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반응은 외부 감염원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 고 외부감염원을 제거하고자 하는 주요항상성 유지 기전의 하나이다. 이들 반융은 골수에서 생성되고 비장, 흉선 및 임파절 등에서 성숙되는 면역세포들 에 의해 매개된다. 보통 태어나면서부터 얻어진 선 천성 면역반응을 매개하는 대식세포, 수지상 세포등과 오랜기간 동안 감염된 다양한 면역원에 대한 경험을 토대로 얻어진 획득성 면역을 담당하는 T 입파구 등이 대표적인 면역써포로 알려져 있다. 다양한 면역질환이 최근 주요 사망률의 원인이 되고 있다. 최근, 암, 당뇨 및 뇌혈관질환 등이 생체에서 발생되는 급 • 만성염증에 의해 발생된다고 보고됨 에 따라 면역세포 매개성 염증질환에 대한 치 개발을 서두르고 있다. 또한 암환차의 급격한 증가 는 암발생의 주요 방어기전인 면역력 증강에 대한 요구들을 가중시키고 있다. 예로부터 사용되어 오 던 고려인삼과 홍삼은 기를 보호하고 원기를 회복 하는 명약으로 알려진 대표적인 우리나라 천연생약 이다. 특별히, 홍삼은 단백질과 핵산의 합성을 촉진 시키고, 조혈작용, 간기능 회복, 혈당강하, 운동수행 능력증대, 기억력 개선, 항피로작용 및 면역력 증대 에 매우 효과가 좋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홍삼에 판한 많은 연구에 비해, 현채까지 홍상이 면역력 증 강에 미치는 효과에 때한 분자적 수준에서의 연구 는 매우 미미한 것으로 확인되어져 있다. 홍삼의 투여는 NK 세포나 대식세포의 활성이 증가하고 항암 제의 암세포 사멸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어졌 다. 현재까지 알려진 주요 면역증강 성분은 산성다당류로 보고되었다. 또 한편으로 일부 진세노사이 드류에서 항염증 효능이 확인되어졌으며, 이를 통 해 피부염증 반응과 관절염에 대한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본 연구는 KT&G 연구출연금 (2009-2010) 지원을 받아 이루어졌기에 이에 감사드린다]. 떤역반응은 외부 감염불질의 침입으로 유도된 질 병환경을 채거하고 수복하는 중요한 생체적 방어작 용의 하나이다. 이들 과정은 체내로 유입된 미생물 이나 미세화학물질들과 같은 독성물질올 소거하거 나 파괴하는 것을 주요 역할로 한다. 외부로 부터 인체에 들어온 이물질에 대한 방어 71 전은 현재 두 가지 종류의 면역반응으로 구분해서 설명한다. 즉, 선천성 면역 반응 (innate immunity)과 후천성 면역 반응 (adaptive immunity) 이 그것이다. 선천성 면역반 응은 1) 피부나 점막의 표면과 같은 해부학적인 보 호벽 구조와 2) 체온과 낮은 pH 및 chemical mediator (리소자입, coIlectin류) 등과 같은 생리적 방어구조, 3) phagocyte류 (대식세포, 수지상세포 및 호중구 등)에 의한 phagocyticfendocytic 방어, 그리고 4) 마지막으로 염증반응을 통한 감염에 저항하는 면 역반응 등으로 구분된다. 후천성 면역반응은 획득 성변역이라고도 불리고 특이성, 다양성, 기억 및 자 기/비자기의 인식이라는 네 가지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외부 유입물질을 제거하는 반응에 따라 체 액성 면역 반응 (humoral immune response)과 세포성 면 역 반응 (cell-mediated immune response)으로 구분 된다. 체액성 면역은 침입한 항원의 구조 특이적으 로 생성된 B cell 유래 항체와의 반응과 간이나 대 식세포 등에서 합성되어 분비된 혈청내 보체 등에 의해 매개되는 반응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포성 면 역반응은 T helper cell (CD4+), cytotoxic T cell (CD8+), B cel1 및 antigen presenting cel1 중개 를 통한 세 포간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면역반응이다. 선천성 면역반응의 하나인 염증은 우리 몸에서 가장 빈번히 발생되고 있는 방어작용의 하나이다. 예를 들면 감기에 걸렸을 경우, 환자의 편도선내 대 식세포나 수지상세포류는 감염된 바이러스 단독 혹 은 동시에 감염된 박테리아를 상대로 다양한 염증 성 반응을 유도하게 된다. 또한, 상처가 생겼을 경 우에도 감염원을 통해 유입된 병원성 세균과 주위 조직내 선천성 면역담당 세포들 간의 면역학적 전 투가 발생되게 된다. 