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uctile behavior and strength of concrete-filled steel(CFS) piers was supported by many quasi-static cyclic loading tests. This test method, however, only estimates the member′s deformation capacity under escalating and repetitive displacement and ignores dynamic and random aspects of an earthquake load. Therefore, to understand complete seismic behavior of the structure against an earthquake, dynamic tests such as shaking table test and pseudo-dynamic tests are required as well as quasi-static tests. In this paper, following "Seismic Performance of Concrete-Filled Steel Piers Part I : Quasi-Static Cyclic Loadint Test", the seismic behavior of CFS and steel piers designed for I-Soo overpass in Seoul in investigated by the pseudo-dynamic test. In addition, the residual strength of both piers after an earthquake is estimated by the quasi-static test. The results show that both piers have satisfactory ductility and strength against well-known EI Centro earthquake although the CFS pier has better strength and energy dissipation than the steel pier.
강합성교각과 강교각은 철근곤크리트교각에 비해서 우수한 연성, 작은 단면 및 빠른 시공속도에도 불구하고 이 같은 장점들을 활용할 필요가 있는 도시지역에서조차 철근콘크리트교각의 대안으로서 활용되지 못하였다. 이 논문은 강합성교각과 강교각의 내진성능 평가에 관한 연속된 두편의 논문 중 첫편으로 강교각과 강합성 교각의 연성과 강성을 평가 비교하기 위해 수행한 준정적 반복재하실험을 대상으로 하였다. 기존의 강교각 및 강합성교각의 실험과 더불어 채움콘크리트와 하부 다이어프램간의 부작을 개선한 상세를 실험하였다. 또한, 강합성교각의 연성과 강성을 산정하기 위한 간편한 수치해석방법을 찾기 위해 비선형 스프링과 쉘요소를 사용한 해석을 시도하였다. 도시내의 전형적인 오버패스구간의 교각을 모델로 한 실험결과, 강합성교각은 강교각에 비해서 우수한 강성과 에너지 소산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채움콘크리트의 부착과 응력집중부의 상세를 개선시기는 것이 강합성교각의 연성과 강성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도된 수지해석방법은 강합성교각과 강교각의 거동을 완벽하게 모사하지는 못했지만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되면 연성과 강성을 평가하는 간편한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콘돼트렌즈 관리 용액의 세포독성올 검사하기 위한 방법이 여러 가지 이용되고 았 으나, 직접 소프트콘택트렌즈에 홉수된 관리용액의 독성을 조사하기는 어려운 실정이 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관리용액이 홉수원 렌즈 위에 세포를 직접 배양하여 용 출된 관리용액으로 언한 세포독성을 평가하고자 시행하였다. 여러 가지 콘돼트헨즈 관련 용액 중 보존제 성분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쓴 Benzalkonium chloride (BAC)와 Multipurpose solutions(MPS) 빛 AOSept에 Etafilcon A(FDA공인 W 그룹, Acuvue) 재질인 소프트콘태트렌즈콜 4시간 동안 담구어 용액이 홉수되도록 한 후 배양 결막세포 (clone 1- 5c -4) 룹 콘택트렌즈 위에 직접 배양하여 2 시간 통안 용출액에 의한 세포독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같은 용액에 세포를 2시간 직접 배양하여 독성 정 도를 비교하였으며, Monolayer cell 에 같은 용액올 15분 직접 처리하여 독성올 비교 하였다. 그리고 계대 배양 시 25% 농도로 같은 용액을 세포 혼탁액에 혼합하여 부착 률과 증식률을 조사하였다. 세포독성은 세포를 계수하는 방볍과 시l 포활성올 조사하는 방법올 이용하였으며 형광염색을 통해 세포 생존용플 비교하였다. 콘택트렌즈 용출액에 의한 세포 독성은 MPS는 거의 독성이 없었으며, BAC (0,00 1%-0,α)5%) 처리군에서는 40% 의 세포 증식저해가 였으벼. BAC 0, 01% 와 AOSept (0α)()5 -0.oo1%)에서는 70%이상의 증삭저해를 나타냈다. 또한 세포를 실험 용액에 직 접 2시간 배양하여 세포뜰 계수한 결과 대조군인 식염수에 비교하변 MPS 는 40% 이상, BAC 0.001%는 70% 이상, AOSept는 80% 이상 세포 뚱식 서해가 있으며, BAC (O.α)5, 0.01%) 에서는 세포의 생존율이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MTT assay 와 LDH assay를 한 결과 세포룰 계수 하는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형광염색을 이용한 생존율 조사 결 과, BAC 0.01% 처리군에서는 세포가 사멸하는 것을 확인할 수 았었다.
