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구독경제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심리와 행동을 이해하기 위해 구독경제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과 이용습관, 지속이용의도 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소비자의 만족은 구독경제 서비스 이용을 습관으로 강화함으로써 지속이용의도를 높일 것으로 추론하였다. 또한 소비자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확인하고자 구독경제 서비스의 품질요인(플랫폼, 서비스 요인)을 함께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만족에는 플랫폼 최신성과 편의성, 경제성이 정(+)의 영향력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독경제 서비스의 만족은 이용습관을 매개하여 지속이용의도 에 영향을 미치는 것 역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사용의 유지 혹은 반복이 매우 중요한 구독경제 서비스에서 이용습관을 제고할 수 있 는 전략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꽃 정기구독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과 이용 현황 및 선호도를 파악하기 위해 국내 성인 남녀 중 이용자 225명과 비이용자 29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 였다. 대부분의 응답자들은 주로 인터넷과 SNS를 통해 꽃 정 기구독 서비스를 접하였고, 꽃 정기구독 서비스 이용자들은 주로 1~2주에 1회(76.9%), 2~4만 원 가격대(60.4%)의 혼합 된 꽃 상품을 구독하고 있었으며, 대부분 이용 기간은 1년 이 내(84.4%)였다. 꽃 정기구독 서비스를 이용하는 곳은 대부분 집(71.6%)으로, 많은 이용자들이 자기 자신(65.8%)을 위해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었다. 꽃 정기구독 서비스에 대하여 이 용자와 비이용자 모두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이용자 들은 비이용자들에 비해 꽃 정기구독 서비스의 가격이 합리적 이고, 삶의 질이 향상되었다고 응답해, 서비스 장점에 대하여 이용자가 비이용자에 비해 더욱 긍정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p<0.001). 비이용자들은 꽃 정기구독 서비스 단점으로 포장 쓰레기가 많이 나올 것 같고, 신선도가 떨어질 것으로 우려하 였지만, 이와 반대로 이용자들은 그렇지 않다고 응답하였고, 그 외 단점 문항들에 대해서도 서비스 이용 시 크게 불편함을 느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은 꽃 정기구독 서비 스 이용 시 선호하는 상품으로 다양한 꽃이 2~4가지 정도 혼 합된 중간 크기(18~20cm×30~40cm, W×H) 상품을 선호 한다고 응답하였고, 꽃 정기구독 서비스 업체를 선정하기 위 해 고려해야 할 요인으로 이용자와 비이용자 모두 신선도, 꽃 구성, 구매 후기를 중요한 요인으로 응답하였다. 꽃 정기구독 서비스 이용 중 추가로 비용을 지불하면서 이용하고 싶은 서 비스에 대하여 응답자들 모두 절화보존제와 프리미엄 디자인 에 대하여 추가 비용을 지불할 의사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꽃 정기구독 서비스 이용자들은 서비스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업 체가 제공하는 정보나 상품에 대해 신뢰하고 있었고, 꽃 정기 구독 서비스 비용은 합리적이라며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또 한, 본 서비스에 대한 재이용 의사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꽃 정기구독 서비스를 통해 본인을 위한 꽃 소비가 점차 늘어 나고 국내 소비자들의 화훼 소비 형태가 다양하게 변화되었음 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새로운 국 내 화훼산업 시장이 활성화되고, 지속적인 화훼 소비와 국내 화훼 문화의 발전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The subscription model, prominent within the ‘subscription economy’ (SE), is now a popular form of business within many industries. In simple terms, a subscription model entails two parties (customers and firms) entering into an agreement whereby the patron commits to make regular payments to the supplier, who in exchange periodically delivers an agreed bundle of goods and/or services. Although mostly applied within Business-to-Consumer (B2C) markets (e.g. entertainment services, newspapers and media industry, software licences), the subscription model can be found in Business-to-Business (B2B) markets also (e.g. Rolls Royce ‘Power-by-the-hour model’). This unique form of commerce (i.e. committed repeat patronage) creates an altern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buyer and seller to other more traditional forms of business.
Public transportation companies often classify customers into only two classes, i.e. first and second class. This segmentation largely ignores travelers’ needs and may leave heterogeneity within classes. Using a discrete choice experiment, this work investigates if the introduction of dedicated sections based on travelers’ characteristics can provide them additional value.
People prefer a certain gain over an uncertain one (e.g., Kahneman and Tversky 1979; Gneezy, List, and Wu 2006), and uncertainty threatens the perception of personal control (e.g., Simonsohn 2009; Sonsino 2008; Gaucher, Hafer, Kay, & Davidenko, 2010). Nevertheless, research has also showed that under certain circumstances people love uncertainties as “surprises” can add unexpected pleasures to our life (Goldsmith and Amir 2010; Shen, Fishbach, and Hsee 2015). In this research, we examine consumers’ preference for surprise in the subscription services. A typical subscription business offers a “surprise-me” option, where customers receive the package without knowing what items are included, in addition to (or instead of) customers making their own selections (referred to as the “self-selection” option hereafter). Despite the surging popularity of this business model, little is known whether consumers prefer making their own selections or are willingly let providers surprise them. Theoretically, it offers an opportunity to examine consumers’ willingness to relent their control in choice when there are risks involved. Managerially, answers to these questions can help service providers better design the surprise-me option for both operational efficiencies and customer satisfactions. Our key hypothesis is that a sense of personal control is an important condition for consumers’ preference of the surprise-me option in subscription services. Feeling of control serves as a safeguard and thus allows consumers to attend to the pleasures of uncertainty. This also means that in situations where consumers do not feel in control, their preference for the surprise-me option decreases (relative to the in-control condition). This is because, the compensatory control theory (Whitson & Galinsky, 2008; Kay et al., 2008; 2009) suggests that when consumers feel not in control, they tend to compensate by trying to take things into their own hands (e.g., self-select) to regain control rather than relenting control to others (e.g., to be surprised). However, when it is difficult to regain control through self-selection due to choice difficulty (e.g., lack of topical knowledge), they may again prefer surprise as a way to simply delegate the choice (Aggarwal and Mazumdar 2008; Steffel and Williams 2017). Thus, we expect feeling of control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preference of a surprise-me option. We conducted three studies to test this prediction. Overall, the set of studies supported the expected important role of feeling of control. The surprise option is valued only when consumers do not lack the sense of control hence do not need to regain it through choice or the chance of regaining control through choice is low due to choice difficulty (expertise or product assortment characteristics). Our research provides important theoretical contribu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