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육종학회 심포지엄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2014 한국육종학회 차세대BG21사업단 골든씨드프로젝트사업단 공동심포지엄 (2014년 7월) 389

301.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억새(Miscanthus spp.)는 화본과에 속하는 다년생 C4 식물로 국내에 자생하는 대표적인 바이오에너지 원료작물이 다. 농촌진흥청에서 개발한 ‘거대 1호’는 4배체 물억새로 초장 및 경태 등이 일반 억새의 두 배 크기로 탁월한 건물 생산성을 보여 유망한 바이오매스 자원으로 여겨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거대 1호’의 미성숙 화기를 이용한 안 정적인 캘러스 유도 및 식물체 재분화 조건을 확립하여 대량증식 및 분자육종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 다. 재료는 억새의 2mm 이하인 미성숙화기를 사용하였으며, 수집한 재료는 70% EtOH로 2분, 0.45% NaOCl으로 20 분간 표면살균 후 미성숙화기의 정단부위를 실체현미경 하에서 적출 후 사용하였다. MS배지에 2,4-D(Auxin)와 BA(Cytokinin)를 각 농도 별로 첨가하여 캘러스 유도율을 조사한 결과, 2,4-D 5 mg/L와 BA 0.1 mg/L를 혼합 처리한 배지에서 가장 높은 캘러스 유도율을 나타내었다. 유도된 캘러스로부터 신초 재분화를 위해 MS 배지에 NAA와 BA, 2,4-D와 BA 등을 농도별로 첨가하여 배양한 결과, NAA 1mg/L와 BA 1mg/L이 첨가된 MS 배지와 5 mg/L BA와 0.1 mg/L NAA가 첨가된 배지에서 각각 15.4, 15.2 %의 신초 재생율을 보였다.
302.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rice (Oryza sativa L.), there is a diversity in flowering time that is strictly genetically regulated. The floral transition from vegetative to reproductive development is a very important step in the life cycle of a flowering plant. Although the genetic pathway for short-day flowering in rice is relatively well understood, the naturally occurring molecular mechanisms underlying flowering time diversity of the cultivated rice are still not clear. Resequencing of 295 rice accessions including 137 HS and 158 KB rice accessions, was recently finished with an average of approximately 10x depth and > 90% coverage. A wide range of variation in flowering time was observed within a diversity research set of 295 accessions ranging from 28 to 72 days. GWAS was performed using the resequencing data to investigate the candidate genes associated with flowering time in rice. Our GWAS result suggests that two SNPs in the promoter or 3’ UTR of the ‘Arabidopsis CO’ homolog FBH1 are potentially associated with early flowering. The new SNPs found in the FBH1 locus would be useful in developing markers to screen the varieties with early flowering time in the future molecular breeding.
303.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ue to depletion of the stratospheric ozone layer throughout most of this century, increased UV-B radiation has affected seriously to plant growth and development as one of nature mutagens. We surveyed differential expressed genes (DEGs) under UV-B irradiation in UV-B tolerant Buseok compared to UV-B sensitive Cheongja 3 through RNA seq analysis using six RNA samples of Buseok and Cheongja 3 with 0.5 hr and 6 hr UV-B irradiation or without irradiation. After excluding 1003 DEGs due to genetic background difference of two genotypes, a total of 872 DEGs orthologous to UV-related Arabidopsis genes were identified. BINGO analysis of the DEGs by 0.5 hr UV-B irradiation showed overrepresentation in signaling and cell morphogenesis. Genes related with apoptosis and immune response were overrepresented in 6 hr irradiated Buseok. In addition, KEGG pathway database was used to identify mTOR signaling and phosphatidylinositol signaling pathways. Based on GO and KEGG results, specific focus was given to a serial of genes involved in UV-B defense signaling, besides photomorphogenesis and oxidation reduction-related genes. Several genes playing a role in phosphatidylinositol signaling, such as diacylglycerol kinase, phosphatidylinositol-4-phosphate 5-kinase family protein, were highly expressed in UV-B tolerant Buseok by 0.5 hr irradiation.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19 and 20 were highly expressed in Buseok under 6 hr irradiation. Furthermore, 51 nucleotide binding site leucine rich repeats (NBS-LRRs) genes were up-regulated in Buseok under 0.5 hr irradiation.
