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동물생명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2017년도 춘계학술대회 PROCEEDINGS (2017년 5월) 67

61.
2017.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내외 암말 발정주기 양상 분석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상태이며, 말 인공수정을 위한 호르몬 설정에 관한 연구도 전 세계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암말에서 발정 유기를 위한 PGF, progesterone 등 호르몬 투여 시 난포의 발달을 억제하지 못하고 호르몬 처리 동안 배란이 일어나 황체의 생성 으로 발정 유기에 실패할 수 있으므로, 양 등(2004b)은 초음파 진단을 통하여 난포 크기를 측정하 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했다. 암말의 발정주기는 개체마다 큰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아직까지 정확한 원인 분석은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Wespi 등(2014)에 의하면 계절 전환기에서 암말의 발정 발견율이 높으나, 배란이나 배란 간격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 구는 국립축산과학원 난지축산연구소에서 사육하고 있는 제주산마 16두를 공시하였으며, 주 1회 초음파진단 및 주 2회 채혈 후 생화학 및 호르몬 분석을 실시하였다. 생화학 분석은 Glu, BUN, AST, Hemolysis 등 17개 항목을 분석하였다. 생화학 수준이 암말의 발정주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 치는지 분석하기 위하여 16두의 공시축 중 정상적인 발정주기를 보이는 개체와, 비정상적인 발정 주기를 보이는 개체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두 그룹 간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62.
2017.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한우농가의 사육기반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번식관리를 통해 송아지 생산율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소규모에서부터 대규모 농가 사육 조건에서의 번식우 관리의 현황을 파악하므로 서 한우 송아지 생산율을 향상 방안을 찾기 위하여 2016년 하반기에 농가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대상은 총 45농가였으며, 지역별로 남부(경남), 중부(경북, 충남), 북부(경기, 강원)로 나누었 고, 사육 마릿수에 따라 소(20마리 이하), 중(20〜50마리), 대(50마리 이상)규모로 나누어 진행했다. 총 조사 두수는 번식우로 사용하는 가임암소 1800여두를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에 의하면 조사대 상 농가의 초임월령은 평균 20.9개월로 조사되었다. 최초 분만월령은 평균 28.7개월령 이었으며, 수태당 인공수정 횟수는 1.45회였다. 수태율은 소규모 농가가 75.2%로 중규모(70.6%)나 대규모 (71.4%)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균 72.4%였다. 분만 후 인공수정일수는 평균 119.8일로 조 사되었다. 수태율과 BCS와의 관계에서 소규모 농가의 수태율이 가장 높았으며(75.2±16.9%), BCS는 소규모 농가가 3.1로 중규모(3.0) 또는 대규모 농가(2.8)보다 높았다. 일반농가에서는 송아지 생산율 이 67.64%였으나 발정관찰 보조기구를 사용하는 농가는 78.06%로 송아지 생산율이 10.42% 높았 다. 농가여건에 따라 별도의 운동장 또는 방목을 사용하는 경우 수정율이 92.54%였고, 사사관리만 하였을 때 89.07%였고, 분만율도 운동장 사용시 88.12%로서 사사관리의 69.83%보다 약 18.3% 향 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식우를 대상으로 예방접종(IBR, BVDV)을 실시한 농가는 분만율이 79.67%로서 그렇지 않은 농가의 69.27%에 비해 10.4%가 높았고, 또한 분만시 유사산·폐사율도 예 방접종 농가는 5.36%인데 비해 미실시 농가에서는 9.77%로 예방접종을 하였을 때 4.4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번식우는 충분한 운동과 발정관찰에 노력해야 하고 예방접종을 함으로써 분만율 향상 등 송아지 생산과 육성율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63.
