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목화의 실용형질 향상으로 새로운 품종 육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육지면 5개 품종과 이들을 이면교잡 하여 얻은 F1 10개 조합을 재료로 주당 수량, 주당 삭수, 1삭 종자수, 종자장, 종자폭, 1삭 조면중 등 6개 형질에 대한 잡종강세, 조합 능력, 유전성분, 유효유전자수, 유전력 등을 분석한 것으로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Heterosis와 heterobeltiosis는 주당 수량, 주당 삭수, 종자장, 1삭 조면중에서 부의 방향으로 유의하였다. GCA와 SCA는 모든 형질에서 고도로 유의하였다. 평균우성정도는 주당수량, 주당 삭수, 1삭 종자수 및 종자폭에서 초우성으로 나타났고, 종자장은 완전우성, 1삭 조면중은 부분우성으로 나타났다. 유효유전자수는 주당 수량, 주당 삭수, 종자장에서 2개, 1삭 종자수, 종자폭 그리고 1삭 조면중에서 1개로 추정되었다. 협의의 유전력은 주당 수량, 주당 삭수 및 1삭 종자수에서는 낮았으나 종자폭에서는 높았다. 광의의 유전력은 1삭 조면중을 제외한 모든 형질에서 높았다.
본 조사는 진해시 일대에 분포하는 식물상을 체계적으로 조사 및 분석함으로써 환경보전의 기초자료 제공과 더불어 자원식물적 접근을 통해 차후 생물자원 확보 방안 마련을 위한 틀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장복산, 안민고개, 화산 일대에 분포하는 전체 식물현황은 98과 286속 394종 49변종 4품종 등 447분류군이 관찰되었다. 지역별로는 장복산이 80과 210속 261종 35변종 4품종 등 300분류군, 안민고개가 66과 152속 178종 27변종 1품종 등 206분류군, 화산 일대가 90과 232속 294종 34변종 3품종 등 331분류군이 조사되었다. 한국특산식물은 뻐꾹나리, 호랑버들, 소사나무, 가는장구채, 할미밀망, 자주꿩의다리, 매화말발도리, 조팝나무, 해변싸리, 개나리, 병꽃나무 등 10과 11속 10종 1품종 등 1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보존순위 97번인 뻐꾹나리와 202번인 태백제비꽃이 화산 일대 계곡에서 발견되었으며, 이에 대한 보전대책이 필요할 것이다. 귀화식물은 오리새, 애기수영, 소리쟁이, 방가지똥, 서양민들레, 토끼풀 등 11과 18속 21종 1변종 등 22분류군이 확인되었고 자연파괴도는 약 8.3%, 귀화율은 약 4.9%로 산출되었다. 자원식물 분포를 살펴보면, 장복산 일대는 관상용 147종, 약용 218종, 식용 182종, 기타용 151종이고 안민고개는 관상용 91종, 약용 155종, 식용 129종, 기타용 100종으로 나타났으며, 화산 일대는 관상용 167종, 약용 236종, 식용 195종, 기타용 155종이었다.
RPG게임에서의 맵은 단순한 캐릭터들의 이동이나 활동을 위한 무대를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몬스터와 NPC등 게임의 모든 요소가 혼합된 월드로서 작용을 한다. 그러나 맵과 맵에 따른 몬스터의 설계는 게임이 어느 정도 개발된 후에 테스트를 통해서 밸런스를 맞춰가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개발기간이 추가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게임기획초기에 맵과 맵에 따른 몬스터의 배치를 게이머의 성향에 따라 설정함으로써 특정 맵만을 사용함에 따르는 비효율적인 맵 사용을 방지할 수 있는 맵 시뮬레이터를 설계 구현하면서 연구한 결과를 기술한다.
