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과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문화간 의사소통능력을 기반으로 한 온라인 국제교류 순환학습 모형을 개발·적용한 후, 그 효과와 현장 적합성을 검증해보는 데에 있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Sercu(1998)와 Moran(2001) 의 문화 수업 모형과 교사 및 학생 요구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 온라인 국제교류 순환학습 모형을 개발하고 현장 적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험 수업을 5, 6학년 각 1개 반을 대상으로 하여 약 3개월 간 총 10회에 걸쳐 실시하고, 실험 전․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의 하위요소인 지식, 기능, 인식, 태도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향상이 발견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온라인 국제교류 순환학습의 차후 실행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인권감수성과 유아인권 교수효능감을 조사하여 학년, 인권 관련 교육경험, 유아권리협약 인지도, 유아인권교육에 대한 관심도 및 중요성 인지도 등의 변인에 따른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예비유아교사 대상의 유아인권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둔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S대학 유아교육과에 재학하고 있는 예비유아교사 389명이다. 연구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인권감수성은 보통을 조금 넘어서는 수준으로, 책임지각이 가장 높았고 결과 지각이 가장 낮았다. 변인들 중 유아인권교육에 대한 관심도와 중요성 인식도에 따라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유아인권 교수효능감은 보통 이상의 수준이었으며, 개인효능감이 결과 기대감보다 높았다. 예비유아교사의 유아인권 교수효능감은 모든 변인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인권감수성과 유아인권 교수효능감 간에는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인권교육 관련 경험이 부족한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관련 지식뿐만 아니라, 상황 중심의 문제해결과정을 강조하는 접근법의 유아인권교육이 요구된다.
Background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troduce Atractylodes macrocephala as a new income element in Gangwon area and to develop the technology necessary for stable quality seedling production.
Methods and Results : For the production of high quality seedlings of Atractylodes macrocephala, seedling growth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types of plug cell size and seedling raising period. Atractylodes macrocephala seeds were sown on February 14, 2018 in 72, 105, 128, 162, and 200 plug trays. The emergence period after sowing was March 2, and the final occurrence rate was 76.6 - 79.5%. The number of days of emergence took 18 to 20 days from sowing date. Growth of seedlings tended to be better with less number of plug trays, such as seedling height, seedling width, leaf length, leaf width and leaf number. On the other hand, roots (net formation) increased rapidly as the number of plug trays increased. After 60 days, the matured seedling rate was good at 75.5 ± 8.4% for the 200 plug tray and 72.5 ± 4.1% for the 162 plug tray. The net formation ratio of matured seedling was the best in 60 days of seeding in 162 plug trays. The rooting rate was 98.0 ± 2.1 - 99.3 ± 1.2% when seeded for 60 days or more regardless of the type of plug tray.
Conclusion : In order to produce efficient and stable seedlings in the cultivation of Atractylodes macrocephala in Gangwon area, it was considered to be advantageous for 60 days of seedling settling in the plug trays of more than 162 and less than 200.
Background : Atractylodes macrocephala is a perennial herbaceous plant belonging to the family Asteraceae and should be cultivated in field soils with good water dripping due to plant characteristics. However, cultivating farmers mainly have recently been cultivated in paddy soil due to their regional characteristics, which causes the decrease in yield due to poor drainage. Therefo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ultivation in high ridge and subsoil breaking effect for stable paddy soils cultivation technology of A. macrocephala.
Methods and Results : Soil was paddy soils in the fall of 2017, and the pH (1 : 5) was 6.61 ± 0.15 as a result of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EC was 0.49 ± 0.05 dS/m, and organic matter content was 28.69 ± 69 g/㎏ and effective phosphoric acid was 306 ± 17.8 ㎎/㎏. As a result of the soil layering survey, the surface layer was 0 - 26 ㎝ deep as paddy soil mounded with sandy loam in the past. In the surface layer, there was a light layer after 17 ㎝ depth, and volume density was 1.71 ± 1.3 g/㎤. The porosity of the plow pan was 33.41 ± 2.34%. The cultivation methods were cultivation in high ridge (30 ㎝ or more) and level row (10 ㎝ or less) at 2 levels and 3 repetitions. In subsoil breaking, the depth of the plow pan was increased from 17.1 ± 0.5 ㎝ before treatment to 31.1 ± 3.6 ㎝ after treatment and the hardness was 24.8 ± 1.5 ㎜. In the case of rotary plowing, the depth of the plow pan was 17.1 ± 1.9 ㎝ before treatment and 26 ± 2.4 ㎝ after treatment and the hardness was 25.8 ± 2.9 ㎜. The medium growth characteristics of A. macrocephala per treatment showed the tendency of increase in plant length, culm length, number of nodes, number of leaves, and fresh weight in level row cultivation after subsoil breaking. Root growth of cultivation in high ridge after subsoil breaking tended to be good with rhizome weight of 11.6 g per hill. The survival percentages were 98.8 - 100% and the bolting rate was 93.4 - 96.2%
Conclusion : In cultivation in high ridge after subsoil breaking in the paddy field of Gangwon area, the decrease of yield of A. macrocephala due to drainage was expected to be alleviated, but final conclusion should be drawn after analyzing soil temperature and soil moisture dat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safety accidents and traffic accidents in winter by presenting the criteria of de-icing and anti-icing of cable-supported marine bridges. In winter, due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cable support bridge, the main tower and the cable are positioned upon the reinforcing beam that the vehicle passes through, and snow and ice that piled on the main tower and the cables is fall to the road. so It can be a reason of the traffic accident.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mechanism for the snow accretion and ice accretion and suggested preventive measures about de-icing and anti-icing.