304.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양배추(Brassica oleracea)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키우는 작물 중 하나이며 2,084천ha에 달하는 재배면적을 차 지하고 있으며 생산량은 58백만 톤으로 경제적 가치가 높은 작물이다. 특히 인도 및 서남아시아의 경제성장과 함 께 양배추 생산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교배종의 종자수요가 크게 늘고 있다. 인도 및 서남아시아 시장 맞춤형 양배추 품종육성과 함께 고순도의 종자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분자마커를 활용한 순도검정 시스템 구 축이 필요하다. F1의 순도검정에는 포장검정을 통한 재배시험 방법이 있으나 이는 시간과 비용, 노력이 많이 소비 되기 때문에 어려움이 많다. 분자마커를 이용한 유전형 검정을 통한 순도검정을 실시함으로써 환경에 대한 영향 을 최대한 줄이고 신속하고 정확하게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도수출용 조생계 10품종에 대한 순도 검정용 분자마커를 개발하고 생산종자에 대한 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자마커의 정보는 배추 및 양배추의 데이터베 이스와 문헌조사를 통해 다형성 지수(PIC)가 0.3∼0.8이상인 SSR과 SNP 마커를 추출하여 적용을 실시하였다. HRM(High resolution melting) 분석을 실시한 결과, 1차적으로 양배추 품종의 모, 부계와 F1의 다형성 마커를 32개 선발하였고 30셋트 이상의 모, 부계로 마커의 실효성을 2차 검정하여 22개의 마커를 선발하였다. 22개의 선발된 마커 중 HRM 해리곡선이 뚜렷한 마커 10개를 재선발하여 각 품종의 종자순도검정을 실시하였다. 각 품종별 채종 방식에 따라 생산 Lot당 검정주를 200∼300립으로 조정하여 검정하였다. 양배추 10품종의 분자마커를 활용한 유 전형 검정을 통해 95.8% 이상의 유전적으로 안정된 고순도의 종자가 생산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305.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sect resistant genes encode insecticidal δ-endotoxins that are widely used for the development of insect-resistant crops. Common soybean is a crop of economic and nutritious importance in many parts of the world. Korean soybean variety Kwangan was transformed with Insect resistant genes. These genes were transformed into Kwangan using highly efficient soybean transformation system. Transgenic plants harboring Insect resistant genes were confirmed for gene introduction and their expression using PCR, real-time PCR and RT-PCR. The confirmation of stable gene introduction with Insect resistant genes was also performing by Southern blot analysis. In addition, Flanking sequence analysis and agronomic characters were also investigated
306.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중국 주요 채소 중 양배추는 소매가 기준으로 6억 RMB로 전체 작물 중 4위의 작물로 매우 중요한 작물이다. 재배 면적은 전 세계 재배면적의 50%인 70-100만ha(한국의 200배)로 재배규모로는 가장 큰 국가이다. 향후, 유럽 및 미 주국가의 가공용 양배추의 재배 및 가공기지로의 성장 가능성이 매우 높은 국가이다. 중국 양배추 시장의 교배종 점유율은 계속해서 증가하는 추세로 고순도의 F1 종자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순도검정이 반드시 필요 하다. 종자의 순도검정은 생산된 종자를 직접 파종 재배하여 품종특성을 평가하는 포장순도 검정이 있지만 이는 시간과 비용, 노력이 많이 소비되기 때문에 어려움이 많다. 그러나 분자마커를 이용한 순도검정법을 실시한다면 환경에 대한 영향을 최대한 줄이고 신속하고 정확하게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유전적으로 고순도의 종자를 공급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 수출용 극조생계 11 품종에 대한 순도검정용 분자마커를 개발하고 생산종자에 대 한 검정을 실시하였다. 다량의 샘플을 경제적으로 검정가능한 HRM(High resolution melting) 분석방법을 이용하였 다. 이를 위하여 순도검정 마커를 배추과 작물의 데이터베이스를 조사하여 다형성이 높은 마커 SSR과 SNP를 추출 하였고 또한 배추과 작물 및 양배추의 문헌을 조사하여 다형성 지수(PIC)가 0.3∼0.8인 마커를 추출하여 이용하였 다. HRM 분석을 실시한 결과, 1차적으로 양배추 품종의 양친과 F1의 다형성 마커 38개를 선발하였고 30세트 이상 의 양친으로 마커의 실효성을 2차 검정하여 25개의 마커를 선발하였다. 선발된 마커 중 HRM 해리곡선이 뚜렷한 마커 11개를 최종 선발하여 각 품종의 종자순도검정을 Lot당 200립 종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양배추 11품종 의 분자마커를 활용한 유전형 검정을 통해 97.8% 이상의 유전적으로 안정된 고순도의 종자가 생산된 것을 확인 하였다.