이들 과정을 통해, 주위 세포 나 조직이 손상되면, 즉각적으로 이들 면역세포들 (주로 phagocytes류)은 신속하게 손상을 극소화하고 더 나가서 손상된 부위를 원상으로 회복시키려는 일련의 염증반응을 유도하게 된다. 이들 반응은 우 리 가 흔히 알고 있는 발적 (r때ness) , 부종 (swelling), 발열 (heat) , 통증 (pain) 등의 증상으로 나타나게 된 다. 즉, 손상된 부위 주변에 존재하는 모세혈관에 흐르는 혈류의 양이 증가하면서 혈관의 직경이 늘 어나게 되고, 이로 인한 조직의 홍반과, 부어 오른 혈관에 의해 발열과 부종이 초래되는 것이다. 확장 된 모세혈관의 투과성 증가는 체액과 세포들이 혈 관에서 조직으로 이동하게 하는 원동력이 되고, 이를 통해 축적된 삼출물들은 단백질의 농도를 높여, 최종적으로 혈관에 존재하는 체액블이 조직으로 더 많이 이동되도록 유도하여 부종을 형성시킨다. 마 지막으로 혈관 내 존재하는 면역세포들은 혈관 내 벽에 점착되고 (m따ginatio띠, 혈관벽의 간극을 넓히 는 역할을 하는 히스타민 (histamine) 이나 일산화질 소(nitric oxide : NO), 프로스타그린 딘 qπostagladins : PGE2) 및 류코트리 엔 (leukotriens) 등과 같은 chemical mediator의 도움으로 인해 혈관벽 사이로 삼출하게 되어 (exσavasation), 손상된 부위로 이동하 여 직접적인 외부 침입 물질의 파괴나 다른 면역세 포들을 모으기 위 한 cytokine (tumor necrosis factor [TN터 -u, inter1eukin [IL]-l, IL-6 등) 혹은 chemokine (MIP-l, IL-8, MCP-l 등)의 분비 등을 수행 함으로써 염증반응을 매개하게 된다. 염증과정시 발생되는 여러 m때iator 중 PGE2나 NO 및 TNF-u 등은 실험 적 평가가 용이하여 이들 mediator 자체나 생성관련 효소 (cyclooxygenase [CO외 및 nitric oxide synthase [NOS] 등)들은 현재항염증 치료체의 개발 연구시 주요 표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염증 반응은 지속기간에 따라 크게 급성염증과 만성염증으로 나뉘며, 삼출물의 종류에 따라서는 장액성, 섬유소성, 화농성 및 출혈성 염증 등으로 구분된다. 급성 염증 (acute inflamn뻐디on)반응은 수 일 내지 수주간 지속되는 일반적인 염증반응이라고 볼 수 있다. 국소반응은 기본징후인 발열과 발적, 부종, 통증 및 기능 상실이 특징적이며, 현미경적 소견으로는 혈관성 변화와 삼출물 형성이 주 작용 이므로 일명 삼출성 염증이라고 한다. 만성 염증 (chronic 바lammation)은, 급성 염증으로부터 이 행 되 거나 만성으로 시작된다. 염증지속 기간은 보통 4주 이상 장기화 된다. 보통 염증의 경우에는 염증 생성 cytokine인 Thl cytokine (IL-2, interferone [IFN]-y 및 TNF-u 등)의 생성 후, 거의 즉각적으로 항 염증성 cytokine인 π12 cytokine(lL-4, IL-6, IL-lO 및 없nsfotming growth factor [TGF]-ß 등)이 생성되어 정상반응으로 회복된다. 그러나, 어떤 원인에서든 면역세포에 의 한 염증원 체거 반응이 문제가 되면, 만성염증으로 진행된다. 이 반응에 주로 작용을 하는 염증세포로 는 단핵구와 대식세포, 림프구, 형질세포 등이 있다. 암은 전세계적으로 사망률 1위의 원인이 되는 면 역질환의 하나이다. 산화적 스트레스나 자외선 조 사 혹은 암유발 물질들에 의해 염색체내 protooncogene, tumor-suppr않sor gene 혹은 DNA repa퍼ng gene의 일부 DNA의 돌연변이 혹은 결손 등이 발행 되면 정상세포는 암화과정을 시작하게 된다. 양성 세포 수준에서 약 5에서 10여년 후 악성수준의 암 세포가 생성되게 되면 이들 세포는 새로운 환경을 찾아 전이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암환차들은 다양 한 장기에 동인 오리진의 암세포들이 생성한 종양 들을 가지게 된다. 이들 종양세포는 정상 장기의 기 능을 손상시켜며 결국 생명을 잃게 만든다. 이들 염 색체 수준에서의 돌연변이 유래 암세포는 거의 대 부분이 체내 면역시스템에 의해 사멸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계속되는 스트레스나 암유발 물질의 노출은 체내 면역체계를 파괴하면서 최후의 방어선을 무너뜨리면서 암발생에 무방비 상태를 만 들게 된다. 