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해사기구(MO)의 해상인명안전조약(SOLAS)은 모든 선박이 필수적으로 공인 종이해도, 혹은 전자해도(ENC)를 탑재해야만 한다고 명시하고 있으며, 특히 안전성이 검증된 전자해도 디스플레이 시스템인 ECDIS의 사용을 장려하고 있다. 국제수로기구 내에서는 이러한 ECDIS에 사용되는 공인 전자해도 자료가 지역전자해도 관리센터(RENC)를 통해 보급되어야만 한다는 주장이 커지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ECDIS의 사용이 일반화되면서, 유럽에 현
본 연구는 전북 부안에서 재배되고 있는 뽕나무를 대상으로 온실 재배를 통하여 조기 수확 및 안정적 수확량 확보가 가능한지를 알아보고자 신초 생육 특성과 이에 관계하는 기상 요인을 분석하였다. 발아 및 착색 시기는 온실의 뽕나무에서 노지에 비해 18~19일 정도 빨랐고, 발아시에서 착색시까지의 일수는 39일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발아 후 39일 동안 온실에서 뽕나무의 신초 길이, 신초당 착과수는 노지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마디수는 적었다. 생육 기간 동안 온실 내부의 주별 광량은 노지에 비해 0.3~0.8배 범위 수준이었고, 총 누적량은 절반수준으로 아주 적었다. 그러나 온실에서 주별 누적온도는 노지와 거의 차이를 나타내지 않고 후반기로 가며 다소 상승하는 경향이었으며, 총 누적량도 노지에 1.1배로 거의 유사한 수준이었다. 생육 기간 동안 상대습도는 온실에서 53~94.5%로 노지에 비해 대부분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따라서 뽕나무는 광의 영향을 적게 받고 안정적인 수량을 조기에 확보할 수 있어 온실 재배 작목으로 적합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ealth risk and management of childhood exposure to indoor aldehydes in elementary-schools and academies. The samples were collected at children's facilities (50 elementary-schools and 46 academies) in summer (Aug ~ Sept, 2008), winter (Dec 2008 ~ Feb, 2009) and Spring (Mar ~ Apr, 2009) periods. The overall mean concentration of formaldehyde was 68.3 ㎍ /m3 and 27.2% of exceeded the 100 ㎍/m3 by the school health guideline. The concentration ratio of Indoor air and outdoor air (I/O) of aldehydes exceeds 1.0. The level of indoor air contamination did appear to be high, and 24.6% of the academies evaluated had exceeded the formaldehyde level specified by the public health act (120㎍ /m3). We estimated the lifetime excess cancer risks (ECRs) of formaldehyde, and the hazard quotients (HQs) of non-carcinogens (acetaldehyde and benzaldehyde). In addition, for carcinogens, the excess cancer risk (ECR) was calculated by considering the process of deciding cancer potency factor (CPF) and age dependent adjust Factor (ADAF) of the data of adults. The average ECRs of formaldehyde for young children were 1×10-6~1×10-5 level in all facilities. HQs of formaldehyde did exceed 0.1 for all subjects in elementary school.
This is the study of American Aesthetic Movement and the Louis Comfort Tiffany's Decorative art. At first, I supposed that Louis Comfort Tiffany (1848-1933) was the most successful American Aesthete. He insisted that he pursuit of ‘quest of beauty’ entire his art life at the speech in 1919 retrospective exhibition. The ‘quest of beauty’ is one of creeds of Aestheticism became known through the famous English aesthete Oscar Wilde lectured at the American tour lecture in 1882-1883. Interestingly Wilde also addressed English Arts & Crafts Movement and the ideas of John Ruskin at the lectures. So American public and artists could be accepted both English decorative art movements synthetically. That resulted many of artists turned their focus on decorative art media or decorative art production, as like interior design, stained glass, art pottery, etc. To American artist, interior decoration was another medium for artistic experiment or art-making to realize ideal beauty in everyday life. To beautify everyday life and environment with artistic utilitarian goods was the goal of William Morris(1834-96)' who the leader of Arts & Crafts Movement, so as to Louis Tiffany. Then, Louis Tiffany tried to show his individuality by the eclectic synthesis of the Oriental-Western styles. He synthesized Western & Oriental arts of disparate region or ages uniquely. Finally, his eclectic design method would be applied for creating interiors to artistic unity. Because of Louis Tiffany was a Colorist painter