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7

        41.
        1994.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iglycidy1 ether of bisphenol A(DGEBA)-Mthylene dianiline(MDA)계에 사슬 확장제인 Succinonitrile(SN)과 반응 촉진제인 Hydroquinone(HQ)을 혼합한 계의 열적 성질을 연구하였다. SN과 HQ의 함량을 4:1로 고정시키고 HQ의 함량을변화시키면서 유리전이 온도와 열변형 온도 그리고 열 분해 온도를 측정하였다. HQ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리전이 온도와 열 변형 온도가 약간 감소하였으며 열 분해 온도는 HQ의 함량과 경화 온도의 변화에 따라 360˚C정도의 안정한 값을 나타내었다.
        4,000원
        42.
        1994.10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iglycidy1 ether of bisphenol A(DGEBA)/4, 4'-methylene dianiline(MDA) 계에 malononitrile(MN)과 hydroquinone(HQ)을 도입한 계의 기계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80˚C에서 1.5hr경화시킨후, 150˚C에서 1hr 더 경화시킨 시편을 제조하여 시험하였으며, 사슬확장제로 작용하는 MN과 반응 가속제로 작용하는 HQ가 기계적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MN과 HQ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충격특성은 크게 개선된 반면, 딘장특성은 감소하였다.
        4,000원
        43.
        1994.08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연구는 DSC (dynamic run)의 Barrett method Integral mdthod DGEBA/MDA/MN(malononitrile) DSC DSC pre exponential factor, kinetic parameter 들을 구할 수 있었다.
        4,000원
        44.
        1993.08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코-1,4-시클로헥실렌 디메틸렌 데레프탈레이트), P(ET-CT), 공중합체의 결정구조를 CPMAS NMR분광법을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결정화 시료에서 메틸렌기에 의한 공명 피크를 CT와 ET성분으로 분리시켜 분석한 결과, 0-20 몰%의 CT조성을 갖는 공중합체는 bulky한 CT성분이 PET결정격자에서 배제되고 66-100 몰 100%의 CT조성을 갖는 공중합체는 PCT결정격자 내부에 ET성분이 부분적으로 혼입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정구조의 공중합 조성 의존성은 ET와 CT의 반복단위 길이와 결정격자의 크기가 다르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4,000원
        45.
        1993.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에폭시 수지를 개질하기 위하여 반응성 첨가제 Malononitrild(MN)을 Diglycidy1 ether fo vispenol A (CGEBA)/Methylene dianiline(MDA)계를 첨가하여 이 계의 경화 반응속도론과 경화반응메카니즘을 시차주사 열분석(DSC)과 적외선 흡수 분광법을 통해 관찰하였다. 경화반응속도론으로부터 MN으로 개질된 DGEBA/MDA는 완전히 경화를 이루기 위하여 80˚C로 부터 170˚C까지 30˚C간격으로 경화시킨 시료로 반응메카니즘을 고찰한 결과 PA(primary amine)-E(epoxide)그리고 E(epoxide)-OH(hydroxy1 group)반응 이외에 PA(primary amine)-CN(nitrile)과 CN(nitrile)-OH(hydroxy1 group)반응이 일어남을 알았다.
        4,000원
        46.
        1993.04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에폭시 수지로 bisphenol계diglycidy1 ether of bisphenol A(DGEBA)type에 아민계 경화제 4, 4'-methylene dianiline(MDA)를 사용한 계에 나타나는 취약점인 담약성을 개선하고자 반응성첨가제 succinonitrile(SN)을 첨가하였다. 이때 나타나는 화학적 구조의 변화로 야기되는 유리전이온도(Tg), 열분해온도(Td), 초기 열분해 온도(T-5%)를 SN의 함량비와 경화조건을 달리하여 고찰하였다. 이들 열적성질들은 SN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리전이온도와 열분해 온도는 감소하였고, 초기열분해에 일어나 5%의 중량감소가 나타나는 온도 또한 감소하였으나, 혼합액을 높은 온도에서 경화 시킬 경우 이들 열적성질들은 증가하였다.
        4,000원
        47.
        1993.04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열경화성 에폭시 수지의 물성 중 담약성을 개선하기 위해 새로운 반응성첨가제 succinonitrile(SN)을 Diglycidy1 ether of bisphenol A(DGEBA(-4,4'-methylene dianiline(MDA)계에 도입하여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유리섬유 복합재료에 매트릭스로 사용될 경우에 있어서 파괴되는 거동을 미시적으로 고찰하였다. 그 결과 post debond friction 에너지가 파괴 거동을 주도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pull-out에너지 그리고 debonding 에너지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파괴 거동에 미치고 있는 중요한 요인은 섬유와 매트릭스 간의 경계면 전단 응력이 크게 좌우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때 반응성 첨가제 SN은 전단응력을 떨어뜨리는 것으로 고찰되었다.
