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형문화재 분야는 AI 스마트 음성 대화 기술 활용에 중요한 분야 중 하나이다. AI 스마트 음성 대화 기술은 무형문화재의 계승과 보호에 기 술 지원을 제공하며 무형문화재의 보급과 촉진을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 공한다. 본 연구는 통합기술수용모형2(UTAUT2)와 기술준비도(TRI) 모형 을 기반으로 의인성 인지, 관계성 인지 변수를 도입하여 무형문화재 앱 AI 스마트 음성 대화 이용자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행동의 요인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무형문화재의 보급, 전시를 위한 이론적 근거 와 실천적 지침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무형문화재 AI 스마트 음성 대화 앱을 사용하는 이용자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정량적 데이터 분 석 방법으로 탐색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높은 노력 기대, 성과 기대, 촉진 조건, 사회적 영향, 쾌락적 동기, 혁신성, 낙관성 및 관계성 인지가 이용자의 사용 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 궁극적으로 이용자 의 사용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증명한다. 반면 높은 불편감, 불 안감, 의인성 인지는 이용자의 사용 의도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 고 이용자의 사용 행동을 자극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음을 증명한다. 또 한, 가격 가치는 사용 의도와 사용 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livelihood is of great significance to improve the livelihood of farmers. It‘s necessary to broaden farmers’ livelihood strategy choice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ourism diversifies livelihoods and improves stability of farmers‘ lives. Taking Yangjiabu Folk Art Park and Red Sorghum Movie City as research objects, this study uses sustainable livelihood analysis framework,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tory observation methods to explore the impac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ourism on sustainable livelihoods, providing reference for rural development in need of enriching livelihood strategies. The research finds that different path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ourism lead to different accumulation of livelihood capital. Therefore, when planning and develop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ourism, rural areas should solve the shortage of livelihood capital brought by different types of development paths, promoting sustainable developmen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ourism and farmers’ livelihoods. Secondly, in the process of rural developmen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ourism, there is a mutual transformation and substitution, mutual influence and restriction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livelihood capital. Rural developmen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ourism needs to consider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livelihood capital, ensuring they can promote each other and coordinate development.
본 연구는 국가유산으로 지정된 꼭두각시놀음 무형문화재 조 사보고서에 수록된 대본을 기준으로 주요 등장 인물, 꼭두각시, 박첨지, 홍동지, 평안감사, 동방삭의 성격과 역할을 분석한 것 으로, 조선 후기 다양한 사당패들에 의해 공연된 각기 서로 다 른 인형극이 옴니버스 형태로 융합되면서 형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964년 무형문화재로 지정받은 꼭두각시놀음은 조선 후기 꼭두각시, 박첨지, 홍동지, 평안감사를 중심인물로 공연된 인형극이 통합된 형태로 볼 수 있다. 둘째, 꼭두각시는 현모양처의 여성상을 대변하는 인물로 자 신의 삶을 주도적으로 결정하는 인물로 순종적이면서도 진취적 인 양면성을 지니고 있다. 셋째, 박첨지는 가부장적 남성 중심 사회에서 허세와 권위 의식에 사로잡힌 인물로, 권위주의적이고 남성중심적인 마초 (Macho) 문화를 상징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넷째, 홍동지는 순박하고 어눌하지만 재리에 밝으며, 자신의 힘을 타인을 위해 사용하는 이타적인 인물로 민초들의 능동적 인 삶을 대변하고 있다. 다섯째, 평안감사는 부정부패의 무지몽매(無知蒙昧)한 권력층 을 상징하는 인물로, 효성이 지극한 양면성을 지니고 있다. 여섯째, 동방삭은 종교 지도자처럼 고난과 어려움을 위로하 는 역할을 하며, 껌벅이와 묵대사로 분화되면서 그의 매력적인 인물 특성은 사라진다. 본 연구 결과는 꼭두각시놀음의 주요 등장 인물들의 성격을 규명하고, 전통 인형극의 복원과 2차 창작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오늘날 관광은 우리의 삶 속에 빼놓을 수 없는 생활패턴이 되었고, 관광자원은 관광지의 중요한 생존요소로서 현지 경제를 빠르게 성장시킬 수 있는 하나의 수단이 되었다. 2006년 이후 일부 중국의 무술 종목들이 중국 국가급 무형 문화유산으로 지정되면서 무술 무형 문화유산이 중국 관광자원의 블루오션으로 부상하였고, 해당 자원의 개발은 중국 관광산업 발전과 우수한 중국 무술문화 확산에 관한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중국의 무술 무형 문화유산 현황과 기본정책을 해석하고 무술 무형 문화유산으로 지정된 권법의 종류와 종목 수, 지역 분포와 관광 가치를 설명하며, 이를 기반으로 중국 무술 무형 문화유산의 개발 현황을 연구하고 무술 문화관광 자원의 현실적 문제를 파악하면서 중국 무술 무형 문화유산의 개발 방안을 보다 심도 있게 연구하였다. 그리하여 무술 무형 문화유산의 국제적 전파 과정에서 참고할 만한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User empathy is a new trend for the inheritance and developmen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the new media era. Better inheritance of the 24 solar terms is not only a design study on its phenology, but also a return to design for innovation. With modern people pay more attention to the emotional experience, the humanized and emotional design is more acceptable. This paper will combine the "24 times telling of flowers wind", combine the unique aesthetic taste of flowers with design, and explore the new expression and interaction of the 24 solar terms caused by users' empathy, which has important reference value for the creation and developmen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현대화와 글로벌화는 사회 전형과 문화 변동을 초래하고 이로 인해 무형 문화재는 전승의 위기를 직면하게 되였다. 중국의 오천년 문명 세례 후 보존된 진귀한 유산으로서 단순히 문화 시스템 자체의 힘으로는 더 이상 진행이 어려워 외부 환경에서 새로운 보완 조치를 모색해야 한다. 애니메이션은 문화 전파의 중요한 운반체의 하나로서 개방성, 민간성, 다양성, 포용성의 특점과 강대한 문화 홍보 능력을 가지고 있어 무형 문화재를 보호하는 현대화 방법과 수단으로 문화 전승의 의무와 책임을 질수 있다.
