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2018년 작물보호분야 공동 국제학술대회 (2018년 10월) 380

Special Issue Symposia II

41.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hosphine (PH3) resistance in the stored-products insect pests has been reported throughout the world in various insect species, including Rhyzopertha dominica, Tribolium castaneum, and Cryptolestes ferrugineus, leading farmers and fumigators to identify new fumigation tools to control PH3-resistant insect pests in storage facilities. Understanding PH3-resistance mechanisms in insects might contribute to providing clues for the development of new chemicals, including fumigants, to control various PH3-resistant insects. A proteomic study has shown 15 decreased proteins in the PH3-resistant R. dominica (CRD343 strain) in comparison to the PH3-susceptible R. dominica, and among those 15 proteins, dihydrolipoamide dehydrogenase (DLD), a protein involved in the Krebs cycle, was identified (Park et al., 2008). The DLD polymorphisms responsible for genetic resistance have disulfide active sites for PH3 binding and are highly sensitive to arsenic exposure after mutagenesis in insects (R. dominica and T. castaneum) and Caenorhabditis elegans (Schlipalius et al., 2012). Here, two PH3- resistant S. oryzae strains were used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 of PH3 resistance in these insects. Acute toxicity test by PH3 on the two PH3-resistant strains was undertaken followed by ethyl formate inhibition study on cytochrome c oxidase activity. The Lineweaver-Burk plots after inhibition studies showed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 in inhibition mode between the resistant strains and the control. The RT-qPCR analysis and the next-generation sequencing of the mitochondrial DNA revealed significant changes in metabolism and energy production. Taken together, the PH3 resistance in S. oryzae was definitely acquired by the overall transformation of biochemical reactions to overcome PH3 toxicity.
42.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respiration rate of PH3 susceptible strai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resistant strain. The results showed no significant effect of oxygen level on the respiration rate of both strains. Phosphine reduced the respiration rate of both strains when it was applied in average concentrations. However, the rate of respiration of the resistant beetles increased significantly under a high level of phosphine. The increase of respiration rate was associated with the higher emission of VOCs which prove the acceleration of metabolic processes to face the phosphine action for survival. Flat grain beetle Cryptolestes pusillus and rusty grain beetle C. ferrugineus are similar insect species, but only C. ferrugineus is capable to develop a high phosphine resistance. A direct immersion solid phase microextraction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DI-SPME-GCMS) technology has identified the different fatty acids from PH3 resistant and susceptible strain of Tribolium castaneum.
43.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rradiation at doses less than 1 kGy is an effective phytosanitary measure with minimal adverse effects on the quality of most fresh produce. There are internationally recognized guidelines for the use of irradiation as a phytosanitary measure and for the conduct of trade in irradiated fresh produce. A generic dose of 150 Gy is internationally recognized as sufficient to ensure the sterility or inability to reproduce of all fruit flies of the family Tephritidae on all hosts. Irradiation offers a cost-competitive, non-chemical alternative to several other phytosanitary measures and can be used to decrease dependence on fumigation with methyl bromide. In the last decade trade in irradiated fresh produce has increased steadily with over 20,000 tonnes traded in 2015. The US and New Zealand are the main importing countries and main exporting countries are Mexico, Australia, Vietnam, Thailand and India. Many different irradiated fruits are traded with guava, mango, sweet potato and dragon fruit pre-dominant. Several issues present barriers to the wider adoption of phytosanitary irradiation including the 1 kGy limit, labeling requirement, the limited number of country approvals, and restrictions on the use of modified atmosphere. The development of small-scale cabinet style x-ray machines could provide farmers and packinghouses with in-house treatment capability, and accelerate adoption of the technology.
44.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Effective phytosanitary fumigation can prevent the introduction of exotic insects into new areas where they become pests. Traditionally Probit 9 level control (99.9968%) was considered as a stand-alone quarantine treatment. However, unacceptable phytotoxic damage often associated with high-dose treatment to realize Probit 9 level control of a large number of pests has often restricted its practical application. Therefore, quarantine security is being achieved for some commodities using a “systems approach”, where quarantine pests are cumulatively reduced to acceptable levels using independent, pre- and postharvest measures that comprise a systems that effectively mitigate the pest. Preharvest reductions in population through the study and application of chemical ecology involving insect behavior modifying chemicals can be an integral part of systems approach. This results in low pest prevalence prior to end point treatment, where pests may be effectively controlled using a less-than-Probit 9 level, low-dose treatment. In this talk, I discuss the chemical ecology of invasive quarantine pests including Drosophila suzukii and its perspective in the effective end point fumigation treatment using ethyl formate.