이런 이유로 체내 면역시스템의 정상적 가동 및 증강을 유도하게 하는 전략이 암예방시 매 우 중요한 표적으로 인식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면 역증강 물질 개발을 시도하고 있다. 인삼은 두릅나무과의 여러해살이 풀로써, 오랜동 안 한방 및 민간에서 원기를 회복시키고, 각종 질병 을 치료할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전통 생 약이다. 예로부터 불로(不老), 장생(長生), 익기(益氣), 경신(輕身)의 명약으로 구전되어졌는데, 이는 약 2천년 전 중국의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서 ” 인삼은 오장(五陽)을 보하고, 정신을 안정시키고, 혼 백을 고정하며 경계를 멈추게 하고, 외부로부터 침 입하는 병사를 제거하여주며, 눈을 밝게 하고 마음 을 열어 더욱 지혜롭게 하고 오랫동안 복용하면 몸 이 가벼워지고 장수한다” 라고 기술되어있는 데에 서 유래한 것이다. 다양한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에 서 생 산되는 고려 인삼 (p뻐ax 양lSeng)이 효능 변에 서 가장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별이 고려 인삼으로부터 제조된 고려홍삼은 전세계적으로도 그 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대부분의 홍삼 약효는 없mma職계열의 떠¢뼈loid인 맹E앉K찌d얹 라고 불리는 인삼 saponin에 의해 기인된 것으로 알 려져 있다. 이들 화합물군의 기본 골격에 따라, prot때때없adiol (PD)계 (22종) 및 protopanaxat더이 (PT) 계 (10종)으로 구분되고 있다 (표 1). 실험적 접근을 통해 인삼의 약리작용 이해를 위한 다양한 노력들 이 경주되고 있으나, 여전히 많은 부분에서 충분히 이해되고 있지 않다. 그러나, 현재까지 연구된 인삼 의 약리작용 관련 연구들은 심혈관, 당뇨, 항암 및 항스트레스 등과 같은 분야에서 인삼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면역조절 및 염증현 상과 관련된 최근 연구결과들은 많지 않으나, 향후 다양하게 연구될 효능부분으로 인식되고 있다.
세척 당근에 E. coli O157:H7과 L. monocytogenes를 인위적으로 접종한 후 UV-C 조사 처리에 따른 저장 중 미생물수 변화를 조사하였다. 당근에 접종된 E. coli O157:H7과 L. monocytogenes의 초기 균수가 6-7 log CFU/mL가 되게하였고, 사용된 UV-C 조사선량은 1, 3, 5, 이었으며 조사된 시료는 에서 8일 동안 저장하였다. UV-C 조사는 E. coli O157:H7과 L. monocy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s in a fresh-cut leafy vegetable processing plant were evaluated. Total plate counts of samples collected from the walls, equipment, and raw materials ranged from CFU/100 , CFU/100 , and CFU/g, respectively. No coliforms were detected on walls; however, equipment and raw materials contained coliforms in concentrations ranging from ND (not detected)to CFU/100 and CFU/g, respectively. Additionally, total plate counts for falling and floating bacteria in the processing plant were CFU/plate and , respectively. Pathogenic microorganisms such as Escherichia coli, Salmonella spp, Staphylococcus aureus, or Listeria monocytogenes were not detected on walls, equipment, or raw materials. Over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hygiene control in the fresh-cut processing plant should be improved.