2017.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모든 난산 중 어미소의 원인으로 인한 난산이 24%를 차지한다. 난산으로 인한 어미소의 폐사율은 태아의 원인(13%)에 비해 어미소의 원인(32%)이 더 크다. 젖소 품종 중에서 홀스타인종의 난산 발 생율이 40%로 가장 높은데, 어미소 체중에 대한 송아지 체중의 비율이 홀스타인종의 경우 평균 7.1%(10% 이상인 경우도 있음)로 저지종의 5.6~6.3%에 비해 높기 때문이다(Holland와 Odde, 1992). 분만장애가 발생되면 분만 후에도 여러 가지 산후장애가 속발되어 도태율이 높아지는데, 유열 2 배, 난소낭종 3배, 좌측전위 2배, 후산정체 및 자궁염 2~3배의 위험성이 증가된다(Rajala와 Grohn, 1998). 따라서 본 연구는 분만 시 보조의 필요성 여부 및 보조의 시점을 판단하는 지표를 개발하 기 위하여 젖소와 한우를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송아지의 생시체중을 40kg 이하 및 41kg 이상으로 구분한 것은 40.3kg의 임계치를 넘으면 난산율이 크게 증가하고 사망률이 매우 높아진다는 Menissier와 Foulley(1979)의 보고에 근거한 것이다. 태아의 반응, 우설색깔 및 우설길이는 Hard (2008)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태아의 반응은 태아의 혀를 꼬집었을 때, 태아가 반응하는 강도 를 기준으로 1(반응 없음), 2(약간 반응), 3(상당히 반응), 4(즉각 반응)로, 우설색깔은 17가지 색조 를 1∼3(어두움), 4∼9, 10∼17(밝음)로, 우설길이는 55mm 이상과 이하로 구분하였다. 분만유형은 순산(보조 없이 자연적으로 분만) 및 보조(상당한 힘이나 견인하여 보조)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발굽둘레는 Parish 등(2009)의 방법에 따라 출생 직후 줄자로 송아지의 발굽둘레를 측정하였고, 본 연구에서 15.7cm 이하와 15.8cm이상으로 구분한 것은 조사된 24두의 평균 발굽둘레가 15.7cm였기 때문에 중앙치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생시 체중에 따른 분만유형은 순산의 경우 40kg 이하 및 41kg 이상이 각각 81.8% 및 53.8%였고, 보조 (견인)의 경우 18.2% 및 46.2%였다. 생시체중에 따른 평균 발굽둘레는 40kg 이하 및 41kg 이상이 각각 14.8±0.5cm 및 16.5±0.3cm였다. 생시체중에 따른 발굽둘레 분포는 15.7cm 이하의 경우 40kg 이하 및 41kg 이상이 각각 63.6% 및 30.8%였고, 15.8cm 이상의 경우 36.4% 및 69.2%였다. 산차에 따른 분만시간 분포는 30분 이내의 경우 1산, 2산 및 3산 이상이 각각 28.6%, 37.5% 및 33.3%였 고, 31~60분의 경우 각각 57.1%, 12.5% 및 33.3%였으며, 61분 이상의 경우 각각 14.3%, 50.0% 및 33.3%였다. 산차에 따른 분만유형은 순산의 경우 1산, 2산 및 3산 이상이 각각 61.5%, 72.7% 및 70.0%였고, 보조(견인)의 경우 각각 38.5%, 27.3% 및 30.0%였다. 우설특성에 따른 분만시간 분포는 30분 이내의 경우 정상 및 비정상이 각각 27.3% 및 0%였고, 31~60분의 경우 각각 63.6% 및 0%였 으며, 61분 이상의 경우 각각 9.1% 및 100%였다. 우설특성에 따른 분만유형은 순산의 경우 정상 및 비정상이 각각 90.9% 및 0%였고, 보조(견인)의 경우 각각 9.1% 및 100%였다.
64.
2017.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acetyltransferase Tip60 (Kat5) is a member of the MYST family of HATs that was initially identified as a cellular protein. TIP60 acetylates histone and non-histone proteins, and is involved in diverse biological processes, including apoptosis, cell cycle, and DNA damage responses. In this study, a specific inhibitor of TIP60, Nu 9056, was used to study the function and its regulatory mechanism of Tip60 in the porcine preimplantation embryonic development. The results showed that inhibition of TIP60 impaired the embryonic development due to induce DNA damage through ATM-p53-p21 pathway, it was evidenced by expression of γH2A in the nuclei of blastocysts. In addition, TIP60 inhibition decreased efficiency of DNA repair by regulating P53 binding protein 1 expression. Furthermore, autophagy was induced following TIP60 inhibition through modulating microtubule-associated protein 1A/1B-light chain 3 expression. In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IP60 plays a critical role in early embryonic development via regulation of DNA damage and its repairs.
65.