45.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overall goal of this USDA-ARS research is to ensure the protection and quality of stored product foodstuff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directly enhance production, distribution, and safety of foodstuffs, promote and retain access of United States-grown crops to domestic and foreign markets, and protect the United States and trading partners from the agricultural, ecological, and economic threat posed by quarantine and invasive pests. In general, USDA-ARS research related to the fumigation of stored products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techniques to rapidly disinfest raw products of field pests, control pests in processed products amenable to re-infestation and microbial infection, and reduce reliance on fumigation as a stand-alone measure for postharvest disinfestations and disinfections. Specific research objectives include: comparative evaluation of alternative fumigants to methyl bromide in postharvest applications, development of novel technologies to reduce and eliminate atmospheric emissions from chambers used in postharvest fumigation, and design production strategies that allow for a more strategic postharvest use of methyl bromide and alternative fumigants. Recent research findings will be presented and discussed.
46.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ethyl bromide (MB) had been routinely used in quarantine and pre-shipment (QPS), despite of strong recommendations to replace technically feasible alternatives of it by International Plant Protection Convention (IPPC) and current hazardous issues in workplace related post-fumigation process of imported perishable commodities. Due to insufficient ventilations post-fumigation on imported fruits such as citrus, fumigators and related workers in cold storage, load/unload and packing room has been exposed to hazardous conditions (5-100 ppm, MB’s TWA_TLV = 1 ppm). It’s time to replace newly developed phytosanitary disinfestation methods such liquid ethyl formate (EF) with N2 application. It could provide for safer workplace involved on and post-fumigation process, cost-effectiveness as well as meet the environmental friendly solution.
47.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식품의 생물학적 위해요소인 해충과 유해균 및 부패균을 제어하기 위해 실제 포장필름 생산 공정 설비를 이용하여 방충 및 항균 기능성을 갖는 식품용 다층 포장필름을 제조하였다. 우선, 효과적인 활성 물질의 스크리닝 과정을 통해 식품의 대표적 해충인 화랑곡나방 유충(Plodia interpunctella)에 대해 기피력을 나타내는 팔각회향 에센셜 오일과,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및 페니실리움(Penicillium roqueforti)에 대해 항균력을 갖는 티몰(thymol)을 필름내 혼입할 활성 물질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활성 물질을 혼입한 폴리우레탄계 코팅액을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12 μm 필름 표면에 코팅하였으며, 방충용 필름은 polypropylene (PP) 30 μm을, 항균용 필름은 low-density polyethylene (LDPE) 30 μm을 적층하여 다층필름의 구조로 제조하였다. Large-scale 생산 공정 설비를 통해 제조된 필름을 활용하여 유충에 대한 기피 효과와 항균력을 측정하였으며, 대조군 필름은 유충에 대한 기피력 및 항균 효과를 보이지 않은 반면, 개발된 방충 및 항균 필름은 화랑곡나방 유충과 두 가지 균에 대해 각각 뛰어난 기피력과 항균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식품 포장소재의 대량생산에 활용 가능한 표면 코팅 기술을 개발하고 그 방충효과 및 항균 효과를 입증함으로써 식품 중 생물학적 위해요소의 저감화를 위한 식품 포장 신소재 개발에 기여할 것이다.