In this study, vibrational characteristics of upright breakwater under wave condition is numerically analyzed. Firstly, finite element model of upright breakwater which composed by structure-foundation system is established. Dynamic behavior of the upright breakwater’s structure-foundation system is analyzed. Secondly, numerical model for wave field is created. Wave pressure is extracted to apply for the upright breakwater model as the excitation force. Both of design wave and small wave are considered. Thirdly, the vibrational responses are extracted from the upright breakwater model and there model parameters are extracted. Finally, the effect of the wave condition on vibration characteristics of upright breakwater is examined.
The motivation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variation of stress filed in multi-strand tendon anchorage system using electromechanical impedance measurement. To achieve the objective, the following approaches are implemented. Firstly, stress variation in multi-strand anchorage system due to strand breakage is analyzed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impedance acquisition. Secondly, a piezoelectric-based interface technique is designed to localize the damage strand. Lastly, the conceptual design of the PZT-interface is preliminarily verified by an experimental test. Impedance signatures obtained from PZT-interface are quantified by using RMSD index (root-mean-square-deviation). The result shows that the PZT-interface technique is promisingly to identify damage strands.
Livestock manure treatments have become a more serious problem because massive environmental pollutions such as green and red tides caused by non-point pollution sources from livestock manures have emerged as a serious social issue. In addition, more food wastes are being produced due to population growth and increased income level. Since the London Convention has banned the ocean dumping of wastes, some other waste treatment methods for land disposal had to be developed and applied. At the same time,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to develop alternative energy sources from various types of wastes. As a result, anaerobic digestion as a waste treatment method has become an attractive solution. In this study has three objectives: first, to identify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ixture of livestock wastewater and food waste when combining food waste treatment with the conventional livestock manure treatment based on anaerobic mesophilic digestion; second, to find the ideal ratio of waste mixture that could maximize the collection efficiency of methane (CH4) from the anaerobic digestion process; and third, to promote CH4 production by comparing the biodegradability.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reactors R1, R2, and R3, each containing a mixture of food waste and livestock manure at the ratio of 5:5, 7:3, and 3:7, respectively, R2 showed the optimum treatment efficiencies for the removal of Total Solids (TS) and Volatile Solids (VS), CH4 production, and biodegradability.
콜라겐 펩타이드(collagen peptide)는 단백질의 가수 분해물로서 주름 완화, 보습력 증대, 탄력 개선 등의 특정 피부 효능을 나타낼 수 있어 화장품 혹은 피부 개선 기능식품으로서 활용되고 있다. γ -aminobutyric acid (GABA)는 척추 동물의 뇌, 척수에 존재하는 신경전달 물질로서 수면의 질과 양을 개선해 준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콜라겐 펩타이드와 GABA의 복합물이 수면 장애가 있는 여성에게 8주 경구 섭취를 통해서 수면 및 피부 상태를 개선할 수 있는가에 관하여 확인하였다. 복합물(J85091900)은 8주간 연속 적으로 섭취 시, 수면장애지수(PSQI)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수면 시간을 7% 증가시켰다. 또한, 피부 거 칠기, 눈가 주름 및 피부 수분량(capacitance)을 유의적으로 개선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콜라겐과 GABA의 복합물은 복합 수면 장애에 따른 피부의 노화 현상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먹는 화장품의 핵심 소재로 활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안산암을 벽돌 모양으로 다듬어 쌓아 올린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은 현재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신라시대 석탑이다. 석탑에서 나타나는 손상양상은 백색피각, 흑색피각, 변색, 토양흡착 등의 오염물, 생물서식, 보수물질 등이다. 구조적 요인에 의한 손상양상으로 배부름 현상이 나타난다. X-선 회절분석 결과에 의하면 백색피각의 주 구성광물은 방해석(CaCO₃)과 서모나트라이트(Na₂CO₃⋅H₂O)로 자연 상태에서 쉽게 나타나는 증발잔류광물이다. 석탑에 나타나는 손상양상은 각 부위별로 상당히 다르다. 생물서식은 기단, 사자상, 1층과 2층의 옥개석에서, 보수물질은 기단에서 확인된다. 배부름 현상은 1층 탑신에서 나타난다. 전체적인 손상 유형별 점유율은 생물서식, 오염물, 보수물질이며 그외 배부름 현상, 박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가장 높은 점유율을 보인 개별 손상양상은 흑색미생물(39.3%)이며, 다음은 지의류(17.9%), 변색(8.0%), 백색피각(5.5%), 시멘트 모르타르(5.1%), 배부름 현상(3.9%), 박리(3.1%) 순으로 나타났다.