and American Aesthetic Movement artist also, he searched for beauty and wished to express the beautiful ‘color and light’ effect through his art. To accomplish this artistic goal, he used oil and watercolor paints, from opaque to transparent and also translucent at the same time. At last, he developed the ‘Favrile glass’ to describe the colored light, coloring, shades and gradations more than paintings do. Furthermore, he used a variety of decorative media like glass, enamel, jewel and textile for the natural/artistic reproduction of color and light effect in nature. What was the reason for Louis Tiffany's pursuit of naturalism in his product design? The reason was that he sympathized with the John Ruskin's design concept with ‘garden room’ interior design. He tried to depict natural landscape or garden flowers and vegetables on the stained glass windows, glass vases, lamp shades, enamel work, jewelry to construct Aesthetic-practical garden room. That was also the way to be accomplished the authentic goal of Morris' Arts & Crafts Movement.So he incorporated various art companies and then developed art industry complex. He was also an entrepreneur who produced variety of household products industrially. The reason is that he hoped to realize the ideal of William Morris. Who advocated to beautify the interior and daily life for the public. But real consumers of the Morris products were only the wealthiest high class in England and also in America. However, Louis Tiffany's decorative art work differentiated from the Morris'. Because he wanted to answer the demand for consumer democracy. Therefore, he pursued artistic & economic goals simultaneously through his art enterprises as he accepted Aestheticism and Arts & Crafts Movement together. To realize this double goal, he produced kinds of decorative arts and household goods as the colorist artist- aesthete entrepreneur.
이 논문은 정부보조금이 민간연구개발투자를 보완하는지 또는 대체하는지에 대한 선행연구문헌의 다양한 연구결과를 통합하여 최종결과와 연관된 구조적 요인이 무엇인지 메타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선행연구결과에 대한 문헌의 다양한 특성을 자료의 분석기간, 자료의 수, 자료구조, 자료수준, 분석대상국가, 모형의 동태적 특성, 분석방법 등으로 변수화 하여 로짓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실증연구에 대한 선행연구문헌의 연구결과를 세부결과에 따라 구분한 경우는 자료의 수와 자료의 구조에 관련된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단일문헌의 결과를 평균적인 결과에 따라 통합하여 분석한 경우는 자료의 수준 및 분석대상국가가 연구결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보조금이 기업의 연구개발투자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존 선행 메타분석과 비교하여 2000년 이후 최근까지의 자료를 추가하고 연구특성으로 다양한 분석방법을 변수화하여 포함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또한 국내에서는 최초의 사례로 정부보조금이 민간연구개발투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다양한 해외 실증연구사례의 참조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lifetime cancer and non-cancer risk on exposure to volatile organic compounds This study was assessed the lifetime cancer and non-cancer risk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exposure in young children at elementary-schools and academies in Korea. The samples were collected at children's facilities (50 elementary-schools and 42 academies) in summer (Aug ~ Sept, 2008), winter (Dec 2008 ~ Feb, 2009) and Spring (Mar ~ Apr, 2009) periods, and analyzed by GC-MSD. We estimated the lifetime excess cancer risks (ECRs) of benzene and the hazard quotients (HQs) of non-carcinogens toluene, ethylbenzene, xylene and styrene. In addition, for carcinogens, the excess cancer risk (ECR) was calculated by considering the process of deciding cancer potency factor (CPF) and age dependent adjust Factor (ADAF) from the data in adults. The average ECRs of benzene for young children were 1×10-7~1×10-9 level in all facilities. HQs of four non-carcinogens did not exceed 1.0 for all subjects in all facilities.