        4,000원
        48.
        1993.0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iglycidy1 ether of bisphenol A(DGEBA)와 강화제로서 4, 4'-methylene dianiline(MDA)에 반응성 첨가제 succinonitrile(SN)을 첨가한 새로운 계를 적외선 흡수분광도법(FT-IR)으로 경화반을 메카니즘을 연구하였으며, 이것은 반응성 첨가제의 함량을 다르게 첨가시켜 각각 80˚C부터 170˚C까지 30˚C 간격으로 1시간동안 경화시킨 시료를 가지고 고찰하였다. 그 결과 제 1차 아민 수소와 에폭사이드기의 반응, 제 2차 아민 수소와 에폭사이드기의 반응, 에폭사이드기와 수산기와의 반응에 추가적으로 제 1차 아민수소와 SN의 니트릴기와의 반응, 니트릴기과 수산기와의 반응이 일어나 최종적으로 주쇄간 결합 길이를 연장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49.
        1992.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uccinonitrile을 첨가한 새로운 에폭시 수지, diglycidyl ether of bisphenol A(DGEBA)/4, 4'-methylene dianiline(MDA)/succinonitrile(SN)계의 역학적 성질을 충격 저항실험과 응력 변형실험을 통하여 곁화반응 특성과 반응기구를 근거로 하여 고찰하였다. DGEBA/MDA계에 각각 다른 succinonitrile의 함량을 포함하는 계를 80˚C에서 1.5시간 동안 경화시킨 후 완전히 경화를 이루기 위하여 150˚C에서 1시간 동안 경화시킨 후 시험한 결과 Succinonitrile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본 계의 충격강도는 점차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인장강도는 감소하였다. 그리고 Young률은 거의 일정하게 나타났으며, 신도는 succinonitrile의 함량이 10phr에서 최대값을 보였다. 본 실험으고부터 얻은 결과는 succinonitrile이 첨가됨으로써 주 사슬간의 결합길이가 연장되었기 때문임을 알았고, 적당량의 succinonitrile을 첨가함으로 에폭시 수지의 유연성이 개선됨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50.
        1992.04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는 섬유 및 다방면의 응용분야에 사용되는 상업용 고분자로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PET를 개질하기 위해 pentanediol의 이성질체인 1,5-pentanediol(1, 5-PD)과 neopentyl glycol(NPG)를 제3 monomer로 도입시켰다. NPG를 도입시킨 경우에는 결정화 속도가 감소하고, 1,5-PD로 개질된 PET는 1,5-PD가 약 10mo1% 첨가될 때가지 결정화 속도가 서서히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NPG의 branch된 methyl기가 고분자 사슬에 표면으로 확산되면서 결정화하는 것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4,000원
        51.
        198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udy area is the southwestern peripheral part of the KyoˇSngsang Basin. The maximum thickness of the Nakdong Formation is only 200m thick in this area and gradually thins toward the west. The Sindong Group is relatively coarse-grained here. The Chilgok Formation and the Silla Conglomerate Formation occur in the Changsoˇn Island, but they apparently entail toward the northwest and are no more so divisible in the northern vicinity of Namhae, where they are collectively called here $quot;Namhae Formation.$quot; The angular unconformity between the Yuchsoˇn Group and the low-lying formations is obvious in this area. The Changsoˇn Formation, the basal unit of the Yuchoˇn Group in this area, is composed mainly of andesitic rocks but contains in its upper part the Jijok Member composed of reddish tuffaceous sedimentary layers. Overlying the Changsbn Formation is a unique sedimentary facies of the Yuchoˇn Group. It is here called the Danghangri Formation, of more than 400m thick and composed mainly of pebbly and conglomeratic sandstones. The composition of the pebbles of the Danghangri Formation, i.e., gneiss, quartzite, andesite etc. connotes the dual provenances of the basement rocks and the penecontemporaneous volcanic rocks. The sandstones of the Sindong Group(38 samples) are mainly arkose or arkosic arenite and subordinately subgraywacke and subarkose. A sequential variation of composition is apparent from the Nakdong Formation dominated by subgraywacke to the Jinju Formation dominated by arkose.