With rapid economic growth, the urban environment has created a problem of human physical and mental illnes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urban forests have emerged as a way to mitigate the environmental risks through improving the polluted environment of the city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s the urban forests have expanded, the school forests movement has also been taking an important place recently. The study focused on the performance of school forests by comparing the perceptions among teachers and students about their functions.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4 questions concerning human matters, 10 questions for space recognition, 4 questions for thermal environment, 2 questions for health promotion, and 20 total questions for composition of survey items. The reliability of the school forest function, number of tree planting areas and quantities, the harmony of the planting, and the satisfaction of the school forest were analyzed in the questionnaire conducted by the school members. Although it does not recognize school forests, it has a positive response to the green space that is built outdoors. It is considered that outdoor education and environmental education are sufficient in school forests and green spac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utdoor green space was more satisfactory when compared with the general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preferences were similar to 'seasonal changes' and' trees of various colors and shapes'. The reliability analysis between each item shows that the coefficient for cronbach ' s α was . 700 to . 83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erception of forest function among school forest members and to utilize them as a basic data in the future.
In this study, the ion index characteristics of small and medium urban land use types were investigated in the city of Chungju. The average temperature for each land use type was in the order: general commercial district (29.59℃) > general residential district (28.34℃) > productive green district (28.31℃). The average relative humidity was in the order: productive green district (70.12%) > general residential district (69.93%) > general commercial district (66.48%). The average wind speed was in the order: productive green district (0.95 m/s) > general commercial district (0.87 m/s) > general residential district (0.54 m/s). Positive and negative ions were investigated to determine the ion index by land use type. The average amount of positive ion generated was in the order: general commercial district (737 ea/cm3) > general residential district (492 ea/㎤) > productive green district (445 ea/㎤). The average negative ion production decreased in the order: productive green district (930 ea/㎤) > general residential district (754 ea/㎤) > general commercial district (744 ea/㎤). The ion index calculated from measured data can be arranged in the order: productive green district (2.09) > general residential district (1.53) > general commercial district (1.01). These results confirm the state of positive and negative ion generation in each land use type. Further, the differences in the ion index by land use type were confirmed. However, a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simple summer measurements were conducted, and seasonal characteristics were not considered. Therefore, any future investigation and research should consider seasonal variation characteristics.
본 연구에서는 담화표지어의 사용과 관련하여 아시아권 비원어민 영어화자와 미국인 화자 사이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아시아권 비원어민 영어화자의 대화를 담은 음성코퍼스에 사용된 담화표지어 well의 위치와 기능을 살펴보고 그 결과를 원어민 영어 화자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사용 양상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조사된 결과를 살펴보면 아시아권 화자에게서 나타나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시아권 화자는 담화표지어 well을 yeah, mhm, oh, OK 뒤에서 고빈도로 사용하였고, 담화표지어 well의 앞과 뒤에 상대적으로 잦은 쉼(pause)을 사용하였다. 둘째, 담화표지어 well의 구조적 기능을 고빈도로 사용하였지만, 상호작용적 기능은 다양하게 사용하지 못하였다. 아시아권 화자에게서 나타나는 담화표지어 well의 독특한 위치와 제한적인 상호작용적 기능 사용이 아시아권 화자 간에는 자연스럽게 수용되며 대화의 끊김이나 장애 요소가 되지 않았지만, 잦은 말차례 지연(delay), 잦은 쉼(pause)의 경우 원어민과의 소통에서는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함의하였다.