본 연구는 안과에서 주로 사용되는 생체 염색시약으로 Fluorescein, Rose Bengal, Erythrosin B, Lissanúne Green B 올 인간의 결박세포인 Clone1-5c-4 cell line올 배 양하여 cytotoxicity릎 조사하기 위하여 1%, 0.25% 의 농도보 5분, 15분 동안 처리하 여 MTT assay, SRB assay를 실시하였다. 각 염색사약의 세포독성올 바교 검정한 결과, Rose Bengal과 Lissamine Green B에서 서I 포 증식 저해용이 30% 이상 나타났 고, 회복효과를 보기 위하여 시약 제거 후 1 일 배양하여 Ml‘T. SRB assay를 실시한 결과는 Rose Bengal에서 거의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Lissamine Green B 에서는 더 증 가하였다. 또한 5, 15분 동안 시약처리 직 후 subculture활 실시한 후 세포의 부착과 중식정도를 관찰하였고, 회복효과를 보기 위해 3 잊 후에 세포의 형태를 관찰한 결과, Rose Bengal은 거의 차이 가 없었으나 Fluorescein 에서는 회복효과를 보였다.0.25% trypsin을 처리하여 세포에 영향을 주어 세포의 인위적인 손상올 형태학적으로 비교 한 염색상 세포 저해 정도는 Rose Bengal 이 가장 높-았고, Fluorescein 이 제일 낮았 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일부 생체 염색시약이 인간의 결막세포인 Clone1•5c -4 세 포증식을 저해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콘태트렌즈 다목적 용액 내에는 보존제, 소독제, 세척제, 윤활제 둥이 포함되어 있 으며 콘택트렌즈 표면에 침착하는 단백질올 제거하기 위해 물질의 계변에 홉착되어 그 표면 장력을 현저하게 저하샤키고 수액 내에 열정 농도이상으로 폰재할 때 미젤 구조를 형성하여 정상적으로 용해되지 않는 물질을 미첼구조내에서 용해시키는 특성 올 갖판 계면활성제를 사용한다. 본 연구논 계면활성제의 세척 효과와 세포독성 판계를 연구하고자 소프트 콘택트렌즈 의 세척용으로 사용되는 여러 가지 계변활성제 (Tyloxapol, Tromethamine, Poloxamine, Poloxamer40η) 가 생쥐의 섬유모세포인 L• 929 cell line에 미 치찬 저해 효과를 알아보 았다. 계면활성제를 농도별 <0,001-10%, w/w) 토 처리한 후 시간별 (24h, 48h)로 MTT 와 LDH 분석 방법올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단백칠 제거효과는 친수성 콘택트 렌즈 FDA공인 W 그룹의 렌즈 etafilcon A (함수융 58%) 를 인공누액에 65시간 담근 후 꺼내어 계면활성제의 농도와 처리시간이2, 24h) 에 따라 단백절 제거효과를 조사하였 는데 단백질이 침착된 친수성 콘택트렌즈가 각각의 계면활성제에 의해 제거된 단백질 량의 정량은 Bradford 정량 방법올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세포증식 저해효과는 24시간 처리결과 Poloxamine의 ;성우 0.1%이하에서. Poloxamer407은 5% 이하에서. Tyloxapol 은 0.1%이하에서, Tromethamine은 1% 이하의 농도에서는 세포독성윷 나타내지 않았 으나, Poloxamine의 경우 1% 에서, poloxamer407은 7% 에서, Tyloxapol은 1% 에서, Tromethamine은 1.5%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세포소지판을 중심으로 평가된 MTT 분석 방법은 LDH 유리 분석 방법보다 민감하게 나타났다. 계면활성제의 세포독성이 없는 농도에서 단백질 제거효과눈 Tylox따Xll > Poloxamer-때7> Tromethamine > Poloxamine 순으로 콘택트렌즈에 침착된 단백질 제거량이 높았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효과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파똘 통해 미래의 계면활 성제는 세포독성이 낮고 세척효과가 뛰어나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콘택트렌즈 관리용액의 보존제 성분 중 Benzalkonium Chloride<BAC) 가 L929세포 주에 세포독성과 세포 자연사룰 유도하는지 조사하고자 시행하였다. 