        4,200원
        52.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혼성제 케이슨에서 발생 가능한 활동, 전도 그리고 편심 경사하중에 의한 마운드 지지력에 대한 안정성을 다중 파괴모드 개념으로 해석하였다. 먼저 결정론적 해석에서는 활동 및 전도 그리고 마운드 지지력에 대한 한계 상태방정식을 이용하여 최소 안전율을 만족하는 혼성제 케이슨의 최소 단면을 산정할 수 있는 식을 유도하였다. 입사조건 및 마루높이 그리고 설치수심에 따른 결정론적 해석 결과에 의하면 활동 파괴모드와 마운드 지지력 파괴모드 간 상충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혼성제 케이슨의 설계단면을 결정론적으로 산정하는 경우에도 활동뿐만 아니라 전도와 마운드 지지력에 대한 다중 파괴모드를 동시에 고려하여야 한다. 한편 확률론적 해석에서는 활동에 의하여 결정된 단면에 대하여 다중 파괴모드에 대한 시스템 신뢰성 해석을 수행하였다. 혼성제 케이슨의 다중 파괴모드에 의한 제체의 시스템 파괴확률이 입사조건에 따라 매우 다르게 거동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마루높이와 설치수심이 증가하여도 제체의 시스템 파괴확률이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특히 시스템 신뢰성 해석의 일차 해석모형과 이차 해석모형의 결과들은 본 연구에서 수행된 조건들에서는 일치되는 거동 특성을 나타냈다. 그러나 파괴모드 사이의 상관성을 올바로 고려할 수 있는 이차 해석모형의 결과가 더 높은 정도를 갖는다. 다만 파괴모드 사이에 파괴확률이 상대적으로 크게 차이나는 경우에는 일차 해석모형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53.
        2018.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혼성제 직립 케이슨의 활동에 대한 부분안전계수 산정과 Level I 신뢰성 기반 설계법에 의한 단면 결정 과정을 자세히 제시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형식의 일치성과 실무에서의 적용 편이성을 위하여 부력 및 자중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수위 및 케이슨을 구성하는 재료의 불확실성을 고려할 수 있는 수학적 모형을 제시하였다. 또한 양압력에 대한 영향을 정확히 고려하여 활동에 대해 안정한 혼성제 직립 케이슨 단면을 산정할 수 있는 설 계기준식을 유도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부분안전계수를 가지고 Level I 신뢰성 기반 설계법에 의해 산정된 단면이 동일한 목표파괴확률에 대 한 Level II AFDA의 결과 및 Level III MCS의 결과와 매우 잘 일치하였다. 그러나 미국 및 일본의 항만 설계기준에서 제시한 부분안전계수를 이용한 결과는 그 보다 훨씬 크거나 작은 단면을 산정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부분안전계수의 목표수준과 Level I 신뢰성 기반 설계법으로 결정된 단면의 안정성 수준에 대한 일치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다각적인 신뢰성 재해석이 수행되었다.
        54.
        2018.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물순환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과 결과를 분석하는 기존의 연구들은 대부분 강우-유출모형을 사용하고 있어 모형의 구축 및 매개변수의 보정과 검증에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수문기상자료만을 이용하여 유량의 변동성분을 정량화할 수 있는 수문학적 민감도 분석기법을 화천댐 상류유역에 적용하고 화천댐 유입량에 대한 1967~2017년 동안의 변동량을 자연적 요인과 인위적 요인으로 분리하여 제시하였다. 다양한 변동점 탐색기법을 사용한 결과 1999년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동점으로 탐색되었으며, 이를 활용하여 수문학적 민감도 분석을 5가지의 Budyko 함수들을 이용하여 산정한 결과 평균적으로 18.99억 m3/y의 유입량 감소가 임남댐 건설로 인하여 발생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기존 연구자들의 화천댐 유입량 감소량에 비해 다소 크게 산정된 결과이며, 이는 2000년대 이후 증가된 강우량 및 화천댐 유입량의 감소가 주된 영향을 미친 결과로 추정된다. 향후 월별, 계절별 단위의 분석이 추가로 연구될 필요가 있으며, 미래의 기후변화 상황을 고려한 예측을 통한 실효성 있는 계획이 수립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55.