48.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식품에서 발견되는 곤충이물은 제조단계와 유통, 소비단계 유입으로 대별된다. 식약처 발표에 따르면 2016년 5332건 이물신고 건수의 34.3% 인 1830건이 곤충이물이며 이중 조사, 판정 불가 56%, 제조단계 6.5%를 제외한 49.4%가 소비, 유통 단계에서 유입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유통, 소비단계에서의 곤충 이물 유입은 전 지구적인 기후변화와 소비자 트랜드 변화, 유통, 물류 시스템 변화 등의 요인과 결합되어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으나 제품 생산 후 제품이 물류센터, 특약점, 도, 소매점과 같은 다양한 환경에 노출되고 소비자 사용 시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되기 때문에 근본적인 원인 제거는 불가능 하다. 따라서 현재로써는 방충포장을 통해 곤충오염 리스크를 줄이는 방안이 가장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유통 중 제품으로 유입되는 곤충을 제어하기 위해 생산비 증가와 식품 안전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천연식물 추출물을 활용한 방충박스포장소재를 개발하고 이를 약 770만 제품박스에 적용한 결과 소비자 해충클레임이 65%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49.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식품 중 발견 이물은 광물성, 동물성, 식물성 이물로 대별된다. 식약처 이물 발생 신고 자료를 보면 곤충이물이 거의 모든 식품유형에서 가장 높은 빈도(40% 내외)를 차지한다. 식품 중 곤충 이물은 직접적인 인체 위해보다는 소비자에게 혐오감 유발, 식품업체 비위생적 취급 우려와 같이 간접적으로 식품 안전에 대한 소비자 불안감을 가중시키고 언론과 소비자단체를 통해 지속적인 이슈가 되어 식품 기업의 매출감소, 위생, 안전성 측면의 신뢰도를 감소시키고 민원처리, 이물조사 업무가중 등 행정력낭비를 유발하고 있다. 식품 중 발생하는 곤충이물은 다양한 원인으로 유발되어 확실하게 규명되는 제조 중발생(6.5%), 소비, 유통 단계 유입(39.4%) 이외에 대부분이 판정불가(53.4%)로 처리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식품산업에서 는 생산단계와 유통, 보관 단계에 실용화될 수 있는 효과적인 곤충 이물 저감화기술을 개발/적용하여 이물발생 리스크를 관리하고 국민의 식품안전에 대한 체감도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50.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곡물 저장중 해충과 미생물에 의한 피해가 증가하며, 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 이산화염소가스처리 방법을 제시하였고, 본 가스처리에 의한 살충기작을 증명하였다. 해충을 억제할 수 있는 최적의 가스 처리 조건과 가스 처리 후 곡물내의 이산화염소 잔류량과 곡물품질 등을 조사하여 피해 예측을 하였다. 본 가스 처리에 의해 화랑곡나방의 모든 생장 단계에서 효과를 보였으며, 특히 알과 성충 단계는 단시간 고농도 처리와 장시간 저농도 처리에서 높은 치사율였다. 한편, 낮은 농도에서 처리된 유충은 유충기간이 1.5 배가량 늘어나며, 번데기가 되지 못하거나 우화하지 못하는 것을 확인 하였다. 특히 유충의 섭식양이 급격히 감소하여 실크분비량이 거의 없을 정도로 활동량이 둔화되었다. 또한, 이산화염소처리가 화랑곡나방 암수 성충간의 페로몬 센싱에 교란을 유도할 수 있음을 확인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이산화염소가스처리를 통한 해충 방제 및 해충활동 제어 방법으로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51.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다양한 식재료의 소독재로 사용되는 이산화염소(ClO2)는 이 물질이 갖는 높은 산화력에 기인된다. 이산화염소가 해충에 대한 방제 가능성이 제기되었고, 이에 대한 실증 시험은 이 물질의 살충기작을 증명하여 주었다. 그러나 이 물질의 살충 기작은 밝혀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이산화염소의 훈증처리에 따라 곤충 체내에서 일어나는 산화적 스트레스를 항산화효소의 발현 유발에 따라 가능성을 찾았다. 다시 이산화염소를 처리하고 세포내에 존재하는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 ROS)를 정량화한 결과 ROS의 급격한 증가를 관찰하였다. Vitamin E와 같은 항산화제를 이산화염소와 처리할 경우 살충력은 크게 낮아져 산화적 스트레스에 기인된 살충기작을 뒷받침하여 주었다. 이러한 ROS 유발은 다양한 생리현상을 일으키는 분자를 교란하여 곤충의 신경, 면역, 행동 및 발육 생리를 저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해 살충효과를 일으키는 새로운 해충 방제제의 개발을 제시하고 있다.