본 문은 중국의 무형 문화재의 발전을 연구 배경으로 하고 동서방 애니메이션 예술의 차이를 분석 대조하여 중국 애니메이션 예술의 표현 특징 및 외연 발전을 정리하고 중국 애니메이션이 전통 문화와 결합하고 공통 발전하는데 더 적합하다는 관점을 표명하였다. 애니메이션 예술과 중국 전통 문화의 융합 각도에서 상세하게 논술하여 양자의 융합은 대중들에게 문화재 지식을 최대한 직관적이고 생동하게 전파할수 있다는것을 알게 되고 동시에 전통 문화의 정수를 섭취하여 중국 애니메이션 산업의 글로벌 영향을 확대할수 있고 중식 심미를 갖춘 애니메이션 특징을 보완할수 있다. 본 문은 우시 박물원 “자옥금사” 전시관의 실천 연구를 기초로 하여 자사호를 알고 인지하는 응용 스포트웨어 “자옥금사”를 개발 시도하고 360 전경 전시 기술로 서로 다른 형태의 자사호를 전모 전시하며 선묘 애니메이션의 표현 수법으로 자사호의 유지보수 및 선출 절차를 해석하여 중국 무형 문화재의 애니메이션화 변환 및 표현은 가능하다는 것을 논증하였고 이는 중국 전통 문화의 새로운 발전, 새로운 번영에 중요한 조치이다.
오랫동안, “무형문화유산”은 학술계에서 중점적인 연구대상이었을 뿐만 아니라 사회에서도 뜨거 운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문화유산의 보호와 전승(傳承)의 기술에 있어서 뛰어난 방법을 아직 찾 지 못했다. 지금은 역시 전통전인 동영상 촬영과 문자소개, 녹음 등의 수단으로 이를 보호하고 전승 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창의성이 있는 기술수단을 설계와 개발하고, 현재 주류 매체의 전파방식 과 결합해야 하고, 다양한 연령대의 주목을 이끌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무형문화유산의 특징을 전시 할 수 있는 매체의 형식을 개발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본문은 여러 가지 관학지식의 융 합으로 이례를 깨고 새로운 방법으로 무형문화유산의 보호와 전승을 진행하는데 중심을 두고 있다. 연구의 과정 중에서 무형문화유산의 전파 경로의 다양성을 연구 중점으로 하고 무형문화의 원소들을 게임, 애니메이션 등 현재 주류의 전파 매체 속으로 삽입한다. 여기서 우시(无錫)의 자사(紫砂)와 혜산 진흙인형(惠山泥人)을 선출하여 연관된 이론을 엄밀하게 연구하고 이들의 특징과 발전궤적을 분석하여 애니메이션의 원소를 설정하고 상대적으로 완벽한 게임 과 애니메이션의 방안을 기획한다. 최종적으로 우시의 자사와 혜산 진흙인형(惠山泥人)의 모체(母體) 를 무형문화유산의 주제로 애니메이션의 설계를 진행할 것이며 몰입성과 취미성을 더하여 무형문화유 산의 보호 작업을 효율적으로 전개하고 추진한다.
본고에서는 중국의 무형문화유산 보호정책의 형성과정과 특징을 알아보 고, 그 가운데 무속 관련 무형문화유산의 현황과 그 문제점을 살펴보고자 한 다. 2000년대에 이르러 중국에서 국가적 차원에서 과거의 전통문화를 ‘위대 한 중국의 문화유산’으로 재편하는 데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하였고, 유네스 코의 무형문화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무형문화유산의 발굴과 보존 에 집중하여 2011년 현재 국가급 문화유산 1,219건과 성급 문화유산 7,109 건 등 무려 8,328건에 이르는 문화유산을 선정하였다. 중국의 무형문화유산 가운데 무속과 관련된 무형문화유산은 북방의 살만교 계통 무속과 남방의 나계통 무속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북방의 살만교 의례는 이미 사라진 상태 이고 현재는 나계통의 무속의례만 남아있는 실정이다. 나계통의 무속 관련 무형문화유산은 전통무용과 전통희극으로 분류되어 무형유산 목록에 등재 되는데 이 같은 사업은 국가와 지방정부에서 지금도 계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무속 관련 무형문화유산 보호제도는 무속에 대한 중국 사회의 부정적 견해와 편견을 해소하고, 그 문화적 가치를 인식시키는 동시에, 전통문화인 무속의 가치를 고양(高揚)하는 데 기여하였다. 그러나 무속 관련 무형문화유 산을 서민의 삶 속에 뿌리내린 신앙 현상으로 보지 않고, 전통무용과 전통희 극으로 단순 분류함으로써 무속의 특수성을 고려하지 않은 오류를 범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