        201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는 지난 30년 동안 기후변화 및 도시화 등으로 인한 변화가 급격하게 진행된 바 있으므로, 두 가지 요소들로 인한 유량의 변동량을 정량화 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유량의 변동량을 특정 원인별로 구분하여 분석하고자 하는 국내 연구는 매우 미미한 형편이며, 다양한 시간단위 를 이용한 원인별 유량 변동량의 산정에 관한 연구는 더욱 찾아보기 힘들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및 인간활동으로 인한 유량 변동량을 정량적으로 분리하기 위하여 수문모형을 이용한 방법과 수문학적 민감도(hydrological sensitivity) 분석 방법을 소양강 상류유역 및 섬강 유역에 대해 적용하고 유량 변동량의 결과를 월별, 분기별 및 연별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인간활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급진적인 변동점을 탐색하기 위해 이중누가곡선, Pettitt 검정 및 베이지안 변동점(Bayesian change point)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탐색된 변동점을 활용하여 변동점 이전 구간에 대 해 보정 및 검증된 SWAT모형과 6가지의 Budyko 곡선 함수들로부터 각각 유량 변동량을 산정하여 수문모형에 의한 유량 변동량을 검증하였다.
        56.
        201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경관생태학적 분석방법과 생태네트워크 개념을 도입하여 금강하구 광역 생태축을 구상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의 대상지는 전라북도 군산시 성산면, 나포면 일대 금강 군산권역 전체이며, 그 중에서도 제방을 중심으로 제내지 1km 이내 권역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금강하구의 자연생태·인문환경에 대한 종합분석을 기반으로 가창오리를 목표종으로 선정하였다. 금강 일대의 우수한 기존 서식환경을 적극 보전하고, 신규 서식처의 조성·복원을 목표로 수변지역 일대를 관리하고자 하며, 가창오리와 수금류가 직접적으로 머무르는 서식처의 보전 뿐만 아니라, 이들 생물종을 부양하는 하위 생태피라미드 및 서식기반환경에 대한 포괄적인 관리를 수행하도록 한다. 둘째, 생태권역의 설정과 관련하여, 유네스코 MAB모형을 기반으로 대상지를 핵심지역, 완충지역, 연결지역, 복원지역 및 지속가능지역으로 세분화 한 후, 최종적으로 보전권역, 복원권역 및 체험·이용권역으로 생태관리권역을 분석 및 구분하였다. 보전권역은 경관생태학적 분석의 핵심지역을 중심으로 인간의 이용 및 간섭을 최소화하며, 지역의 생물다양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야생동식물의 서식처로 관리하기 위해 설정된 공간으로, 핵심지역의 배후부지로 완충지역 일부가 포함한다. 복원권역은 생물서식공간의 확대와 생태계의 건전성 회복을 목표로, 기존 생태공간에 대한 기능향상 및 단절·훼손지역에 대한 생태복원 등 지속적인 관리가 요구되는 공간으로, 완충지역, 연결지역, 복원지역 등을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체험·이용권역은 기개발지 및 접근성 우수지역을 중심으로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금강의 생태자원을 이용·활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주변지역과의 연계를 통한 생태관광 활성화를 도모하는 지역으로 정의한다. 본 연구는 최종적으로 각 권역별로 관리방향, 8대 추진전략 및 26개의 주요 사업과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보전권역은 생물다양성 관리계약의 확대, 무논습지 조성, 녹지 및 습지총량제 등의 관리제도 도입을 제안하였으며, 복원권역의 경우 조류 및 생물서식공간 조성, 단절지역 소규모 비오톱 조성 및 수질정화습지의 조성 등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체험·이용권역의 경우 생태체험마을 조성, 습지생태공원 조성 및 생태해설사 양성 및 활성화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프로젝트 및 프로그램은 본 대상지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줄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에 생태관리권역의 설정 및 권역별 주요 사업 및 프로그램의 선정이 일부 주관적인 판단에 의해 진행된 부분이 있으며, 향후 보다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접근방법이 담보되어 진다면, 향후 국가 광역 핵심생태축 조성사업 등과 연계하여 보다 체계적인 생태자원의 보전 및 활용의 가이드라인을 제공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57.