조석정보는 어업, 선박항해, 해상 구조물 설치, 해저지형과 수심 파악에 등에 중요하다. 연안의 경우 조 석관측이 용이하여 비교적 많은 조석 관측자료와 정보가 있으나 외해는 그렇지 못하다. 황해에서 조석정보를 파악 하기 위하여 관측치와 조석모델 결과치를 이용하여 조석특성을 알아보았다. 연안에 조석은 반일주조가 매우 우세 하지만 외해로 갈수로 전체 조석에 대한 반일주조의 영향이 작아지고 상대적으로 일주조의 영향이 커지는 특성을 보인다. 이것은 황해에 존재하는 분조들의 분포에 기인하는 것이다. 따라서 외해에서 단기 관측자료에 의한 조석예 측은 조석예측이 요구된다.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lifetime cancer and non-cancer risk on exposure to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and formaldehyde of worker and user at public facilities in Korea. We measured the concentrations of formaldehyde and VOCs in indoor air at 160 public buildings that 5 kinds of public facilities (30 hotel, 30 fitness center, 25 gosiwon, 30 reading-room and 45 video-room) all over the country. There were estimated the human exposure dose and risks with averages of the using-time and frequency for facility users and office workers, respectively. Carcinogens (benzene and formaldehyde) were estimated the lifetime excess cancer risks (ECRs). Non-carcinogens (toluene, ethylbenzene, xylene, and styrene) were estimated the hazard quotients (HQs). HQs of four non-carcinogens did not exceed 1.0 for all subjects in all facilities. Higher HQs of toluene were observed at the reading-room. The average ECRs of formaldehyde and benzene for facility worker and user were 1×10-4~1×10-6 level in all facilities. The estimated ECRs for reading-room were the highest and the fitness center and gosiwon were the next higher facilities. Because lifetime ECRs of carcinogens exceeded 1×10-4 for facility worker in the most facilities, risk management of formaldehyde and benzene in the facilities was necessary. IAQ guidelines should be determined strictly to prevent occurrence of disease caused by poor IAQ beforehand.
본 연구에서는 morphogenesis 기법의 L-system 모델을 사용하여 대공간 구조물의 형태 생성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L-system 모델은 일반적으로 식물의 성장 과정을 시각화하기 위해 적용되어 왔으나 본 연구는 이를 건축 분야에 적용하기 위한 프로세스가 제안된다. L-system 모텔은 크게 문자열 생성 단계와 문자열 분석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문자열 생성 단계에서는 초기문자열로부터 최종 문자열을 생생하며, 문자열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alphabet, axiom 및 rule에 대한 정의가 필요하다. 또한 문자열 해석 단계에서는 문자열의 의미 부여에 따라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다. 특히 다양한 적용 예제를 통해 대공간 구조물의 형태 생성 모델을 구현한다.
장대교량의 실현을 논함에 있어서 보강거더의 플러터 안정화는 필수적인 검토 항목이다. 본 연구에서는 보강거더의 등가비정상공기력계수의 개념에 기초하여 연성플러터를 안정화하는 해석적인 접근방법을 제시하였다. 등가비정상공기력계수는 교축방향으로의 서로 다른 형상의 보강거더 배치와 구조계의 진동모드에 영향을 받는다. 우선, 평행식 및 모노듀오 형식 초장대 현수교를 대상으로 평판의 비정상공기력계수를 이용하여 대칭 및 역대칭 1차 연직/비틀림 진동모드에 대한 연성플러터 특성 분석 및 플러터 안정화 개념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모노듀오 초장대 현수교의 연성플러터 안정화 방안으로서, 그레이팅 거더 및 평판 단면을 이용하여 교축방향으로의 효과적인 배치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멸종위기식물인 단양쑥부쟁이(Aster altaicus var. uchiyamae)의 개체군을 대상으로 유전다양성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최소개체수를 산정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단양쑥부쟁이가 분포하고 있는 네 지역에서 각각 유전다양성 및 유전적 분화도를 분석하였다. AFLP(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마커를 이용한 유전적 변이의 분석결과, 총 4개의 프라이머 조합에 대해서 936개의 밴드가 확인되었으며, 그 중 934개의 밴드(99.8%)가 다형성을 보여주었다. 단양쑥부쟁이 개체군 내에서 유전다양성(PPB = 45.3%, h = 0.104, I = 0.168, hs = 0.108)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개체군 간 유전적 분화도(GST = 0.075, θB = 0.079)는 낮은 수준이었다. AMOVA(Analysis of molecular variance)분석 결과에서도 전체 유전적 변이 중 91%가 개체군 내에서 보이는 반면, 9%는 개체군 간 변이에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양쑥부쟁이 개체군에서 보이는 유전적 특성은 개체군 간의 빈번한 유전자 이동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최대화 전략법에 의하여 경기도 여주일대의 3개 개체군을 대상으로(굴암, 도리섬, 삼합) 개체군 내 최소개체수를 산정한 결과 도리섬개체군에서는 17개체, 삼합개체군에서는 16개체, 굴암개체군에서는 11개체로 파악되었다. 단양쑥부쟁이 개체군의 최소개체수에 대한 정보는 효율적인 현지 외 보전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줄 수 있다.