생쥐 섬유모세포 인 L929 cell line을 배양하여 양성 대조군으로 0.01% H20~, 음성 대조군으로 Media 를 처리하였으며 세포독성은 BAC룰 배양세포에 시간별 (24, 때hr) , 농도별(0.0001 , 0.001, 0.005, 0.01, 0.05, 0.1%) 로 처리하여 대조군과 처리꾼올 비교하여 세포독성 농 도를 산출하였다. Hematoxylin-Eosin Staining후 광학현미 경으로 형태적 변화를 관 찰하고, MTT Assay와 LDH Activity 로 검정하였으며, MTT 정량과 LDH(Lactate Dehydrogenase) 활성도로 세포독성 농도룹 산출하였다. MTT 정량결과, 세포 독성이 0.0001% 에서는 8%, 0.005% 에서는 30%, 0.001%에서논 65%5'_ 농도 의존적으로 독성 이 나따났으며, 0.001% 에서 LDH 유출정도가 대조꾼과 비교하여 차이를 나타내지 않 았으나, 0.01% 의 농도에서 2.9 배, 0.1%의 농도에서 대조군에 비해 3.35배정도 높은 LDH 의 유출율을 보였다. 세포자연사 (Apoptosis) 륜 관찰하기 위 해 Hoechst33342와 DNA Laddering과 Flow cytometry를 실시한 결과, 0.1%에서쓴 세포괴사 (necrosis) 에 의해, 0.001%-0.01%에서는 세포자연사(apoptosis) 에 의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콘택트렌즈 소독제로 쓰이는 H2Û2올 중화용 백긁 판올 이용하여 수회 반복 중화한 용액이 배양 각막상피세포의 Apoptosis룰 유도하는지 여부룹 조사하기 위해 본 연구 를 시행하였다 3% H202(AOSept)를 6시간 동안 9회에 걸쳐 통일 백금 판으로 풍화 한 용액을 배양 각막 상피세포에 배양액의 25% 농도로 1--2 띤 동안 처리하여 처음 중화한 용액과 9번째 중화한 용액음 중심으로 세포독성과 Apoptosis를 조사하였다. 세포똑성은 MTT assay를 이용하였으며 lnverted pþase-contrast microscope로 형 태 를 확얀하고 Toluiclin blue 염 색으로 Apoptotic Cell올 확언하였으며 Hoechst 33342 로 형광 염색하여 Apoptotic Index를 조사하였다. 또한 Annexin V - FITC깨ropiclium Iodide(PDstaíning, DePsipher TM assay. M30 CytoDEATH. TUNEL (TdT-dUTP terminal nick-end labelling) assay를 통해 형태적인 변화될 확인하였다. 생화학적 변 화인 DNA Fragmentation은 Agarose gel electrophoresis룹 사 행하였으며 Fas Antigen 의 발현을 조사하기 위하여‘ Irnmunocytochemistry와 Westem blotting올 시 행하 였다. H20z의 독성올 약화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백금 판을 수회 재사용하여 중화한 용액닫 25% 농도로 1-2 일간 처리하였을 때 각막 상피세포의 Apoptosis가 유도되는 것 이 형 광 염 색, DNA ladder. Irnmunocytochemistry. Westem blotting등의 방법 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중화된 H써2룹 25% 농도로 1-2 일 동안 처리한 결과, 세포 증식 저해와 Apoptosis 가 유도되므로 중화용 백금 판의 이용 횟수활 세한하거나 중화시간 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완전하게 중화된 소독용 H202는 더 이상 소독효파가 없으므로 장시간 동안 렌즈의 소쪽보관 용액으로 사용해서는 안 된 다는 교육이 반드시 펼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용융탄산염 연료전지(MCFC)의 상용화에 있어서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분리판 wet-seal부의 내식성 향상을 위해 AISI 316L 스테인레스강에 Ni은 전기도금법으로, Y과 Al은 e-beam PVD법으로 피복하여 Ni/Y/Al충을 형성시켰다. 800˚C 환원분위기에서 5시간의 열처리를 통해 NiAlY 합금층을 얻을 수 있었으며, 그 후 650˚C 용융탄산염내에서 as-received AISI 316L 스테인레스강과 200시간의 침지실험을 퉁해 내식성이 비교.평가되었다. SEM/EDS를 통한 단면 관찰 결과, Y의 첨가에 의해 치밀한 산화막을 형성하여 분리판 wet-seal부의 내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본 연구는 R-B & HDDR process를 적용해서 Nd-Fe-B계 회토류 이방성 본드자석의 제조를 위한 기초 데이터를 확보할 목적으로. 