        2015.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모수(parameter)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비정상성 확률분포를 훙수빈도분석에 적용하였다. 또한, 비정상성을 가정한 재현기간 및 위험도를 추정하였다. GEV (Generalized Extreme Value) 분포를 사용하여 정상성 및 비정상성 모형 4개를 구축하였으며 비정상성 모형은 위치모수(location parameter)만 선형경향성을 가지는 경우, 규모모수(scale parameter)만 선형경향성을 가지는 경우, 위치 및 규모모수가 모두 선형경향성을 가지는 경우의 3가지로 구분되었다. 구축된 4개의 모형 중 적합모형을 선정하기 위해 상대적 우도비 검정과 Akaike 정보기준을 사용하였으며, 우리나라의 8개 다목적댐(충주댐, 소양강댐, 안동댐, 임하댐, 합천댐, 대청댐, 섬진강댐, 주암댐)으로부터 취득된 과거 관측 댐 유입량을 사용하여 제안된 절차를 적용하고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적합모형 선정 결과 합천댐과 섬진강댐이 비정상성 GEV 모형에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나머지 6개 지점의 다목적댐들은 정상성 모형에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합천댐과 섬진강댐의 경우 비정상성 가정에서 산정된 재현기간이 정상성 가정에서 산정된 재현기간보다 작게 산정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58.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total phenolics of four Rosaceae species Pourthiaea villosa (Thunb.) Decne, Sorbus commixta Hedlund, Sorbaria sorbifolia var. stellipila Maxim and Pyrus pyrifolia (Burm.f.) Nakai were determined. Phenolic content (polyphenol and flavonoid),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and 2,2-azino-bis (3-ethylnezthiazoline-6-sulfoic acid) (ABTS)] and ferrous ion chelating effect were evaluated.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were highest in Pourthiaea villosa (Thunb.) Decne and lowest in Pyrus pyrifolia (Burm.f.) Nakai. Phenolic contents of Pourthiaea villosa (Thunb.) Decne was 331.45±7.78 and 90.4±3.5 mg·g-1.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found to be lowest in Sorbus commixta Hedlund whereas Sorbaria sorbifolia var. stellipila Maxim and Pourthiaea villosa (Thunb.) Decne showed relatively good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Ferrous ion chelating effect was highest in Pyrus pyrifolia (Burm.f.) Nakai (1.05±0.04 mg·ml-1) and lowest in Sorbus commixta Hundlund (4.22±0.71 mg·ml-1).
        59.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기후변화로 인한 한반도 주요 권역에서의 미래 평균해수면 상승을 장기 조위자료를 사용하여 통계적으로 추정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5개 조위 관측소로부터 얻어진 장기 조위자료에 대한 비모수적 경향성 검정인 Mann-Kendall 검정을 통해 관측된 자료의 경향성을 검정하였으며, 이를 보다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Bayesian 변동점 분석 기법을 적용하였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4개의 미래 평균해수면 상승 시나리오와 5개 관측소의 지역별 평균해수면 상승 자료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변동점 분석결과를 활용하였다. 제안된 절차는 미래 평균해수면 상승 시나리오의 시작년도를 결정함에 있어 18.6년의 주기를 사용하지 않고 변동점 분석결과를 사용함으로써, 지역적 특성을 효과적으로 반영할 수 있도록 개선되었다. 변동점 분석결과를 사용하여 한반도의 권역별 미래 해수면상승을 분석한 결과, 제주 권역(제주 조위관측소)이 가장 뚜렷한 해수면 상승을 나타냈다. 서해안 권역(보령 조위관측소)과 남해안 권역(부산 조위관측소)에서는 두 번째로 높은 해수면 상승의 증가가 추정되었으며, 마지막으로 남해안 권역(여수 조위관측소)와 동해안 권역(속초 조위관측소)에서 가장 낮은 해수면 상승의 증가가 추정되었다.
        60.
        2014.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변동점 분석은 강우, 유량, 온도 등의 수문기상자료의 기초적인 정보를 이해함에 있어 유용한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특히 합리적인 방법으로 분석된 미래 강우량에 대한 변동점 분석 결과는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되는 홍수나 가뭄과 같은 수문현상을 예측하는 데 있어 문제가 되는 비동질성 또는 비정상성 요인을 해결하는 데 있어 중요하게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변동성 분석을 위해 이용되는 3가지의 이론(CUSUM, BCP, DP)을 소개함과 함께 3가지 기법들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상호비교 연구를 수행하였다. 3가지 종류의 합성 모의 강우자료의 생성을 통해 3가지 기법들을 수행한 뒤 그 결과를 특정 성능평가 절차를 거쳐 평가하였으며, 그 중 2가지 기법을 국내 관측 강우자료 및 미래 강우자료의 변동점 분석에 적용하고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기법 간 비교를 통해 BCP 0.9가 가장 우수한 탐색능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DP 또한 합리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향후 이와 같은 강우자료에 대한 변동점 분석에 관한 연구는 비동질성이나 비정상성을 고려하여 수문모형을 구축하는 연구 등에 있어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