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Jubak(Sulchigegie)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ork. A pork was cooked in a pot opening the lid with the Jubak for 20 min and then covering the lid without Jubak for 20 min at 100℃. Effect of the added amounts of Jubak on the pork was examined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electronic nose consisting of six metal oxide sensors. As a pork was cooked with 30g Jubak, ratio of resistance was increased. This condition removed unpleasant smell of pork. Effect of the pork with Jubak is better the end location than middle of pork. Also, first principal component score increased as the pork cooking time was increased. In the texture properties, hardness, chewiness, gumminess, and springness of the pork with 30g Jubak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others processed in this study. With sensory evaluation, the pork with 30g Jubak obtained the best score in taste, texture and overall acceptability.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pork(400g) with 30g Jubak reduces the pork odor, increase the tenderness and improve the flavor and taste of pork.
For indoor air quality at a newly built apartment before move-in, we monitored formaldehyde and VOCs and assessed human exposure and probabilistic health risk. We selected 801 newly built apartments all over the country. The results of the research on the condition show the mean concentrations of formaldehyde 294 ㎍/㎥, 210(median) 1497㎍/㎥(maximum), benzene 6㎍/㎥, (4 and 92㎍/㎥), toluene 1003㎍/㎥(773 and 5013 ㎍/㎥), ethylbenzene 120㎍/㎥, (62 and 1192㎍/㎥), xylene 287㎍/㎥(138 and 2723㎍/㎥) and styrene 64㎍/㎥, (42 and 531㎍/㎥). Formaldehyde from carcinogen and toluene and xylene from non-carcinogen were assessed the risk for human health. The excess cancer risk of formaldehyde for human beings between carcinogens is per 1.36 of average 1000 persons. This implies that it is over a level per 1.00 of 1000 persons demanding active risk reduction. Hence, we strongly need the active reduction plan and accurate source assumption. Among a variety of factors affecting indoor air quality for householders, closing construction or density of indoor air processing additional interior construction and indoor area, indoor air quality with a variety of districts show significant. The excess cancer risk for human beings of formaldehyde between carcinogens is per 1.36 of average 1000 persons. Non-carcinogen toxicity rate for human-beings with toluene and xylene among non-carcinogens is over HQ 1 from Seoul to local area.
This paper presents design and development of a simulator evaluates the performance of a hierarchical cellular system. The proposed hierarchical cellular simulator, consisting of macro, micro, and pico cells, applies the wrap-around technique to reduce
본 연구에서는 지진하중을 받는 고층 RC 골조구조물의 횡변위를 정량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수학적인 일반성을 가지면서 큰 규모의 문제도 효율적으로 다룰 수 있는 근사화 개념을 도입하여 횡변위 구속조건식을 설정한다. 아울러 구조부재의 단면특성 관계식을 설정함으로써 설계변수의 수를 줄여주고, 초기에 주어진 단면형상이 최적설계 과정동안 계속 유지된다는 가정을 이용하여 최적설계결과에서 구해진 단면특성에 따라 부재단면크기를 산출하는 방안을 강구한다. 특히 근사화된 횡변위구속조건식을 정식화 하기 위해 동적 변위민감도해석 방안이 고려된다. 이와 같이 제시된 동적 강성최적설계 기법의 효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10층과 50층 규모의 삼차원 RC 골조구조물 모델이 고려된다.
본 연구에서는 민감도 해석을 이용하여 전단벽-골조 구조시스템의 횡변위를 정량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강성최적설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골조와 전단벽요소 사이의 변위자유도 적합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요소강성행렬을 구성하며, 또한 수학적계획법의 일반성을 유지하면서도 큰 규모의 문제도 효율적으로 다를 수 있는 근사화 재념을 도입하여 횡변위 구속조건식을 설정한다. 아울러 전단벽 및 골조부재의 단면특성 관계식을 설정함으로써 설계변수의 수를 줄여주고, 이를 이용하여 강성행렬도함수의 산정을 용이하게 한다. 특히 골조의 경우 초기에 주어진 단면형상이 최적설계 과정동안 계속 유지된다는 가정을 이용하여 최적설계결과에서 구해진 단면특성에 따라 부재단면크기를 산출하고, 전단벽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두께 또는 부재길이를 재산정하는 방안을 강구한다. 이와 같이 제시된 강성최적설계기법의 효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두 가지 형태의 20층 전단벽-골조 구조물의 예제가 고려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 of ethylene removal apparatus on fruit quality of 'Niitaka' pear (Pyrus pyrifolia) in case of a double storage of apples and pears in a storage room. Ethylene an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were efficiently decreased by the ethylene removal apparatus. Fruit weight loss was high at double storage of apples and pears (DAP) in a storage room compared with storage of pears. Fruit core browning was 5~22.5% at the fruits in DAP, but as setting ethylene removal apparatus it was not occurred till 90 days after storage. Soluble solids content and fruit peel hardness were not different among the treatments. Accordingly, a double storage of apples and pears in a storage room is possible as setting ethylene removal apparatus.
본 저자의 이전연구(김문영 등, 2004)에서는 2차원 차량 모형과 전단변형 및 회전관성 효과가 고려된 현수교요소와의 상호작용을 고려한 2차원 수직응답에 대한 동적해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단변형 효과와 편심차량의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전단변형 및 회전관성 효과가 고려된 3차원 현수교의 수직, 비틂에 대한 고유진동수와 모드형상, 그리고 교량-차량 에너지로부터 라그랑지안식을 이용하여 상호작용을 고려할 수 있는 3차원 운동방정식을 유도한다. 이후 모드중칩법을 이용하여 유도된 운동방정식을 Newmark method를 사용하여 동적해석을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이론을 따라 수치해석예제를 수행하여 차량의 동적거동을 분석한다.
In the present study, silver-doped antibacterial hydroxyapatites were successfully prepared by the sol-gel method. For the starting solution, the molar ratio of was set to 0.075:0.045:20:0.135; was added to a ratio of Ag to total cation concentration of . The prepared sol was dried at for 48h and heat-treated at for 2h to obtain particles in the 200-500nm size range. The product from the synthesis of silver-doped hydroxyapatite was investigated through X-ray diffraction experiments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he product showed high antibacterial properties, with a disinfection ratio of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and Escherichia coli (ATCC 25922) over as calculated from an antimicrobial effects evaluation by the shake flask method.
생체 폐를 대신해서 임시적으로 제공하는 폐 보조 장치(LAD)의 사용은 기계 환기술의 단순화와 체외순환 막형 인공폐의 기능을 결합하여 급성호흡부전 환자에 적합하다. 본 연구에서의 주 관심은 폐 보조 장치에서의 막 진동 효율에 있었으며 정량적인 실험 측정은 혈액 용혈에 대한 막 진동 의존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행하였다. 또, 혈액 용혈은 막 진동이 이루어질 때 한계 용혈의 가진 주파수 대에서 결정하였다. 최대 기체 전달율을 보이는 675의 중공사 막으로 이루어져 있는 유형 5의 가진 주파수에서 최대 진폭의 발생 및 중공사에 진동의 전달에 의해 최대 산소 전달율이 일어났다. 이 주파수가 혈류량에 가동 가능했던 제 2 형태의 공진 주파수가 되어 높은 각 혈류량 비에서 25±5 헤르쯔까지 가진이 되었으며, 혈액 용혈은 25±5 헤르쯔의 가진 주파수에서 상대적으로 낮았다. 따라서 우리는 이 폐 보조 장치의 한계 용혈 주파수가 25±5 헤르쯔인 것으로 결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