환원확산법을 사용해서 Nd-Fe-B계 자석합금분말을 제조하는 데 필요한 금속 Ca에 의한 Nd2O3의 환원반응과 Fe-B합금분말중에서의 Nd확산반응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Nd2O3의 환원시 필요한 최적의 Ca첨가량은 1000˚C에서 1h동안 R-D 반응후 Nd 및 B원소의 수율관계로부터 이론당량의 1.3배정도가 적량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Fe-B합금분말중에 Nd의 확산과 관련된 XRD의 분석결과에 따라 완전한 균질화를 위해서는 1100˚C에서 45min정도의 R-D반응이 필요하였으며, R-D반응에 대한 Nd의 수율도 그 조건에서 최대로 얻어졌다. 그리고 수세후의 최종 분말시료중에 잔류하는 Ca 및 O2량을 ICP발광분석 및 산소분석기에 의해 분석한 결과, 각각의 함유량은 0.17 및 0.42wt%정도가 검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상업용 폴리설폰 한외여과 중공사막을 지지체로 사용하여 저압 정수용 역삼투압막 제조시 막표면에서 feed의 큰 전단응력에 견딜 수 있도록 도포층과 지지층의 결합력을 증가시키는 전처리 방법을 확립하였다. 확립한 전처리 공정에서 지지막과 친화력이 좋으면서 도포층을 이루는 반응물과 반응성이 있는 글루탈알데히드와 촉매역할을 하는 염산 혼합 수용액으로 지지막을 전처리하면 이들 글루탈알데히드는 지지막 표면 및 기공 벽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이후 표면중합법에 의해 형성된 도포층을 이루는 일부 반응물과 화학적으로 결합 되어 지지체와 도포층간에 강한 결합력을 제공한다. 전처리공정 없이 제조한 중공사 역삼투압막은 투과 후 5시간 이내에 feed의 큰 전단응력에 의해 도포층의 분리 파괴가 일어났으나 본 연구에서 확립한 방법으로 전처리하여 제조한 중공사막은 장시간 사용에도 우수한 막성능이 지속되었다.
본 연구는 콘택트렌즈의 세척용으로 사용되는 여러 가지 계면활성제중 널리 사용 되고 있는 Tyloxapol과 Tromethamine의 단백질 게거 효과와 L-929세포에 미치는 저해효과를 서로 비교하기 위하기 위해 먼저 렌즈를 인공누액에 65시간 담근 후 계 면활성제의 처리시간에 따라 단백질 제거효과를 UV Photo-spectro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계면활성제의 L-929세포에 미치는 저해효과는 MTT assay, LDH assay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계면활성제가 L-929세포에 미치는 저해효과는 통일 농도에서 Tyloxapol 이 Tromethamine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냈으며, 세포 수도 농도 의폰적으로 감 소하였다. 독성의 차이는 LDH assay 보다 MTT assay가 더 민감도를 보였다. 침착 된 단백질에 대한 세척효과는 동일농도에서 Tyloxapol 이 Tromethamine보다 뛰어났 다. 단백질 제거효과는 농도 의존적으로 효과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Tyloxapol과 Tromethamine의 세포증식 저해를 나타내는 최저농도에서 Tyloxapol 이 Tromethamine보다 단백칠 제거효과는 월둥히 뛰어났다.
본 연구는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콘택트렌즈 단백질 제거제로 4개회사의 제품(국 내 2종, 국외 2종)을 선별한 후, 세포 독성과 단백질 제거 효능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단백질 제거제가 녹아 있는 식염수에 12시간 동안 담근 콘택트렌즈를 L929 세포주 (생쥐섬유모세포주) 위에 직접 올려놓아 용출된 용액으로 인한 세포 생사를 Trypan blue 염색올 통해 판별하는 USP Elution Assay 법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단백질 제거 제를 직접 배양세포에 15분간 처리하여 MTT Assay 인 세포 독성을 검정하였다. 또 한 단백질 제거제 효능을 조사하기 위해 FDA에서 분류한 IV group lens를 조성한 인공누액에서 단백질을 홉착시킨 Bradfod Assay 법을 통해 측정 비교하였다. MTT 결과는 1 종류의 제품에서 40% , 3종류의 제품은 70% 이상의 세포증식 저해율이 나타 났다. USP Elution Assay에서는 동물성 단백질 제거제 Pancreatin 이 주성분인 1 종 류의 제품은 1 등급, 나머지 3종류는 O등급을 나타내였다. 또한 Bradford Assay 방법 을 이용하여 단백질 제거제의 효능을 겁정하였는데, Subtilisin A가 주성분인 A사 8 시간, Subtilisn 이 주성분인 B사 5분, Pancreatin 이 주성분인 C사 6 시간, Papain 이 주 성분언 D사는 8시간이 지난 후에 단백질 제거제 효능이 최대 효과가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