52.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식품 중 곰팡이 이물에 대한 연구를 위하여 식품 제조 및 유통/보관현장에서의 곰팡이 오염수준 및 주요 곰팡이류를 조사하였다. 측정은 식품유형별 총 9장소 (젓갈류, 식초류, 쌀류, 밀가루류, 냉동만두류, 면류, 과자류, 육가공류, 김치류)와 유통/보관현장 총 8장소(물류 창고)에서 진행하였고, 각 생산라인에서 부유곰팡이, 표면 곰팡이 오염도를 조사하였다. 측정결과, 육가공류 생산현장에서 부유곰팡이 오염도가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며, 김치류 생산현장에서의 부유곰팡이 오염도가 가장 낮게 측정되었다. 설비 및 벽면에서의 표면 곰팡이 오염도의 경우, 식품 제조 및 유통/보관 현장에 관계없이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 현장에서 검출된 주요곰팡이를 조사한 결과, Penicillium sp., Aspergillus sp., Cladosporium sp., 종이 우점종 곰팡이로 조사되었다.

High School Student Competition for Insect Study Ⅰ

53.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개미 사육 및 관찰을 위한 사용되는 투명 젤리형 개미사육장은 간편한 활용성으로 아동의 자연관찰 학습용 교구로 꾸준히 애용되고 있다. 하지만 투명 젤리는 다량의 수분 함유 문제뿐만 아니라 부패방지를 위해 단백질을 포함하고 있지 않기에 사육 시 단백질을 필요로 하는 산란용 여왕개미나 애벌레의 사육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산란용 여왕개미와 애벌레의 사육이 가능한 단백질 함유 곤충 젤리를 만드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단백질 공급원으로는 우유를, 부패 방지제로는 천연물 기반 키토산을 사용하였으며, 기능이 첨가된 사육용 젤리의 항균성은 곤충 대량폐사 질병인 물렁병의 원인균주(Serratia marcescens)로 테스트(in vitro)하였다. 실험군인 곤충사육용 젤리는 박토아가(1.5%,w/v)가 함유된 키토산수용액(1%,w/v)에 1:1 용량비율로 우유를 섞어 제조하며, 대조군은 키토산수용액을 제외하였다. 제조 배지는 Serratia marcescens를 도말 배양하여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3배 희석한 균주(4.8×106CFU/ml)를 접종 후 2일간 배양한 그룹에서 대조군(키토산 없음)은 균이 많이(TNTC) 자랐으나, 실험군(키토산 있음)은 전혀 자라지 않았다. 따라서 위 실험은 키토산을 첨가하는 간단한 방법으로도 유해균의 생장 억제와 유충의 성장 촉진이 동시에 가능한 기능성 단백질 곤충젤리의 제조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54.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누에는 약제, 면직, 식용, 동물 사료 등에 활용도가 높아 동아시아에서 오랫동안 사육되어 왔다. 뽕잎을 먹고 자란 누에가 사료를 먹고 자란 누에보다 생장주기가 일정하고 더 건강하게 생장한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또한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동물 장내 미생물이 동물의 면역과 생장에 큰 역할을 한다고 알려졌다. 이러한 사실로부터 뽕잎에 존재하는 미지의 미생물이 누에 생장과 면역에 관여할 수 있다는 가설을 세우고 이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뽕잎 내생균을 분리하기 위해 뽕잎을 5mm 크기로 잘라 표면살균 후, 배지에 치상하여 자라나오는 세균을 분리하여 동정하였다. 흥미로운 점은 100개 이상의 뽕잎 절편으로부터 동일한 세균이 검출되었으며 계통학적 분석을 통해 동정한 결과, Pseudomonas syringae pv. syringae(Pss)로 확인되었다. 또한, 뽕잎을 섭식한 누에의 장 속과 분변에서 이 균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누에에 병을 일으키는 곤충병원성 곰팡이에 대한 Pss의 항진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곤충병원성 곰팡이인 Beauveria bassiana, Cordyceps militaris와 식물병원성 곰팡이 Botrytis cinerea, Fusarium graminearum을 대상으로 대치배양을 통해 균사 생장 억제 정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식물병원성 곰팡이의 생장 억제효과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곤충병원성 곰팡이의 생장이 50% 이상 감소되었다. 특히, 다량의 포자를 생성하여 곤충에 치명적인 병을 야기하는 B. bassiana의 균사 생장이 C. militaris에 비해 더 크게 감소하였을 뿐 아니라 Pss의 배양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B. bassiana의 포자 발아가 지연되었다. 앞으로 누에 장 속에 안착한 Pss가 곤충병원성 곰팡이에 대한 면역력과 누에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 볼 계획이며 이를 통해 건강하고 안정적인 누에 사육에 활용될 수 있는 미생물 제제를 만들고자 한다.
