failed, and the patient underwent percutaneous transhepatic biliary drainage and subsequent stone removal. He occasionally ingested raw fish and had a history of gastric ulcer with acid suppression therapy, which could be possible risk factors for L. garvieae infection. This is the first case of L. garvieae bacteremia in acute cholangiti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one Angbu-ilgu (scaphe sundial)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and the Seoul Museum of History (SMH). Since the first Angbu-ilgu was produced in Korea in 1434 (the year of the reign of King Sejong), Angbu-ilgu has been reproduced with various materials. The upper surface of these two stone Angbu-ilgus symbolizes the horizon. On the hemisphere concave at the center of the horizon, the South Pole, the time line, and the season line are engraved. On the horizon of both the KMA and SMH Angbu-ilgus, the schematic, typeface, and composition of the inscription completely coincide with each other. In this study, it was estimated that the appearance of the KMA Angbu-ilgu, which was damaged at some point previously at least once, was similar to that of the SMH Angbu-ilgu, and this means that it is superficially similar with Treasure No 840, the stone horizontal sundial. In the concave hemisphere of both the stone Angbu-ilgus of the KMA and SMH, there are hour lines and 24 solar-term lines (13 line), and there is an intersection point where these lines meet the horizon, respectively. It can be verified that these intersections of these two Angbu-ilgus can be calculated as having a latitude of +37°39′15″. The hour lines of the two stone Angbu-ilgus show that they were made after about 1900.
This paper integrates the rubbings of the stone scriptures handed down in Han Dynasty and the newly unearthed stone scriptures in modern times, and compares them with the current version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from the perspectives of Philology and Textual Criticism. A total of 54 groups and 72 articles of variants have been obtained. On the basis of classifying and sorting out the variants, this paper sums up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in the Classic on the stone in the Han dynasty, such as many differences between the characters used in the Analects and the current version, close literary meaning to the current version, more interchangeable words, more changes in mood words. This paper summarizes the language features reflected by these characteristics. Furthermore, this paper makes a preliminary exploration and reflection on the causes of the formation of these variants, and affirms the value of these variants in the understanding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and the study of ancient linguistics.
PURPOSES : In this study, to improve the quality and construction performance of backfill materials for road excavation and restoration, the basic properties of rapid-hardening materials and stone sludge are analyzed to propose an optimal mix design.
METHODS : To utilize rapid-hardening materials and stone sludge as controlled low-strength materials for pipeline construction in downtown areas, specimens were prepared for each compounding condition of fast-hardening materials. Flow, slump, and compressive strength tests were performed at various setting times. Subsequently, the physical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the rapid-hardening backfill material for each mixing factor were analyzed.
RESULTS : When ultrafast hardening cement and stone sludge are used, a setting time exceeding 30 min is required for a water–binder (W/B) ratio of 200% or higher. Considering the economic feasibility of ultrafast hardening cement, a W/B of 300% is considered the most suitable when high-performance superplasticizer and retarders are mixed. A flow test was performed on the rapid-hardening backfill material and the results show that if the mixing time exceeds 10 min, then the fluidity decreases rapidly, which necessitates a higher amount of superplasticizer. When ultrafast hardening cement is used, the initial strength (based on 4 h) is 0.7 MPa or higher for all formulations at a W/B ratio of 300%, and the compressive strength decreases slightly as the amount of superplasticizer is increased by 0.1%.
CONCLUSIONS : Based on the fluidity and strength of the backfill material, which is composed of a rapid-hardening material and stone sludge, the most optimal performance is achieved when ultrafast-hardening cement with a W/B ratio of 300% is used in addition to a highperformance fluidizing agent 0.3% (wt./B) and retarder 0.2% (wt./B).
췌석은 만성췌장염에서 흔히 동반되는 소견으로 반복되는 복통과 췌장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췌석은 췌관 협착과 자주 동반되고 췌관내 박혀 있는 경우가 많아 바스켓을 이용하여 제거하기 어렵다. 체외충격파쇄석술(ESWL)로 치료하기도 하나 반복 시술이 필요하고 성공률도 높지 않았다. 최근에 개발된 SpyGlass™ DS II (Boston Scientific, Marlborough, MA, USA)는 직경이 3.5 mm로 가늘어 췌관이 확장되어 있을 때 안으로 삽입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리고 직접 췌석을 보면서 전기수압쇄석술(EHL)이나 레이저 유도 쇄석술(laser lithotripsy)를 시행하며 췌석을 제거해 볼 수 있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SpyGlass™ DS II와 EHL을 이용하여 10 mm 이상의 다발성 췌석을 제거하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본고는 남한지역의 생활 유구와 분묘에서 출토된 유경식 석검의 속성을 검토해 형식분류하고 이를 통해 지역성 및 전개 양상, 석검의 성격과 기능 추정을 목적으로 하였다. 남한지역을 다섯 개 권역으 로 세분하고, 계측형과 명목형 속성을 검토한 결과, 기존 연구에서 주목했던 경부 길이는 검신부 길이 와 무관하게 2~5.4cm 범위에서 제작되어, 본고에서는 형식분류 기준을 경부 길이가 아닌 경부 형태, 전체 길이, 최대폭 위치로 설정해 11개 형식으로 구분하였다. 방사성탄소연대 측정치와 공반유물을 종합해 지역·형식별 시간성을 검토한 결과 전 지역에서 전기 후반부터 유경식 석검이 등장했고, ⅠA 식 석검이 선호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중기에는 석검의 크기와 경부 형태의 다양성이 확인되었고, 생 활 유구와 더불어 분묘에도 부장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전기 물질문화 전통이 지속되었던 중부, 강 원, 영남 동해안 권역에서는 여전히 생활 유구에서만 사용되었고 분묘 부장 사례는 송국리 문화가 확 산된 권역에서 확인되어, 유경식 석검의 분묘 부장은 송국리 유형의 확산 결과로 이해하였다. 한편 중 부지역은 각형토기 문화권과 형태적 유사성이 높은 Ⅳ형식 석검, 전기부터 9개의 형식이 등장했으나 소멸 양상이 이르게 확인되는 점, 물질문화의 이동 방향을 고려했을 때 남한지역에서 유경식 석검의 확산은 중부지역을 통해 이루어진 것으로 이해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