We evaluated the microbiological quality of a facility in which freshly cut onions were prepared. The total plate counts on walls, equipment, and raw materials were ND (not detected) to CFU/100 , CFU/100 , and CFU/g, respectively. No coliforms were detected on walls however, coliforms were detected at concentrations of ND to CFU/100 and CFU/g on equipment and raw materials, respectively. The total plate counts for falling and floating bacteria in the processing plant were ND to CFU/plate and , respectively. Pathogenic microorganisms such as Escherichia coli, Salmonella spp, Staphylococcus aureus, and Listeria monocytogenes were not detected on walls, equipment, or raw materials. Overall,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hygiene control at the fresh-cut processing plant should be improved.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is frequently used for optimization studies. In the present work, RSM was used to determine the antimicrobial activitiesof grapefruit seed extract (GFSE) and a lactic acid mixture (LA)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Pseudomonas fluorescens, and Vibrio parahaemolyticus. A central composite design was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dependent variables on dependent parameters. One set of antimicrobial preparations included mixtures of 1% (w/w) GFSE and 10% (w/w) LA, in which the relative proportions of component antimicrobials varied between 0 and 100%. In further experiments, the relative proportions were between 20% and 100%. Antimicrobial effects against various microorganisms were mathematically encoded for analysis. The codes are given in parentheses after the bacterial names, and were S. aureus (), B. cereus (), E. coli (), S. typhimurium (), P. fluorescens (), and V. parahaemolyticus (). The optimum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1% (w/w) GFSE:10% (w/w) LA mixture against each microorganism was obtained by superimposing contour plots ofantimicrobial activities on measures of response obtained under various conditions. The optimum rangesfor maximum antimicrobial activity of a mixture with a ratio of 1:10 (by weight) GFSE and LA were 35.73:64.27 and 56.58:43.42 (v/v), and the optimum mixture ratio was 51.70-100%. Under the tested conditions (a ratio of 1% [w/w] GFSE to 10% [w/w] LA of 40:60, and a concentration of 1% [w/w] GFSE and 10% [w/w] LA, 70% of the highest value tested), and within optimum antimicrobial activity ranges,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1% (w/w) GFSE:10% (w/w) LA mixture against S. aureus (), B. cereus (), E. coli (), S. typhimurium (), P. fluorescens (), and V. parahaemolyticus () were 24.55, 25.22, 20.20, 22.49, 23.89, and 28.04 mm, respectively. The predicted values at optimum conditions were similar to experimental values.
Trickling filter has been extensively studied for the domestic wastewater treatment especially for the small scale plants in rural area. The performance of the trickling filter depends on the microbial community and their activity in the biofilms on the media. Nitrification, denitrification, and phosphorus removal of the trickling filter from the wastewater depend on the activity and the amount of the specific microorganisms responsible for the metabolism. For the estimation of the performance of a trickling filter, batch nitrification experiment and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FISH) were carried out to measure the microbial activity and its distribution on the media of the trickling filter. Batch nitrification activity measurement showed that the top part of the 1st stage trickling filter had the highest nitrification activity and the maximum activity was 0.002 g NH4-N/g MLVSS․h. It is thought that higher substrate (ammonia) concentration yields more nitrifying bacteria in the biofilms. The dominant ammonia oxidizer and nitrite oxidizer in the biofilm were Nitrosomonas species and genus Nitrospira, respectively, by FISH analysis. Less denitrifiers were found than nitrifiers in the biofilm by the probe Rrp1088 which specifically binds to Rhodobacter, Rhodovulum, Roseobacter, and Paracoccus. Phosphorus accumulating bacteria were mostly found at the surface of the biofilm by probe Rc988 and PAO651 which specifically binds to Rhodocyclus group and their biomass was less than that of nitrifiers.