조석 주요 4대분조(M2, S2, K1, O1) 진폭은 해도수심의 기준이 되는 기본수준면을 결정한다. 근해역에서 단기 해수면 관 측자료로 S2 분조와 K1 분조를 정확하게 분리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분조의 연보정, 추정법 등이 사용되어 왔으나 이러한 방법에도 여전히 문제점이 내포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화파의 합성에 의한 변조현상을 해석적으로 풀이하고 이를 이용하여 두 분조의 정확한 분리를 방안을 제시한다.
坡州 烏頭山城은 臨津江과 漢江이 합류되는 位置에 있다. 서해에서 강을 따라 내륙으로 들어가는 水路의 關門에 해당하는 군사 · 지리적 요충지이다. 또한 주변의 山城 가운데에서 규모가 가장 크며, 三面이 바다로 둘러 싸여 적을 防禦하기에 유리한 위치에 있다. 烏頭山城은 이와 같은 입지조건으로 인해 百濟 關彌\城으로 比定되어왔다. 關彌\城은 『三國史記』와 「廣開土王陵碑」에 백제와 고구려의 激戰地로 기록되었으나, 金富軾은 『三國史記』기록에 존재하지만 그 위치를 알지 못한다고 적고 있다. 따라서 關彌\城 위치비정은 삼국 시대사를 복원하는데 매우 중요한 작업으로, 많은 학자들이 기록을 통해 關彌\城을 찾으려 하고 있다. 오두산성은 『輿圖備誌』와 『大東地志』에서 처음으로 古山子 金正浩에 의해 백제관미성으로 비정된 이후로 역사지리적 관점과 역사적 정황에 의거하여 현재까지도 백제관미성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백제 관미성을 江華島 및 喬桐島 隣近과 禮成江 인근지역으로 위치비정하는 見解도 說得力을 가지고 있다. 오두산성은 廣域 地表\調査의 一環 혹은 부분적인 발굴조사가 이뤄지다가, 2007년도에 (財)韓白文化財硏究院에서 실시한 지표조사로 처음으로 산성의 전체적인 현황을 확인하였다. 조사결과 外城과 內城의 二重構\造로써, 추정 水口址 및 門址 2개소, 建物址 7개소, 우물 1개소, 산성 밖 遺物散布址 1개소가 확인되었다. 그리고 수습된 유물을 통해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사용되어졌음을 재확인하였다. 그러나 고구려로 標式되는 遺物과 遺構\는 확인되지 않았다. 烏頭山城이 백제 關彌\城으로 비정되기 위해서는 백제 및 고구려로 標式되는 遺物과 遺構가 다양하게 출토되어야 한다. 그리고 산성 전체에 대한 연차발굴이 진행되어 백제와 고구려와 관련된 많은 고고학 자료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필자는 파주 오두산성이 백제 관미성이라는 견해는 현재까지 확인된 고고학 자료를 가지고서는 증명하기 어렵기 때문에 제고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또한 백제 관미성에 대한 江華島 및 喬桐島 隣近과 禮成江 인근지역 위치비정 역시 기록과 역사적 정황, 고고학 자료를 바탕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판단한다.
본 연구는 전북 부안군에서 재배되고 있는 뽕나무를 대상으로 지형적 특성에 따른 늦서리 피해를 조사하였다. 2009년에 비해 2010년에 뽕나무의 발아시는 2일, 전엽시는 4일, 개화시는 14일, 그리고 수확시는 8일이 늦었는데 이는 3월 일평균기온은 2.3℃, 4월 일평균기온은 2.4℃ 낮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2010년 서리 피해는 평탄곡간지의 과원에서 50.0%, 구릉지 및 호수 인근 평탄지에서 12.0%, 평야지에서는 4.2%였다. 결과지 굵기에 따라서는 15mm 이하의 가지에서 16mm 이상의 가지에 비해 높은 경향이었고, 평탄곡간지의 과원에서는 가지 굵기와 상관없이 46.2~54.0%로 이주 높았다. 이러한 높은 서리 피해는 뽕나무의 전엽기에 기온이 영하로 내려갔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이후 서리 피해를 입은 가지 기부 및 선단부의 덧눈에서 신초가 다수 발생하였다. 따라서 2010년 부안군 내 뽕나무의 늦서리 피해는 4월 중 영하의 기온 발생과 과원의 지형적 특성에서 기인된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assessed the health risk of trace elements in indoor children-facilities by multi-pathway measurements (Air, Dust, Wipe, Hand washing). The samples of indoor place were collected at various children's facilities (40 day-care houses, 42 child-care centers, 44 kindergartens, and 42 indoor playgrounds) in summer (Jul~Sep, 2007) and winter (Jan~Feb, 2008) periods, and analyzed by ICP-MS. The lifetime Excess Cancer Risks (ECRs) were estimated for carcinogen trace elements such as As, Cd, Cr and Ni. For carcinogens, the Excess Cancer Risk (ECR) was calculated by considering the process of deciding Cancer Potency Factor (CPF) and Age Dependent Adjust Factor (ADAF) of the data of adults. Both Hazard Quotients (HQs) and Hazard Index (HI) were estimated for the non-carcinogens and children sensitivity trace elements like Cd, Cu, and Cr. The average ECRs for young children were 1×10-10~1×10-6 (50%th percentile) level in all facilities. Non-carcinogens and Children's sensitivity materials did not exceed 1.0 (HQs, HI) for all subjects in all facilities. For trace elements their detection rates through multi-pathways were not high and their risk based on health risk assessment was also observed to be acceptable. In addition, through education on the risk of multi-pathway exposure of trace elements for managers of facilities as well as for users the risk control of exposure of children.
