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0

        121.
        200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절화장미 신품종 "피치푸딩"품종육성은 향기가 우수하고 절화수명이 긴 스탠다드 장미 품종육성을 목표로 2000년도에 적색의 스탠다드 '레드산드라'를 모본으로 향기가 있는 백분홍색의 스탠다드 '도로레스'를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여 2001-2002년에 271개체의 실생을 획득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2003-2006년까지 3차에 거쳐 특성검정을 실시한후 최종선발된 '원교D1-72'를 "피치푸딩"으로 명명하였다. "피치푸딩"의 화색은 오렌지색으로 RHS 칼라챠트번호
        122.
        200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arly Bird"는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2007년도에 육성한 포인세티아 신품종이다. 이 품종은 2004년에 착색엽의 결각이 강하고 포엽이 밝은 적색인 'chiban'을 모본으로, 생육이 왕성하고 진한 적색 포엽의 'reedom Red'를 부본으로 교배를 실시하여 양성된 실생계통 중 선발되었다. 2005~2006년 2차에 거쳐 특성검정을 하여 '원교 D5-33을 육성하였고 2007년에 3차 특성검정과 품평회를 실시하여 최종선발 하였으며 "arly
        123.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standard rose cultivar ‘ink holic’was bred from the cross between pink standard cultivar ‘yvia’and red standard cultivar 'Sioux' at the National Horticulture Research Institute. The cross was made in 2002 and ‘ink holic’was finally selected in 2007 after 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for three years from 2005 to 2007. ‘ink holic’ a light pink standard cultivar grows vigorously and has powder mildew resistant.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this cultivar are 185.4 stems/m2/year in yield, 83.9cm in length of cut flower, 11.0cm in flower diameter, 42.9 in petal number, and 22.4 days in vase life. This cultivar can be propagated by both cutting and grafting. The consumer's preference of this cultivar i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cultivar, 'Moon light'.
        124.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spray rose cultivar ‘orning Shine’was bred from the cross between light pink spray cultivar ‘harming’and white spray cultivar ‘rincess’at the National Horticulture Research Institute. The cross was made in 2000 and ‘orning Shine’ was finally selected in 2006 after 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for three years from 2003 to 2006. ‘orning Shine’ a light yellow spray cultivar grows vigorously and has high productivity.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this cultivar are 159.7 stems/m2/year in yield, 74.3 cm in length of cut flower, 7.2 cm in flower diameter, 35.6 in petal number, and 13.0 days in vase life. This cultivar can be propagated by both cutting and grafting. The consumer’ preference of this cultivar i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cultivar, ‘unny Lady’
        125.
        200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근래 국내 산업의 고도화와 수출입 증가에 따른 경제력의 상승과 함께 도로, 교량 및 항만시설의 확충과 각종 호안 및 해상구조물의 건설요구가 급증하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9대 신항만의 건설과 기존어항의 재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이들 구조물의 대부분은 교각기초, 안벽, 돌핀, 안벽, 돌제 등은 강재나 콘크리트 파일로 새롭게 건설되고 있다. 이들 기초, 지지격벽 및 파일은 건설 후에 수면아래에 있게 되므로 구조물의 상태를 파악하기가 어렵고, 그 구조물의 보수나 보강이 충분하지 못한 상태이다. 더구나 매년 이러한 유지 보수작업은 구조물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불완전한 보수와 수중공사로 인한 장기작업으로 고비용 때문에 정부의 예산을 소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정부예산의 지출을 절감하기 위해서는 기존 구조물의 내구연한을 연장시킬 필요가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부유식 케이슨으로 건식작업환경을 제공함으로써 평균해수면 수중구조물의 유지를 위한 새로운 기법을 개발하였다. DCPM은 작업구간을 쉽게 이동하고 취급이 용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DCPM은 유지보수비용 및 방식작업 시간을 현저하게 줄였다. DCPM은 해안 및 수중구조물의 유지와 건설비용을 줄이는 이정표가 될 것으로 본다.
        126.
        200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재폭기 효율이 향상된 보를 개발하기 위하여 직선형 보, 여수로형 보, 래버린스 보의 재폭기 실험을 통해 산소전달효율을 측정하여 결과론 비교하였고, 또한 제정의 조도를 증가시켜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에 의하면 여수로 형 보에서의 산소전달효율이 가장 작으며 그 다음으로 직선 보였으며 래버린스 보의 경우 중심각이 감소할수록 산소전달효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낙차와 유량이 증가할수록 산소전달효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28.
        200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제주지역에서 잎들깨 품종의 채종을 위한 적정파종기를 구명하고자 잎들깨 1호와 만백들깨를 5월 15일부터 7월 15일까지 15일 간격으로 5회 파종하여 생육 및 종실수량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품종과 파종기간 상호작용은 생육일수에서만 유의하였다. 개화일수만이 품종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잎들깨 1호가 만백들깨보다 약 2일 일찍 개화되었으나 성숙기는 약 1일 늦었다. 2. 파종이 5월 15일에서 7월 15일로 늦어짐에 따라 두 품종의 평균 개화일수는 137일에서 77일로, 생육일수는 179일에서 121일로 짧아졌다. 3. 파종이 5월 15일에서 7월 15일로 늦어짐에 따라 경장은 150cm에서 81cm, 분지수는 17.0개에서 7.3개, 주경절수는 16.9개에서 10.3개로 감소되었다. 4. 주당 화방군수는 5월 15일 파종에서 65.6개이었던 것이 파종이 늦어짐에 따라 점차 줄어들어 7월 15일 파종에서 50.7 개이었다. 화방당 삭수는 32.1~33.4개로 파종기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1,000 입중은 5월 15일 파종에서 3.2 g이었던 것이 파종이 늦어짐에 따라 점차 무거워져서 7월 15일 파종에서 3.9 g이었다. 5. ㏊당 종실수량은 5월 15일 파종에서 1,820 kg이었던 것이 만파할수록 감소하여 7월 15일 파종에서 1,338 kg이었는데, 5월 15일과 30일 파종간에는 유의한 수량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제주지방에서 잎들깨 품종의 채종을 위한 파종적기는 5월 상순-하순으로 보인다.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