2017.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정자 생존성은 형광염색법을 실시하여 현미경검사, 세포현광분석, flow cytometry 등 여러 방법 으로 평가될 수 있다. Flow cytometry는 정자의 형태적, 기능적 특징의 여러 가지 항목을 짧은 시 간내에 수천에서 수만개의 정자를 검사할 수 있는 방법으로 기존의 eosin-nigrosin 염색법, HOST의 실험실적 검사나 형광현미경 검사에 비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정액 성상의 변화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보다 객관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 연구는 Flowcytometry를 사용하여 제주흑우의 동결 정액에서 정자의 생존성을 평가하는 2가지 형광염색법의 비교분석을 통해 정자 생존율과 이중 형 광 염색법 유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국립축산과학원 난지축산연구소에서 사육중인 제주흑우 2두를 인공질법을 이용하여 채정하였으 며, Triladyl-eggyolk 희석제 희석하여 동결하였다. LN2에 동결보존된 정액 스트로(n=12)를 융해하여 PBS를 이용하여 희석 후 2개로 분획하였으며, 각각 Calcein Am/PI(CAM/PI)와 6-CFDA/PI(CFDA/PI) 의 이중 형광염색을 실시하고 Flow ctyometry로 생존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살아있는 정 자의 비율은 29.26±1.28(CAM+/PI-), 27.50±0.76(CFDA+/PI-), 약간의 생체막의 손상이 있으나 살아있 는 정자의 비율은 21.67±4.92(CAM+/PI+), 23.29±2.76(CFDA+/PI+), 생체막의 손상으로 죽은 정자의 비율은 48.44±4.18(CAM-/PI+), 48.61±2.71(CFDA-/PI+)이었으며 각각 형광염색법간의 유의적인 차이 는 없었다(SPSS v18.0, Paired t-test) 본 연구결과 Flow cytometry를 사용하여 정자의 생존율을 평가할 때 CAM과 CFDA의 차이는 존 재하지 않는 점을 알 수 있었으나 형광염색에 따른 세포의 분포를 비교했을 경우 CFDA가 CAM 보다 형광염색에 따른 정자세포 집단의 구분이 명확하였다. 따라서 정자의 생존성 평가시 CFDA 와 CAM은 모두 사용가능하지만, 정자세포의 집단의 구분에 따른 다른 검사를 실시할 경우 CFDA/PI 염색법이 유용하다고 판단된다.
66.
2017.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addition of caffeine (alkaloid family) to the ejaculates of boar sperm quality as well as investigate their optimum concentrations for increasing the movement of sperms. Semen was collected from 9 boars by the gloved-hand technique one week interval. Semen followed by cryopreservation with egg yolk extender freezing medium using freezing protocol. The collected semen were frozen on the same day. Motility was assessed for % motile cell characteristics using computer-assisted semen analysis (CASA; SAIS SI-100, Medical supply, Korea). Frozen boar sperms were thawed in Beltsville Thawing Solution (BTS) with 5, 10, and 15mM caffeine were then incubated at 38 celsius degree for 20 minutes. In experiment 1, semen were diluted BTS and addition of different concentration of caffeine to the pre-freeze semen cryopreservation. In experiment 2, incubation of frozen-thawed sperm in BTS supplement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 of caffeine for 20 minutes improved (P<0.05) after semen cryopreservation-thawing on sperm quality. After thawing significantly increased progressive and total motility. The addition of 10 mM caffeine to cryopreserved semen after thawing significantly increased progressive and total motility compared with other treatment. These result suggest that caffeine enhanced post-thaw motility of cryopreserved boar sperm when added after thawing.
67.
2017.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strus synchronization to altrenogest regumate (progesterone), PMSG/hCG, and artificial insemination (AI) on galectin-3, FGF-9 gene and protein expression. The morpho-metrical parameters of the endometrium and the number of corpora lutea (CL) were recorded. RNA was isolated from endometrial, oviduct and ovary tissues of non-synchronized (Control; n = 7) and AI synchronized (regumate, PMSG/hCG; n = 7) sows. The total number of CL was higher (P<0.05) in pigs treated with regumate/PMSG/hCG. The content of gelactin-3 and FGF-9 mRNA in pre-embryonic development stages increased on particular days, in control and studied in regumate/PMSG/hCG administered pigs. Gelactin-3 and FGF-9 were affected by regumate/PMSG/hCG treatment in the both pre-embryonic development stages (P<0.001, P<0.05) and encdometrial tissue (P<0.001, P<0.01). The regumate/PMSG/hCG treatment resulted in elevated expression of gelactin-3 (P<0.001) and FGF-9 (P<0.005) in oviduct and ovary tissues in comparison to control sows. Moreover, oviduct amount of gelectin-3 mRNA was higher in regumate/PMSG/hCG sows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group (P<0.05), whereas,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gelactin-3 and FGF-9 were investigated by hematoxylin and eosin stained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The results showed that galectin-3 and FGF-9 were significantly shown in the endometrium, oviduct and ovary tissues of the regumate/PMSG/ hCG. Presented data show that exogenous hormones administration can affect gene and protein expression in the sow reproductive tract.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