307.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ic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ereal crops in the world and a model plant for functional genomics of monocotyledon. Recently, rice crop loss is estimated to be approximately 30% of the total yield due to herbivorous pests, mainly insects. Cry1Ac toxin is a protein produced by the bacterium Bacillus thuringiensis and has insecticidal properties. CryBP1 toxin also is an insecticidal protein produced by the bacterium Bacillus popilliae. These two toxic genes derived bacteria, which were inserted into a binary vector, have been introduced into rice plants by Agrobacterium tumefaciens mediated transformation in order to enhance resistance to insects. Here, we utilized anthers to regenerate transgenic rice plants when it has been plated on the callus induction media as a callus-inducing material. Anther culture has a benefit in terms of being apt to produce doubled haploids in short term in plants breeding compared to seed culture. However, anther culture method in generating transgenic rice still has low productivity of plant regeneration in some genotypes of Japonica rice. Therefore, we examined the efficiency of callus induction and transformation with three different cultivars of Japonica rice, Haiami, Ungwang and Dongjin. In this study, our results showed that Haiami is the best genotype among three cultivars of Japonica rice as callus inducing material in anther culture to produce transgenic rice plants conferring resistance to insects.
308.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hronic gamma irradiation can be used an alternative mutation breeding methods for induction of many useful mutants. Seedlings of purple-colored wheat plants were irradiated with wide range doses of chronic gamma-rays (20, 25, 30, 40, 50, 70, 100, 125, 150, 200, 250, 300 Gy) during 6 weeks at gamma-phytotron in the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respectively. To identify the biological responses purple-colored wheat, we examined the plant height, chlorophyll, carotenoid and total anthocyanin contents in leaf. Plant growth, chlorophyll and carotenoid contents in leaf were decreased when the dose rate increased. Anthocyanin contents were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the radiation dose until 50 Gy treatment. To confirm the real contents of anthocyanin, we also investigated cyanidin-3-glucoside in purple-colored wheat leaf by using UPLC analysi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nthocyanin accumuation was observed under chronic gamma irradiation.
309.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lavonoids are divided into several structural classes, including anthocyanins, which provide flower and leaf colors and other derivatives with diverse roles in plant development and interactions with the environment. This study characterized four Anthocyanidin Synthase (ANS) genes of Brassica rapa, a structural gene of anthocyanin biosynthetic pathway, and investigated their association with cold and freezing tolerance in B. rapa. Sequences of these genes we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similar types of gene sequences of other species and found a high degree of homology with their respective functions. In the organ specific expression analysis, these genes showed expression only in the colored portion of leaves of different lines of B. rapa. On the other hand, BrANS genes also showed differential expression with certain time course of cold stress treatment in B. rapa. Thus, the above results suggest probable association of these genes with anthocyanin biosynthesis and cold and freezing tolerance and might be useful resources for developing cold resistant Brassica crops with desirable colors as well. The present work may help explore the molecular mechanism that regulates anthocyanin biosynthesis and its response to abiotic stress at the transcriptional level in plants.
310.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ice (Oryza sativa) is the most important staple food of over half the world’s popul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possible impact of transgenic rice cultivation on the soil microbial community. Microorganisms were isolated from the rhizosphere of GM and non-GM rice cultivation soils. Microbial community was identified based on the culture-dependent and molecular biology methods. The total numbers of bacteria, fungi, and actinomycete in the rhizosphere soils cultivated with GM and non-GM rice were similar to each other,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M and non-GM rice. Dominant bacterial phyla in the rhizosphere soils cultivated with GM and non-GM rice were Actinobacteria, Firmicutes, and Proteobacteria. The microbial communities in GM and non-GM rice cultivated soils were characterized using the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DGGE). The DGGE profiles showed similar patterns, but did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to each other. DNAs were isolated from soils cultivating GM and non-GM rice and analyzed for persistence of inserted gene in the soil by using PCR. The PCR analysis revealed that there were no amplified protox gene in soil DNA. These data suggest that transgenic rice does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oil microbial communities, although continued research may be necessary.