본 연구는 상품화된 유아 독서 프로그램 그림책의 특성을 분석하여, 유아 독서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과 유아에게 적합한 좋은 그림책을 선정하고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두 개의 상품화된 유아 독서프로그램에서 활용하는 88권의 그림책과 22권의 확장활동지에 제시된 연계활동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그림책의 글 작가와 그림 작가는 국내와 북미, 유럽 작가의 작품이 대부분이었고 그림책의 장르는 픽션 중 사실주의 그림책이 가장 많았으며 운문 그림책은 없었다. 그림책의 표현양식은 만화적 표현을 주로 사용했으며 그림책의 문학성, 예술성, 교육성 측면에서 평가한 점수는 평균보다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연계활동은 의사소통영역 활동이 가장 많았다. 이에 상품화된 프로그램의 그림책의 질적 향상과 유아에게 적합한 좋은 그림책을 선정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와 정보의 근거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의의를 둔다.
본 논문에서는 효과적인 레이싱 드론 조종 훈련을 위한 VR 콘텐츠의 기획 및 제작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실제 환경에서의 직접적인 레이싱 드론 조종 훈련은 공간적, 경제적 한계점이 분명한데, 이러한 한계점에 대한 해결책으로 VR 기반 드론 잠입액션 게임 <Drone S>의 제작을 통해 제시하고, 효과적인 드론 조종 능력 증진을 강구하고자 한다. 특히 FPV 고글과 HMD 기반 VR의 유사성을 활용하여 실제와 유사한 환경에서의 가상현실 콘텐츠를 기획하였으며, 레이싱 드론과 드론 레이싱에서 사용되는 구조물의 특징을 고려하여 가상 드론과 맵 및 장애물을 디자인하였다. 또한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장애물의 난이도를 통해 사용자의 몰입도와 현존감을 높이고자 하였다.
최근 화장품 시장에서 안티폴루션 효능이 있는 화장품은 새로운 피부 건강을 위한 해결책으로 나타나고 있다. 외부(대기) 오염물질에 의해 피부의 산화 기전을 매개하는 주요 원인 인자들로 오존, UV, 미세먼지 및 담배연기 등을 꼽을 수 있다. 담배 연기의 노출은 직⋅간접적으로 피부 표피 내 지질의 산화를 야기한다. 피부의 지질 산화에 의해 squalene과 squalene monohydroperoxide의 비율 변화가 발생하고, malondialdehyde (MDA)가 지질산화 산물로 생성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담배연기 노출 시 발생하는 피부 산화에 대하여 레드비트를 함유하는 화장품이 방지할 수 있는 효능이 있는지에 대하여 MDA의 생성량으로 관찰하였다. 시험대 상자 전박부를 세 영역(음성대조, 양성대조, 시험제품)으로 나누어 각 지름 3.3 cm의 원으로 구획하고, 15분간 담배연기에 노출 후 피부 표면으로부터 지질막을 걷어낸 후 TBARS assay를 통하여 MDA를 정량 하였다. 음성 대조(무도포, 미노출)에 비해 양성대조(무도포, 담배연기 노출)의 MDA 생성량이 3.7배 증가된 결과로, 오염물 질인 담배연기에 의한 피부의 산화적 손상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레드비트를 함유하는 화장품을 미리 도포한 영역은 양성대조에 비해 MDA 생성량이 25%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담배연기 노출은 피부 표피 내 지질 산화를 야기하며, 레드비트를 함유하는 화장품이 이러한 대기환경오염으로부터 방어적 효과(안티 폴루션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삼국유사』설화를 활용하여 유아들을 위한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 고, 또한 다문화 인식을 증진시키는 데 있어서 이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려고 한다. 우선, 이 논문은『삼국유사』에 대한 이전의 연구들을 분석하여 다문화와 다문화 교육에 관련된 요소들을 찾고자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이 프로그램의 목적 설정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이러한『삼국유사』설화를 활용한 프로그램은 몇몇 교육 전문가들과의 협의를 통하여 개발에 이르렀다.
다음, 이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한 유치원의 5세 아동 30명에게 프로그램이 실행되었다. 아동들은 10주에 걸쳐 15차시의 수업을 받았다. 데이터는 독립표본 T 검정 과 대응 표본 T 검정을 통해 처리되었다. 이 결과는 유아들을 위한 다문화 프로그램이 다문화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제시했다. 이 결과는 또한 유아들의 다문화 인식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이 프로그램이 유아들에게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했다.