55.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사망시간 예측은 시신의 특징만으로 정확히 측정하기 힘들다. 또한 측정 지점에 따라 곤충의 종류가 달라 다른 지역의 결과를 적용하기 어렵다. 그래서 생물체의 사체에 몰려드는 곤충, 특히 파리류의 성체와 유충을 분석하여 사망시간을 측정하고자 했다. 그래서 전라남도 나주시 오강리에서 사후에 시간에 따라 사체에 몰려드는 곤충 특히 파리류의 성체 종류와 알에서 부화한 후 유충의 발생으로 사망시간을 계산하고자 했다. 돼지 생간을 2018년 9월 5일 평균 최고 온도 21℃, 평균 최저 온도 15℃인 체육관 뒤 공터에 방치했다. 약 10시간 후 근처에 검정파리(Calliphora vomitoria), 금파리(Lucilia caesar Linnaeus), 초파리(Drosophila), 파리매(Promachus yesonicus)가 모여들었으며, 약 30시간 후 검정파리(Calliphora vomitoria)로 예상되는 알이 놓인 것을 확인하였다. 알이 부화된 후 정기적으로 유충을 채집하여 기문의 개수로 1령, 2령, 3령을 구분하였다. 이를 통해 사후시간에 따른 유충의 성장정보를 수집하였다. 정보를 바탕으로 재실험을 진행하여 하루마다 유충의 상태로 간이 놓인 시간을 측정하였다. 오차는 1~1.5일 정도로 확인하였다. 또한, 유충이 부화한 후 시기에 따라 모여드는 곤충의 종이 점차 달라져 추측한 시간의 근거가 되는 것을 확인했다.
56.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상주는 귀농 도시이자 농업 중심 도시로써 농업기술원을 유치할 만큼 생태학적 연구가치가 있는 친환경 도시이다. 특히 경천섬은 낙동강 본류에 있는 상주보 인근에 위치하고 있어 낙동강 생태 환경 연구의 중요 지역 중 하나이다. 하지만, 아직 경천섬에 대한 생물다양성 연구가 부족한 상태이다. 섬과 산지의 생태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생물의 다양성도 다를 것이라 간주하고, 경천섬 주변의 생태학적 가치를 재조명할 기초자료를 조사하고자 한다. 이에 경천섬과 인근에 위치한 청룡사 길목 산지에 서식하는 곤충 채집을 통해 생물다양성을 조사하여 비교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채집방법은 직접잡기, 쓸어잡기, 함정트랩, 흡충관을 이용하였으며, 함정트랩에 사용된 유인제는 소주1.8ℓ와 빙초산350㎖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2018년 4월~8월 중 3회 채집과정을 수행하여 목표개체수를 확보하였고, 채집된 곤충은 에탄올을 채운 conical tube에 넣어 냉동실에 보관하여 보존성을 높였다. 채집과정에서 잡은 곤충들을 건조시키고 유사종끼리 분류하고 동정하는 과정을 거쳐 다양도지수, 우점도지수, 종풍부도지수, 종균등도지수, 유사도지수를 계산할 것이다. 기존에 알려지지 않았던 경천섬 일대의 생물다양성을 세세하게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경천섬의 생태학적 가치를 드러내고, 경천섬 일대의 자연환경관리와 보존에 필요한 정보나 체계적인 관리체계를 구축할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57.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this study, the microstructure was confirmed by examining the exoskeleton of Cybister japonicus and Hydrophilus acuminatus, which are representative aquatic insects. And the exoskeleton was observed through the microscope. The digestive organs and respiratory organs were observed through anatomy, respectively. Hydrophilus acuminatus had longer midgut and hindgut than Cybister japonicus, and Cybister japonicus had larger crop than Hydrophilus acuminatus. The structural difference of the hind legs reveal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ir swimming behavior. Cybister japonicus swing both legs at the same time, while Hydrophilus acuminatus swings alternately on both hind leg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the basis of ecological studies and researches of aquatic insects by studying the basic structure of aquatic insects.