본 연구는 피복재 종류에 따른 착색단고추의 생육 및 생산성에 대한 지하부 환경 요인의 영향 정도를 알아보았다. 조사 기간 동안 배양액 공급량은 플라스틱 필름온실에서는 5,404L·m-2로 유리온실의 3,483L·m-2보다 1.6배나 많았다. 그러나 배양액 흡수율은 두 온실에서 71.3~73.3%로 유사한 수준이었다. 배지 EC도 4.17~4.23dS·m-1 수준으로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정단부에서 아래로 6번째 잎의 면적은 유리온실에서 평균 123.0cm2/1eaf로 플라스틱필름온실의 119.5cm2/1eaf보다 다소 넓었다. 그러나 잎의 생체중, 건물중 및 건물률은 두 온실 간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주간 생산량은 유리온실에서 850g·m-2로 플라스틱필름온실의 650g·m-2보다 1.3배정도로 많았다. 하지만 조사 기간 동안 잎의 면적 및 건물률, 그리고 생산량 모두에 대한 배지 EC와 배양액 흡수율 차이에서 오는 영향은 두 온실 간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피복재 및 지상부 환경이 다른 온실에서 착색단고추 수경재배 시 생육 및 생산성 차이에 대한 지하부 요인의 영향은 거의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대공간 스페이스 프레임 구조물은 구조물의 목적 및 설계자의 의도와 함께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구조물 형식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대공간 스페이스 프레임 구조물의 최적의 부재크기나 형상은 구조 엔지니어의 경험과 반복적인 해석 그리고 시행착오적인 방법 때문에 그 결정이 쉽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설계자가 구조물의 최적 형상을 선택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먼저 타원형 및 볼트복합형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스페이스 프레임 구조물이 선정되며, 절점, 좌표 및 부재 생성을 위한 형상생성방법이 고려된다. 또한 스페이스 프레임 구조의 최적설계 절차에서 각 절점 좌표는 높이 변화나 링의 개수에 따라 변하게 되므로 최적설계 과정에서 절점파 부재의 자동생성기법이 적용된다. 다음으로 형상생성방법을 기반으로 한 형상생성모듈은 구조물의 최적화 단계에 앞서 설계자가 원하는 형상을 생성해주는 모듈이며, 최적화 단계에서는 해석 모듈과 최적화모듈이 연계된다. 마지막으로 예제 모델을 통해 형상생성방안 및 최적설계 방안의 효율성을 검토한다.
본 연구는 스페이스 트러스 구조물의 초기 형상을 결정하기 위해 밀도법을 이용한 위상최적화 기술을 고려하고자 한다. 대부분의 초기 형상설계는 다양한 최적화 방법을 활용하지 않고 설계자의 경험이나 시행착오적인 방법을 바탕으로 수행되고 있다. 이런 이유로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최적화기술이 초기 형상설계에 도입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페이스 트러스 구조물을 대상으로 설계영역을 설정하고 위상최적화를 수행하여 최적의 재료분포를 찾은 뒤 크기최적화를 이용하여 최적부재 크기를 찾고자 한다. 이와 같이 밀도법을 이용한 위상 및 크기최적화를 병행하여 수행할 경우 합리적인 스페이스 트러스 구조물의 초기 형상을 도출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