311.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enetically modified (GM) crops have never been cultivated commercially in Korea, it is necessary for a thorough assessment of the risks associated with their environmental release. We quantified the amount determined the frequency of pollen mediated gene flow from disease resistant GM rice to weedy rice (R55). A total of 164,604 seeds were collected from weedy rice, which were planted around GM rice. Resistance of the hybrids was determined by repeated spraying of herbicide and DNA analysis using specific primer to confirm hybrids. Though weedy rice has similar flowering time, the hybrids were found only in non-GM rice and out-crossing ranged from 0.018% at 0.3 m to 0.013% at 0.6 m. All of hybrids were located within 0.6 m distance from the GM rice plot in southerly direction. The meteorological factors including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during flowering time were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determining rice out-crossing. It should be considered many factors like the local weather condition and flowering time to set up the safety management policy to prevent pollen mediated gene flow between GM and conventional crop.
312.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investigated whether sound waves could improve salt tolerance in rice seedling. The rice seedlings were sound treated with 800 Hz for 1hr, and then treated with 0, 75, 150, and 225mM NaCl for 3 days to observe changes in physiological and morphological aspects. Sound treatment seedlings resulted in enhanced salt stress tolerance, mainly demonstrated by the sound treated seedlings exhibiting of increased root relative water contents (RWC), root length and weight, photochemical efficiency (ratio of variable to maximum fluorescence, Fv/Fm), and germination rate under salt stress condition. This demonstrates that a specific sound wave might be used, not only to alter gene expression in plant, but also to improve salt stress tolerance. In order to test the sound’s effect on plant and its contribution in drought tolerance, plants were subjected to various sound frequencies for an hrs. After 24-hrs sound treatment, plants were exposed to drought for next five days. During the experiment it was observed that sound initiated physiological changes showing tolerance in plant. Sound frequency with ≥ 0.8 kHz enhanced relative water content, stomatal conductance and quantum yield of PSII (Fv/Fm ratio) in drought stress environment. Hydrogen peroxide (H2O2) production in sound treated plantwasdeclinedcomparedtocontrol. ThermaCAM (Infra-red camera) a software which was used to analyze the plant images temperature showed that sound treated plant and leaf had less temperature (heat) compared to control. The physiological mechanism of sound frequencies induce tolerance in rice plants are discussed.
313.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uch as small plant size, small genome, short life cycle, self-fertility, and etc. Moreover, Brachypodium standard line Bd21 had already been sequenced and the data of which now have been available to the public. The development of next-generation sequencing technologies has allowed the discovery of large numbers of genome-wide DNA polymorphisms. Brachypodium standard line Bd21 was exposed to chronic gamma radiation. M2 1376-1 line was less stained with phloroglucinol compared to wild-type, which indicated reduced lingin content. Also, it’s filial generations showed dwarf phenotype. Genomic DNA was extracted from the M3 plant and was used to construct a whole-genome re-sequencing library for using Illumina HiSeq2500. The trimmed reads were aligned to the Brachypodium reference genome sequence (http:// www.phytozome.net). SICKLE, BWA, and Picard were used for accurate variant detection. More than 110 M reads were generated and 96.53% of them were mapped. This represents ~35 fold coverage. As a result, mutant specific SNVs, Insert/Deletions, and non-synonymous mutations were obtained. Moreover, non-synonymous mutations were identified from 5 lignin biosynthesis genes (Bradi1g31320, Bradi3g52350, Bradi5g21550, Bradi3g22980, Bradi5g14720). The obtained results will be incorporated in development of biofuel crops.