58.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전세계적으로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식용곤충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식용곤충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그 중 흰점박이꽃무지는 동의보감에서 효능을 인정받아 식량자원으로써 연구되고 있다. 이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흰점박이꽃무지 성충의 먹이에 대한 선호도 조사와 사육키트 설계를 통해 생산성 증대를 꾀하고자 하였다. 흰점박이꽃무지 성충에 대한 먹이 선호도 조사는 단백질의 함량과 당도, 그리고 알부민의 함량을 달리하며 실험을 수행하였다. 단백질 함량의 실험의 경우 0 %, 1 %, 5 %, 10 %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이 실험을 통해 단백질의 함량은 흰점박이 꽃무지의 먹이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당도의 경우 과일의 당도범위를 기준으로 하여 15 brix, 20 brix, 25 brix, 30 brix에 대한 실험을 진행한 결과, 20 brix가 흰점박이꽃무지가 가장 선호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계란 흰자의 주요 단백질 성분인 알부민의 경우 0 %, 10 %, 15 %, 20 %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여 알부민의 함량이 적을수록 선호도가 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먹이에 대한 선호도조사를 사육키트 설계에 반영하여 흰점박이꽃무지 성충의 사육키트는 실제 사육장의 인터뷰를 참고하여 온도 28 °C와 습도 40%로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설계하였다. 사육키트의 온도는 사육키트의 바닥에 부착된 전기 매트를 통해 조절하고 습도는 사육키트의 측면에 위치한 팬을 통해 조절된다. 또한 먹이를 간편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먹이배급장치를 별도로 설계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흰점박이꽃무지의 성충에 대한 먹이 선호도 조사와 사육키트의 설계를 통해 미래 식량자원으로 이용될 수 있는 흰점박이꽃무지의 생산성에 대한 연구를 제안한다는 점에 있다.
59.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e bought the 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in Cetoniinae farm, and raised it. We dessect the 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imago, observed the a secondary wing with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we can observe the structure and thae array of that structure which can infer micro hair. Simulated the model about the turing patterns with jupyter notebook python changing the constant of the equation. After analysis, we judge that pattern is similar to Gray-Scott Model’s equation when F=0.0220, k=0.0610. Hence, our research get the temporary conclusion that gray-scott model contribution the wing’s formation.

High School Student Competition for Insect Study Ⅱ

60.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내 판매되고 있는 사슴벌레종[넓적사슴벌레(Dorcus titanus), 참넓적사슴벌레(Serrognathus consentaneus), 남방넓적사슴벌레(D. titanus jejuensis, 가칭), 애사슴벌레(D. rectus) 및 왕사슴벌레(D. hopei)]과 부산 지역에서 채집한 넓적사슴벌레 12개체와 경남 의령군에서 채집한 1개체의 미토콘드리아 DNA 중 cytochrome oxidase I(COI) 를 이용하여 계통을 비교분석하였다. 아울러 NCBI에 기등록된 북한, 일본, 대만, 필리핀, 인도네시아 및 태국의 넓적사슴벌레의 COI 서열을 이용하여 추가 분석하였다. 먼저 판매되고 있는 사슴벌레종은 넓적사슴벌레, 남방넓적사슴벌레 및 참넓적사슴벌레의 group I과 애사슴벌레 및 왕사슴벌레의 group II로 구분되었다. 부산지역 및 의령에서 채집한 넓적사슴벌레의 경우 COI 및 COII로 분석 결과 북한에서 기보고 된 3개체를 포함해 유전적 변이에 있어 큰 차이가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한반도와 일본 일부지역에서 높은 상동성을 확인하였는데 그 외 아시아 지역에 서식하는 넓적사슴벌레와는 다른 그룹을 형성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국내 서식 사슴벌레 종의 유전적 분석과 함께 외래 유입종을 판별하는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