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KCI 등재 환경생물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Vol. 33 No. 3 (2015년 9월) 11

1.
2015.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harpacticoid species, Paramphiascella fulvofasciata Rosenfield and Coull, 1974, belonging to Miraciidae Dana, 1846 is newly reported from Korean waters. The species is mostly related with P. pacifica Vervoort, 1962, however, it is easily distinguished by the typical structure of male P2 in having 1 large spine and 2 setae on P2 enp-2. Korean materials represented some discrepancies from the original description of P. fulvofasciata in the detailed structures of mouth parts. The present study is a first record of the genus Paramphiascella Lang, 1944 from Korean waters.
4,200원
2.
2015.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newly recorded glycerid polychaete collected from mud of the tidal flat in the southwestern coast of Korea is identified as Glycera fallax Quatrefages, 1850 based on the morphologies of papaillae and ailerons on proboscis, parapodial postsetal lobes, and branchiae. In this paper, we provide a detailed description and illustration of Korean materials of this species and a key to the species of the genus Glycera from Korean waters.
4,000원
3.
2015.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newly recorded species, Nereiphylla hera Kato and Mawatari, 1999 which was originally described from northern Japan, was collected from East Sea in Korea. Our Korean materials of N. hera are distinguished from it congeners by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that agree well with the original description of the species: the tentacular cirri are flat and spatulate with a narrow and distinct tip, reaching to segment 4-6, and boarder than their cirrophores; the parapodia possess elongated dorsal cirri. We provide a key for distinguishing the species of genus Nereiphylla from Korean waters.
3,000원
4.
2015.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bdelloids collected from various terrestrial habitats such as mosses, lichens, mushrooms on tree trunks, leaf litter and soil at four different locations in Korea were investigated. Five bdelloids new to Korea were identified: Macrotrachella inermis Donner, 1965, Macrotrachela magna Schulte, 1954, Macrotrachela oblita Donner, 1949, Habrotrocha eremita (Bryce, 1894) and Habrotrocha schultei Donner, 1965. All these rotifers except M. inermis are new to Asia as well. Remarkably, these five Korean new records included four rare species with poorly known distributions. M. magna and H. schultei are recorded outside their type localities for the first time. M. oblita has been reported only from five European countries, and M. inermis has been known from three European countries and Eastern Turkey before the present study. The taxonomy and distribution of each rare bdelloid are discussed here.
4,000원
5.
2015.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en new species of the genus Falcileptoneta are described; Falcileptoneta bifurca n. sp., F. boeunensis n. sp., F. chiakensis n. sp., F. cornuta n. sp., F. digitalis n. sp., F. hansanensis n. sp., F. juwangensis n. sp., F. moakensis n. sp., F. naejangenesis n. sp., and F. unmunensis n. sp. And six species previously known as Leptoneta spiders are transferred to Falcileptoneta as fo11ows; Falcileptoneta coreana (Paik and Namkung, 1969), F. hwanseonensis (Namkung, 1987), F. secula (Namkung, 1987), F. simboggulensis (Paik, 1971), F. yebongsanensis (Kim, Lee and Namkung, 2004), and F. yongdamgulensis (Paik and Namkung, 1969), all n. comb.
4,900원
6.
2015.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ur new species of the genera Masirana Komatsu, 1942 and Longileptoneta n. gen. (Araneae, Leptonetidae) are described from Gyeongsangbuk-do and Chungcheongbuk-do, Korea, under the names Longileptoneta songniensis n. sp., Masirana bonghwaensis n. sp., M. ilweolensis n. sp., and M. flabelli n. sp. A new genus, Longileptoneta n. gen., is also described.