314.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들깨는 꿀풀과 1년생 식물로 우리나라 주요 유지작물 중 하나이다. 재배종인 Perilla frutescens var. frutescens(들깨) 와 Perilla frutescens var. crispa(차조기)는 서로 변종의 관계로서 염색체가 2n = 40이며, 야생종으로는 Perilla citriodora, P. hirtella, P. setoyensis가 있으며 모두 2n = 20의 염색체를 가진다. 들깨의 표준유전체 해석을 위한 재료 로서 P. citriodora(YCPL450)를 선정하였다. YCPL450은 2005년 제주도에서 수집한 들깨 야생종으로 P. citriodora 로 분류되며, 염색체수는 들깨 재배종(2n=40)의 반인 2n=20으로 유전체 해석에 효율을 높이고자 선정하였다. 유전 지도작성용 집단을 육성하기 위해 표준 유전체 재료인 P. citriodora와 P. hirtella를 교배하여 F1을 양성하였으며, SCAR marker를 이용하여 교배유무를 확인하였다. 표준유전체 및 비교유전체 분석을 위하여 재료의 순계화 양성 및 특성검정을 수행할 예정이며, 향기성분 및 진화론적 분류 탐색을 위한 집단을 양성할 것이다
315.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토마토(Solamum lycopersicum L.)는 전 세계적으로 생산량이 연간 146백만 톤이며 재배면적은 4,339천ha에 달하는 채소작물로 경제적 가치가 매우 높다. 최근 국내 및 미국, 남미, 유럽, 동남아시아, 일본, 중국 등지로 토마토황화잎 마름바이러스 (Tomato yellow leaf curl virus; TYLCV)가 급격히 확산되고 있어 토마토 생산량과 농가소득 감소 등 의 심각한 피해를 입히고 있다. 토마토의 TYLCV 저항성 유전자는 야생종에서 Ty-1, Ty-2, Ty-3, Ty-4, Ty-5 등이 보고 되고 있으며 이들 유전자원을 활용한 계통 및 품종 육성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자사에서도 TYLCV의 피해 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저항성 품종 육성을 주요 목표로 하여 품종 육성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내병계 품종 육성에 분자마커를 활용함으로써 신품종 개발기간을 단축시키고자 하는 노력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Ty-1, Ty-2, Ty-3에 대한 CAPS 또는 SCAR 마커 개발이 보고되고 있으나(Hoogstraten et al., 2005; Garcia et al., 2007; Ji et al., 2007), gel-based 마커로 검정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TYLCV 내병계 육성을 위해 보다 신 속하고 효율적인 분자마커 검정을 실시하고자 Ty-1과 Ty-3의 SNP마커를 개발하였다. 기 개발 마커를 활용하여 내 병계 계통 및 도입품종 20개의 Ty-1과 Ty-3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20개의 프라이머 셋트를 제작하였다. Ty-1 SNP2와 Ty-3 hrm3 마커를 선발하고 계통 및 품종으로 HRM (high resolution melting)분석을 통해 실효성을 판단하였 다. 또한 자사의 시판 이병계와 내병계 종자를 대상으로 검정을 실시하여 Ty-1 SNP2와 Ty-3 hrm3 마커의 실효성을 확인하였다. 개발된 마커를 활용하여 2014년 봄작기 파종 F2 분리세대 50 계통과 도입품종 21 품종에 대한 검정을 실시하여 품종육성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였다.
316.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멜론은 세계 10대 주요채소로 대표적 글로벌 작물이며, 박과작물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주요 작물이다. 멜 론은 주로 교배와 선발에 의하여 품종육성이 이루어지고 있어 육종소재 육성에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되고 있 다. 따라서 단기간에 고정계통을 얻을 수 있는 반수체 배양법을 품종 육성에 적용할 필요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박과작물은 약배양 및 소포자 배양 효율이 낮아 극히 제한적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자성 발생을 이용한 위수정배 배양 및 배주배양법을 이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내병성 및 환경 적응성이 높은 5품종의 F1 (BN143, 145, 150, 152, 153)의 배주를 재료로 하여 배주배양을 실시하여 반수체 식물체를 유기하여 다양한 육종소재를 확 보하고자 하였다. 재료는 개화 24시간, 12시간, 6시간, 개화 직후의 샘플을 채취하여 씨방을 1mm로 슬라이스하여 배지조성 (MS와 NLM), 호르몬 조성(TDZ, BAP, NAA, Kinetin), sucrose 농도, 전처리 온도와 기간별로 식물체 유기 율을 조사하였다. 품종간의 식물체 유기율은 상이하였으나 BN143, BN145, BN150은 개화 6시간 전의 시료에서 TDZ 0.02mg/L에 10일간 치상 후 BA와 NAA 혼합배지로 계대배양한 절편에서 식물체 유기율이 높았다. BN152와 BN153에서는 배주의 일부가 캘러스화 되기는 했으나 식물체는 유기되지 않았다. 품종별 식물체 유기율이 상이하 므로 품종에 맞는 조건설정과 고효율의 배양계 구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농림수산식품부 수출 전략기술개발사업(312065-05-2-HD020)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진 것임.)