녹차는 생리활성의 촉진작용뿐아니라 항암, 항산화, 고혈압 억제효과, 체중조절 등 다방면의 약리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아울러, 녹차의 항균 및 항진균 작용에 관한 연구결과도 발표되고 있으나, 항균작용 기작에 접근한 기초 연구는 별로 많지 않다. 본 연구는 식품변패미생물에 대한 녹차추출물의 항균작용을 구명하는 기초자료를 획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녹차추출물의 항균력을 조사한 결과, 이상의 농도에서 뚜렷한 항균활성을 보였고, 광역의
UV-C 조사가 고춧가루의 저장 중 미생물학적 변화와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고춧가루에 UV-C 조사를 27, 54, 으로 처리한 후 에서 4 주간 저장하였다. UV-C 조사에 의해 고춧가루에 존재하는 오염된 미생물 수의 감소는 호기성 세균과 B. cereus에서 대조구 대비 각각 1.03, 0.90 log CFU/g 감소하였으며, 4주 저장기간 동안 초기 감균 효과를 유지하였다. UV-C 조사된 시료의 Hunter L, a, b 값
된장의 영양성과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해양심층수와 protease 고 생산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개량식 된장을 제조하여 다양한 기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Protease 활성은 재래식 된장에서 분리한 DH3을 접종시킨 된장이 (unit/mL/min)로 가장 우수하였다. Protease 활성과 ACE저해 활성은 발효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되었으며 발효 30일 후 된장M과 된장 PD의 동결건조 분말(10mg/mL)의 ACE 저해활성은 각각 , 로 조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세척시간과 세척방법에 따라 처리한 상추의 세척효과와 저장 중 품질 변화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세척시간 설정을 위한 실험을 통해 마이크로버블로 1, 3, 5분간 세척하여 미생물변화, 관능검사, 세척된 정도를 측정한 결과 5분간 처리한 시료가 가장 좋은 결과를 나타냈다. 세척방법에 따라 전처리한 상추의 미생물 변화는 세척처리 한 직후 무세척(CT)구는 4.30 log CFU/g, 손세척(HW)구는 4.10 log CFU
관행재배구의 유기질 비료의 시용이 배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 1970년대부터 소비자의 선호도가 높은 신고 품종 재배가 급증하기 시작하였고, 2002년 현재 전체 배 재배면적의 70%를 차지하고 있다. 추석이 빠를 경우 성숙이 덜된 과일을 수확하여 시장에 출하함으로서 품질이 좋지 않은 과일로 인하여 소비가 둔화되고 가격이 떨어져 동양배를 재배하고 있는 농가의 수입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험은 미생물이 들어있는 유기질비료
관행재배 과원의 토양에 여러 유기질 퇴비를 시비하였을 경우 배 과실의 품질특성의 차이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8년생 신고배에 쌀겨퇴비, 커피박퇴비, 키친퇴비(미생물지킴이(R)) 및 위의 3종 유기질 비료 복합 처리구를 배치하고 주당 10 kg 을 시비하였고, 대조구는 화학비료를 주당 60 g 시비하였다. 과실당도나 경도, 산도에서는 복합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높았고 석세포 함량은 모든 유기질 비료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낮았다. 과피와 과육에서의 D
본 연구에서는 새싹종자 소독처리 여부에 따른 재배기간별 미생물 오염도 수준을 파악하고, 종자소독이 발아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수입산 새싹종자 알팔파(alfalfa), 브로콜리(broccoli), 클로버(clover), 적양배추(red cabbage), 적무(red radish) 5종에 대하여 소독제 처리 여부에 따른 발아율과 재배기간별 미생물 분석을 실시하였다. 소독제 종류에 관계없이 새싹종자(알팔파, 클로버, 적무)는 48시간 후 90
수산 가공 부산물인 자숙액을 식품 및 공중보건 소재로 이용하기 위해 자숙액의 위생화를 위한 감마선 조사기술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톳, 참치 및 굴 자숙액을 시료로 하여 1-5 kGy의 감마선을 조사하여 미생물 생존율을 측정하였고 생존미생물을 동정하였다. 굴 자숙액에서는 호기성 미생물이 검출되지 않았으나, 톳 및 참치 자숙액에서는 약 6.4 및 3.1 log CFU/g의 호기성 미생물이 검출되었고,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른 미생물 수에는 유의
이 연구의 목적은 대구 경북지역 초등학교에 공급되는 냉장, 냉동유통 제품인 어육류와 냉동가공제품의 유통단계를 분석하고, 유통과정에서의 미생물 변화와 학교급식에 이용되는 식재료의 미생물 품질 평가를 위하여 실시되었다. 쇠고기와 돼지고기는 가공업체에서 학교로 냉동차량을 이용하여 직배송 되었으나 다른 어육류와 냉동가공제품들은 농산물과 함께 직납업체를 거쳐 냉장()으로 혼재 배송되고 있었다. 학교 도착 후 일반세균과 대장균군의 수는 각각 절단생선 ,
돔배기 육, 연골 및 껍질의 저장 중 총균, 대장균 및 병원성미생물의 생육에 미치는 chitosan-ascorbate(CA)(0.01%) 및 모려(10 ppm)의 처리효과를 조사하였다. 에서 6일간 저장한 결과 대조구의 경우 총균수는 육, 연골 및 껍질에서는 각각 4.24, 3.81, 2.20 log cycle이 증가하였으나 CA처리구는 육에서는 2.66 log cycle이, 연골에서는 2.37 log cycle이, 껍질에서는 1.24 log 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