4,000원
7.
2015.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섬진강의 본류와 지류를 대상으로 2010년 5월부터 2013년 9월까지 어류상을 연구한 결과, 총 13목 41과 81속 107종 37,751개체가 확인되었다. 출현어류 중에서 1차 담수어류는 57종 (53.3%), 2차 담수어류는 10종 (9.3%), 해산어류는 40종 (37.4%)으로 확인되었다. 전체 우점종은 피라미 Zacco platypus (28.7%), 아우점종은 참갈겨니 Z. koreanus (15.0%)로 나타났다. 한국 고유종은 전체 21종 (31.3%)이 출현하였으며 보성강 수계에서 19종으로 다양하게 확인되었다. 환경부지정 멸종위기 야생동물 I급인 임실납자루 Acheilognathus somjinensis, II급인 다묵장어 Lampetra reissneri와 모래주사 Microphysogobio koreensis 등 3종이었다. 외래종은 모두 3종으로 떡붕어 Carassius cuvieri, 블루길 Lepomis macrochirus 및 베스 Micropterus salmoides였다. 얼록동사리 Odontobutis interrupta는 섬진강 수계에 이입되어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4,900원
8.
2015.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춘계 영월 한반도습지 주변 유수역의 동물플랑크톤 군집 동태 연구를 위하여 2014년 3월부터 7월까지 3개 정점에서(정점 1: 영월 서강, 정점 2: 평창강, 정점 3: 주천강) 4회의 동물플랑크톤 시료를 채집하였다. 총 58종류의 동물플랑크톤이 출현하였으며 27종의 윤충류, 18종의 지각류, 8종류의 요각류, 4종류의 수서곤충 유생 및 한 종류의 선충류로 이루어져 있었다. Alona속의 종들과 같은 씨물벼룩과에 속하는 지각류가 다양하게 출현하였고 정수역 대표종들인 물벼룩과와 긴뿔물벼룩과의 지각류가 미출현한 것은 조사 수역의 유수성을 보여준다. 동물플랑크톤 출현량은 정점 3에서만 입방미터당 4,451~ 8,011개체로 높았고 나머지 정점들에서는 500개체를 넘지 않았다. 정점 1에서 3월부터 6월까지는 수서곤충의 유생이 우점하다가 7월에는 지각류와 요각류의 우점으로 천이가 이루어졌으며 유사한 천이가 정점 3에서도 관찰되었으나 정점 2에서는 이러한 천이가 없었다. 종다양성지수는 3월을 제외하면 정점 1에서 항상 높게 나타났다. 조사 기간 내내 높은 용존산소량은 (9.0~11.0 mg·liter-1) 산간 계류의 특성을 보이는 것이며 수온은 3월에 10.1°C에서 7월에 27.9°C로 서서히 증가하였고 높은 pH는 (7.9~ 8.9) 조사 수역 주변의 석회석 광산과 시멘트 공장의 영향으로 추정된다.
4,000원
9.
2015.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도심하천에 양서류를 재입식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2013, 14년에 걸쳐 강원도, 경기도 일부 지역에서 옴개구리 (Rana rugosa)를 대상으로 먹이활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옴개구리 위 내용물을 적출하여 70% 에탄올에 고정한 후 해부현미경으로 관찰 및 촬영하였고, 옴개구리 서식지에서 포충망을 이용한 쓸어잡기 (sweeping), 트랩 (trap) 채집을 실시하여 포획 생물들을 동정한 결과를 위 내용물 분석 결과와 비교하였다. 결과로서, 옴개구리는 벌목 (Hymenoptera), 딱정벌레목 (Cleoptera)의 곤충을 주로 섭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위 내용물에서 확인된 벌목의 98% 이상은 개미과 (Formicidae)로 확인되었다. 옴개구리 서식지 주변 배회성 서식곤충은 남양주의 경우 벌목 58% (개미과 99%), 톡토기목 17%, 메뚜기목 10%, 파리목 9% 순으로 출현했다. 양평의 경우 톡토기목 49%, 메뚜기목 14%, 거미목 9%, 파리목 9%, 딱정벌레목 7%, 벌목 3% 순으로 출현했다. 이러한 결과는 하천변에 노린재목, 파리목이 많이 분포하지만 옴개구리는 하천변 바위나 초지에서 발견되는 개미나 딱정벌레들을 비교적 쉽게 사냥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옴개구리는 특정 먹이를 선호하기보다는 하천변에서 쉽게 발견되는 소형 육상곤충을 섭식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도심하천에 먹이자원은 옴개구리 서식의 제한요인이 되지 않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0.
2015.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IPCC (2006)의 농업분야 온실가스 배출권 측정의 새로운 지침에 의거하여 과수와 토양, 대기 간의 탄소수지 산정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전남 나주시의 배 재배농가를 대상으로 토양 호흡량과 초본류, 그리고 과수의 생태계 순생산량을 측정하였다. 토양 호흡량 및 초본류 생태계 순생산량은 Closed Dynamic Chamber (CDC) 방법으로 측정하였고, 배 과수의 생태계 순생산량은 EddyPro 5.2.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분산법으로 측정하였다. 배 과수원의 토양 호흡량으로 연간 429.1 mg CO2m-2 h-1이 배출되었으며, 토양온도민감도 (Q10)는 2.3으로 나타났다. 초본류의 경우 측정기간 동안 호흡이 광합성보다 우세하게 나타났다. 2015년 6월 20일부터 24일까지 초본류의 광합성 또는 호흡을 통해 흡수 및 배출된 CO2의 총합은 156.1 mg CO2m-2 h-1으로 상대적으로 호흡이 더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배 과수의 광합성 또는 호흡에 의한 CO2 총합은 - 680.1 mg CO2m-2 h-1로 광합성에 의해 CO2가 흡수되었다. 배 과원 단위의 토양 호흡량과 초본류 및 배 과수의 광합성 및 호흡량의 총합은 - 0.04 ton CO2ha-1로 CO2의 흡수원이었다. 결론적으로 배 과원에서의 다양한 접근방법을 통한 향후 다년생 목본 작물 재배지에서의 탄소수지 산정 방법론 제시에 꼭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4,000원

Note

11.
2015.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낙동강 본류에 서식하는 Pectinatella magnifica의 출현양상을 조사하기 위해 발생시기인 2014년 7월~11월 동안 기본 분포조사와 출현밀도가 높은 지역을 대상으로 집중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낙동강 본류 구간 내 Pectinatella magnifica의 부착기질은 인공적으로 형성된 기질에서 12.3%, 자연기질에서 87.7%로써 자연기질에서 매우 높게 확인되었으나 자연기질에 포함된 식물군락의 특정 종에 따른 선호하는 정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 본 조사 결과에서는 고착대상으로 하는 기질의 분포 정도의 차이는 P. magnifica의 분포 차이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러므로 태형동물이 선호하는 출현기질의 증가는 P. magnifica의 성장 및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로써 작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