최근 들어 증강현실 시장이 급성장하고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자리를 잡아가면서 다양한 플랫폼 인터페이스가 등장하였다. 스마트폰 기반으로 사용자 개개인에 따라 맞춤식으로 추천 여행 정보를 제공하며 추천 여행 정보를 토대로 맞춤식 동선 가이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제한된 시간 내에 효율적인 여행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으나 지도 중심의 단순 여행 동선을 제공하는데 불과하여 트레일이 나 트레킹 등의 도보 여행 시 기존 지도 애플리케이션과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모바일 기기에서 구현되면서도 서버와의 지속적인 통신이 없더라도 사용자 동선에 따라 가이드가 가능하면서도 해당 지역의 문화나 유적 등 엔터테인먼트 서비스도 부가적으로 제공될 수 있는 새로운 증강현실기법이 필요하다.
The Korea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EIA) system, and explored ways to improve it as a more efficient and viable institution relevant to the demand of our time and conditions in study. The first problem this study identified is found in the fact that the party to write up the assessment report is itself the business operator or the one who is planning to work out the business plan. This structure translates into placing an order with an agent for EIA report. The reporting job may br subcontracted to the agent at a cost far below the rate specified in the ‘Standard for Estimate of Agency Fee for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This practice also causes the vicious circle of producing a report that is written to justify the project or business in question or it leads to rough-and ready and poor documentation to minimize the time required. Second,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the plan or business, which is the target of EIA, the local residents tend to ve regarded as an obstacle. This means elimination of the local people from participating in the EIA or their opinion being frequently ignored. This is the seed of distrust and hostility that sometimes provoke disagreements or fierce conflicts. The first proposal to improve these problem is to improve the factors that cause poor documentation of the assessment report as well as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EIA system. This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measures for improvement. The agency cost for EIA should be paid by the business operator or a third party that can ensure faithful implementation of the payment. A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to verify transparent estimation of the agency cost. In order to enhance the professional quality of EIA agents, there should be implementation of qualification test for industrial engineer of related engineers in addition to the current EIA Qualification Test. The second proposal for improvement is to improve the citizen participation process by instituting a legal framework to make clear the purpose of the briefing session for local residents, which is held as a procedure of EIA, and to ensure more positive publicity during the stage of listening to the opinion of the local community. For a smooth and rational communication process, a moderator and a communicator of opinion, as is the case in a public hearing, could be instituted to clearly get the purpose of the briefing session across to the residents and to help to carry out the explanation and Q & A sessions according to the categories of the opinion of the residents. At present, the notification of the public inspection of the draft of the assessment report and briefing session for the residents is made on the newspaper and internet network. But some people have difficulty with access to this method of announcement. A higher participation rate could be secured if a legal provision is added to specify putting up placards in specific places such as the entrance to the place for the briefing session for residents or the building of administrative agencies of the area concerned.
전 세계적인 지구 온난화로 인한 가뭄은 농작물의 생산성을 저해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이며, 고온과 건조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식물 생장을 감소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Bacillus velezensis YP2 균주의 식물 생육촉진 및 건조 스트레스 내성 증진 효과를 온실과 시설하우스 포장에서 조사하였다. 또한 B. velezensis YP2 균주의 처리 전과 후 케일 근권과 뿌리에서 배양법에 의한 상대 정량 방법으로 B. velezensis YP2 균주의 근권 및 뿌리 정착능을 분석하였다. 온실 검정 결과 YP2 균주 처리구에서는 무처리구와 비교하여 케일 유묘의 초장 26.7% 및 지상부 생체중 142.2%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또한 B. velezensis YP2 처리구에서는 무처리구와 비교하여 39.4%의 건조 피해 경감 효과가 있었다. 시설하우스 포장 검정 결과에서도 B. velezensis YP2 균주 처리에 의한 케일의 생장촉진 효과와 건조 스트레스 내성 증진 효과가 있었으며, B. velezensis YP2 처리구에서 케일 잎의 상대수분함량이 무처리구와 비교하여 7, 10, 14일에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B. velezensis YP2 균주의 뿌리 정착능 분석 결과, 균주 처리 21일까지 케일 근권 및 뿌리 균밀도가 무처리구와 비교하여 B. velezensis YP2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균주 처리 후 최소한 21일이 경과할 때까지 B. velezensis YP2 균주가 케일 근권과 뿌리에 정착하여 식물과 상호작용함으로서 생육을 촉진하고 식물의 물 이용률을 증가시켜 건조 스트레스 내성을 증진하는 데 관련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B. velezensis YP2 균주는 가뭄으로 인한 건조한 토양 조건에서 작물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가능성이 있는 유용한 미생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