본 연구진은 선행 연구에서 progesterone receptor membrane component 2 (pgrmc2) 유전자가 미성숙 난자에서 높게 발현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pgrmc2와 pgrmc1 유전자가 쥐의 생식소와 배아의 발달 단계에 따라 어떻게 발현하는지 알아 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들 유전자는 난소, 정소, 배아, 그리고 난자의 다양한 발달 단계에서 발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쥐 난자 세포막에 프로게스테론 수용체가 존재하
본 연구의 목적은 컴퓨터 동화를 활용한 언어활동을 실시하여 봄으로써 유아의 언어 능력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 유아는 충청북도 청주시에 위치한 S유치원 2개 학급 유아들이다. 2개 학급 모두 만5세 반이며, 유아 수는 실험집단은 30명(남:15, 여:15), 통제집단은 29명(남:14, 여15)이었다. 연구 결과 컴퓨터 동화를 활용한 언어활동은 유아의 언어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하면 유아들은 컴퓨터 동화를 활용한 언어활동에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으며, 그 결과 유아의 언어 능력이 향상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나물용 콩의 파종기가 콩나물 원료콩의 배축신장성과 콩나물 생장 및 수율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함으로써 양질 콩나물 품종육성과 재배기술 확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2000~2001 년에 호남농업연구소 전작시험포장에서 파종기를 달리하여 생산된 원료콩을 이용하여 실험실과 콩나물 간이검정실에서 시험을 수행하였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재배온도별 콩나물의 배축신장성은 재배온도가 높을수록 빨랐으며, 재배일수가 길어질수록 그 차이가 컸다. 2. 콩나물의 배축장과 근장은 연차간에 차이가 있었으며 7월 5일 파종이 5월 25일과 6월 15일 파종보다 길었고, 배축굵기는 도레미콩이 가장 굵었으며 한남콩이 가늘었다. 전장은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길어졌고 은하콩이 가장 길었으며, 다원콩이 가장 짧았다. 3. 콩나물의 부패립율과 불완전발아립율은 파종기가 늦어지면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부패립율은 다원콩이 가장 낮았고 소명콩이 가장 높았으며 불완전발아립율은 풍산나물콩이 가장 낮았고 한남콩이 가장 높았다. 4. 콩나물 수율은 2001년에 생산된 종실에서 더 높았고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증가하였으며, 은하콩과 도레미콩이 높았고 파종기에 따른 콩나물 수율의 변이가 적고 안정적인 품종은 풍산나물콩과 소명콩이었다. 5. 콩나물 수율과 제형질과의 관계는 종실의 수분흡수율이 낮고 치상 1일과 4일후의 발아율이 높은 것이 콩나물 수율이 높았으며, 콩나물 수율과 배축장, 근장 및 개체당 생중과는 정의 상관이었다.
본 연구는 나물용 콩의 파종기가 콩나물 원료콩의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함으로써 양질 콩나물 품종육성과 콩나물 원료콩의 안정적 생산 공급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2000~2001 년에 호남농업연구소 전작시험 포장에서 파종시기 시험을 수행하였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개체당 협수, 공협수, 입수 및 100립중은 파종기 및 품종간에 차이가 있었으며, 파종기가 늦어짐에 따라 감소하였다. 협당 입수별 협수의 분포비율은 2~3 립 협이 80.9~77.5% 이었으며 파종기에 따라 2립 협의 변이가 컸다. 2. 수량은 2년간 시험품종 평균 5월 25일 파종은 290 kg/10a, 6월 15일 파종은 269 kg/10a 및 7월 5일 파종은 221 kg/10a으로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감소하였고, 풍산나물콩이 수량이 가장 높았으며 파종기에 따른 수량 감소 정도가 적었고 그 외 품종들은 파종기에 따른 수량의 감소 정도가 컸다. 3. 수량은 개화일수, 성숙일수, 생육일수, 분지수, 줄기굵기, 개체당 협수, 개체당 입수 및 개체당 엽면적과 정의 상관이었으며 개체당 협수는 개체당 입수, 개체당 엽면적 및 건물중과, 개체당 입수는 개체당 엽면적 및 건물중과 정의 상관이었다.