317.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전자변형(genetically modified, GM)작물 도입 유전자의 이동은 안전성평가 및 안전관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 소이며, 환경 모니터링 연구는 이러한 유전자이동성 확인을 위한 연구 중 하나로 많이 사용된다. 본 연구는 제초제 저항성 들잔디(zoysiagrass)의 야외환경 모니터링을 수행을 통한 환경모니터링 시스템 기반 구축을 위해 수행되었 다. 연구에 사용된 GM들잔디는 제초제저항 형질의 JG21과 JG21에 방사능처리로 웅성불임을 유도한 JG21-MS 등 2개의 이벤트를 이용하였다. 환경모니터링은 충남 성환, 충북 오창, 제주대 및 제주 납원읍 등 4개 격리포장 주변에 서 2011년부터 2013년까지 3년간 총 265개 지점, 1,634개체에 대해 화분에 의한 유전자이동 및 종자, 영양번식체에 의한 산포 조사를 통해 수행되었다. 모니터링 수행 결과 3개 지역에서 유전자이동 및 산포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2012년 제주 남원읍 지역 조사에서 격리포장 주변 2m 부근에서 JG21 1개체의 유출이 발견되어 보고 및 안전관리 조치를 수행하였다. 또한 RAPD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법을 이용한 JG21과 JG21-MS의 구분판별법 을 개발하여 GM들잔디의 환경방출실험 및 상업화 후 사후 안전관리에 활용될 수 있게 하였다.
318.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hinese cabbage is one of most important vegetable crop in Eastern Asian countries including Korea. Because Chinese cabbage is a leafy vegetable, genetic research with respect to the leaf morphology is important. In this research, we have used two inbred lines of Chinese cabbages (Kenshin and RCBr) and generated recombinant lines having various leaf morphology. In F2 population of Kenshin X RCBr, leaf shape showed very dramatic variations with normal distribution in terms of leaf size, petiole length, leaf margin and etc. Microarray with a 135K DNA chip (version 3) integrated 2 sets of total Chinese cabbage genes. Biological process of candidate genes was classified into transcription factor, genes encoding kinase activity protein, protein folding related genes, oxidation-reduction process genes. Putative leaf-morphology-related genes were 142 that are involed in phytohormone pathway genes, cell proliferation & cell elongation related genes and genes controlling leaf morphogenesis etc. These genes are further classified to phytohormone signaling-associated genes (SAUR44, PIN2, CPK6, RDUF2), leaf development regulating genes (DWF4, CUC2, TCP15, BLH4, NGA4), and cell division and cell growth related genes (ILP1, TCTP, EMB1027).
319.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세대 형질전환 벼 계통인 가뭄저항성 벼(CaMsrB2), 레스베라트롤 합성벼(RS), 인산 이용성 증진 벼(OsPT7) 3계 통과 모품종인 일미벼와 동진벼, 그리고 비교 품종으로 화성벼와 남평벼를 이용하여 수원, 익산과 밀양의 3개 지역 GMO 격리 포장에서 표준재배 시험으로 농업형질을 평가하였다. 가뭄저항성 벼 계통(CaMsrB2)은 익산에서 출수 기가 모품종 대비 1일 정도 늦었으며 라스베라트롤 합성벼(RS)는 수원, 익산, 밀양에서 모품종과 비교하여 4~5일 늦고. 인산 이용성 증진 벼(OsPT7 ) 계통은 익산지역에서 모품종 대비 1일정도 늦게 출수되었다. 형질전환 3계통의 수량성은 3개 지역에서 모품종 대비 수량지수가 88~102 였으며 수원과 익산에서 3계통은 모품종과 수량차이가 없 었으나 밀양에서 가뭄저항성 벼 계통과 인산이용성 증진 벼 계통은 모품종 보다 수량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형 질전환 3계통은 모품종과 생육비교에서 출수기, 등숙비율, 천립중, 수량성과 지역 적응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평가 되었다.
320.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amelina is a promising energy crop for the biodiesel industry, especially for production of airplane fuel. In addition, its distinctive fatty acid profile and high protein contents satisfy the nutraceutical and animal feed uses. About 200 accession collected from all of the world were selected and evaluated during 2012, 2013 and 2014. The important agricultural traits were detemined by field and greenhouse conditions. In addition, genetic diversity was assessed by GBS approach. a total of 20 Camelina spp. (mostly C. sativa) accessions collected in different locations in Europe and showed different agronomic traits are sequenced. In this section, detail GBS analysis of camelina will be pres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