다량의 페놀류 2차 대사산물과 다당류가 포함된 녹두 종자의 RNA를 Tris-buffer와 guanidium thiocyanate 용액을 이용하여 손쉽고 간편하게 고순도의 RNA를 분리하는 방법을 확립하였으며, 우리의 분리 방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RNA를 사용하여 RT-PCR과 유전자 클로닝 등의 분석시험에 이용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나물용 콩의 파종기가 콩나물 원료콩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함으로써 양질 콩나물 품종육성과 재배기술 확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2000~2001 년에 호남농업연구소 전작시험포장에서 파종시기 시험과 콩나물 간이검정실에서 콩나물생장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종실의 자반립, 열피립 및 미숙립 발생율은 5월 25일 파종이 6월 15일과 7월 5일 파종에 비하여 높았고, 풍산나물콩이 자반립, 열피립 및 미숙립 발생율이 가장 낮았으며 한남콩이 발생율이 가장 높았다. 2. 조단백질함량은 파종기가 늦어지면서 감소하였고, 5월 25일과 6월 15일 파종에서 다원콩이 가장 높았고 7월 5일 파종에서는 풍산나물콩이 가장 높았다. 조지방함량은 파종기에 따른 일정한 경향이 없었으며 소명콩이 가장 높았고 다원콩이 가장 낮았다. 3. Isoflavone의 aglycone 함량은 6월 15일 파종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7월 5일파종이 많았으며, 5월 25일파종이 적었고, 품종간에는 소명콩이 가장 많았고 다원콩이 가장 낮았다. 4. 종실의 품질향상을 위한 나물콩의 파종기는 지나친 일찍 또는 늦게 심는 것 보다 품종 특성을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유아 놀이와 자유선택활동의 교육적 의의를 뇌과학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뇌는 인간 모든 행동을 관할하는 기관으로 학습 또한 뇌에서 이루어진다. 뇌의 학습을 도모할 수 있는 뇌 기반 학습은 위협이나 스트레스가 없는 정서적으로 안정된 분위기와 풍부한 학습 환경에서 유의미한 내용을 정서와 신체적 움직임을 활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자유선택활동은 긍정적인 정서와 신체적 움직임을 수반하는 놀이를 맥락적인 연결을 맺고 있고 다감각을 활용하게 하는 흥미영역환경에서 유아가 자신의 자유 의지에 따라 주도적으로 선택 및 계획하고 실행하고 평가하는 과정을 통해 유의미한 내용을 유의미하게 학습하게 한다. 따라서 자유선택활동은 뇌 기반 학습에 부합되는 학습활동으로 학습의 효과를 거두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자유선택활동의 뇌과학적 이해는 자유선택활동의 교육적 의의에 대한 과학적 입증으로 바람직하고 적극적인 지도를 위한 노력이 요구됨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철근콘크리트 보에 대해 선가력 후 보강재료별로 보강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휨 실험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실험결과, CB 보강 실험체가 콘크리트 내부에 매입되어 일체 거동함으로써 휨내력 향상 및 연성능력 면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섬유계 보강재인 CFS와 GFS 보강 실험체 또한 우수한 내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GSP 보강실험체의 경우 다른 보강 실험체에 비해 보강재 자체의 내력은 큰데 반해 콘크리트와 부착성이 떨어져 상대적으로 낮은 보강효과를 보였으며 실제 구조체에서는 콘크리트와 부착성이 개선 되어 보다 큰 보강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지점부 단면형고 확대를 도입한 연속 프리스트레스트 Steel I-Girder의 휨거동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긴장력 도입 후 정적 휨 재하실험을 수행 하여 지점부 단면형고 확대도입 및 강연선의 배치양상, 도입된 긴장력을 실험변수로 하여 그에 따른 내하력 향상정도를 평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