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1

        41.
        2010.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ve effect of participative and assigned goal setting on team performance. Participants were 30 college students and their typing speed was tested. They were ordered on the basis of the typing speed and were divided into 15 pairs, with the members of each pair having similar typing speed. Members in each pair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two experimental conditions. Participants were asked to type materials provided by the experimenter for 20 days. The dependent variable was the number of words typ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formance between the two conditions.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difference in trend between two condition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4,000원
        42.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버섯의 병해 중에서 가장 방제가 어렵고 버섯의 발생 및 수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푸른 곰팡이병은 그린몰드 (green mold)가 그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은 표고, 느 타리, 양송이, 팽이 등 버섯의 종류에 관계없이 발생된다. 현재 버섯 재배농가에서는 버섯균사생장 기간 동안에 푸 른 곰팡이병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버섯배지 살균 전에 균상표면에 벤레이트, 판마쉬, 스포르곤수화제를 1000 ppm 농도로 살포하는 것이 최대의 방제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버섯 병해의 주범인 그린몰드(green mold)의 생장을 제어하 기 위하여 1000 ppm 농도로 조제된수목추출물과 시판 유기 계 화합물에 의한 그린몰드 생장 억제력을 비교 평가 하였다. Trichoderma 5종 균주에 대한 유기계혼합제제의 항균활 성은 시판유기계 화합물의 혼합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서 높 게 나타났고, 열수추출물보다 시판유기계 화합물의 첨가량 이 높을수록 항균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T. aggressivum 에서는 수목추출물의 항균활성이 34.7% 로 나타났지만 시판유기계 화합물의 혼합비율이 증가함 에 따라 항균활성은 46% - 53% 수준으로 높아졌다. T. atroviride 에서는 수목추출물의 항균활성이 35.7%로 나타 났으며 시판유기계 화합물의 혼합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항 균활성은 55% - 66%로 나타났다. T. harzianum 에서 수목추출물의 항균활성이 34.9%로 나타났고 시판유기계 화합물의 혼합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43% - 56%의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T. koningii 는 열수추출물에서 31%의 항균활성을 나타냈 으며 시판유기계 화합물의 혼합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항균 활성은 63% - 68%로 나타냈다. T. viride는 시판유기계 화합물의 혼합비율이 증가함에 따 라 30% - 82%의 항균활성을 나타냈고 Trichoderma 5종 균주 중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43.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침엽수재 목분으로부터 유래된 열수추출물로부터 그린 몰드(Trichoderma 류)의 생장을 억제하는 화합물을 탐색하 기 위하여 낙엽송 및 미송톱밥의 열수추출물을 획득하고 이 들을 다시 n-hexane 용해부, methylene chloride 용해부, ethyl acetate 용해부, water 용해부로 분리하였다. 본 연구는 이들 용해부의 그린몰드 항균활성을 검토하고 자 Malt agar 배지에 용해부를 혼합하고, 그린몰드 5종(T. aggressivum, T. atroviride, T. harzianum, T. koningii, T. viride )을 각각 접종하여 생장시켜 그린몰드 억제 성능을 평 가하였다. 낙엽송 열수추출물의 각 용해부를 Trichoderma 5종 균주 에 대하여 적용 하였을 때 균사의 생장은 각각 다르게 나타 났다. 특히 water 용해부는 T. atroviride 및 T. viride 에 대 하여 대조구와 비교했을 때 항균활성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n-Hexane 용해부는 Trichoderma 5종 균주 모두에 대하 여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냈으며 이때 항균활성은 70% - 80%였다. T. viride를 제외하고는 ethyl acetate 용해부가 n-hexane 용해부 다음으로 항균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미송 열수추출물로부터의 각 용해부를 Trichoderma 5 종 균주에 대하여 적용 하였을 때 균사의 생장은 각각 다르 게 나타났다. 특히 water 용해부는 T. atroviride 및 T. viride 에 대하여 대조구와 비교했을 때 항균활성을 나타내지 못 하였다. n-Hexane 용해부는 Trichoderma 5종 균주 모두 에 대하여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냈으며, 이때 항균활 성은 T. aggressivum 에서 69%, T. atroviride 에서 71%, T. harzianum 에서 62%, T. koningii 에서 76%, T. viride에서 82%의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Ethyl acetate 용해부가 n-hexane 용해부 다음으로 항균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44.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내산 침엽수 톱밥추출물을 이용하여 버섯의 푸른곰팡이병 방제약제 원료를 개발하고자 시도 되었으며, 푸른곰팡이병의 원인균의 하나인 Trichoderma 속 곰팡이를 대상으로 항균활성을 시험하였다. 1,000 ppm 농도의 낙엽송 열수추출물은 Trichoderma 속 균주에 대하여 최고 20.6%의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1,000 ppm 농도의 미송 열수추출물은 T. aggressivum에 대하여 60.3%, T. harzianum 52.2%, T. atroviride 46.8%, T. viride 46.1%의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T. koningii에서는 36.2%의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미송 열수추출물이 낙엽송 열수추출물보다 Trichoderma 속 균주에 대하여 보다 효과적인 항균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다고 판단되었다. 낙엽송 열수추출물로부터 분리된 n-hexane 분획물은 Trichoderma 속에 대하여 68.5% ~ 79.9%의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열수추출물로부터 분리된 미송의 n-hexane 분획물은 T. aggressivum에 대하여 68.5%, T. atroviride에 대하여 71.4%, T. harzianum에 대하여 71.9%, T. koningii에 대하여 75.7%, T. viride에 대하여 82.3%의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냈고, ethyl acetate 분획물이 n-hexane 분획물 다음으로 높은 항균활성이 나타내었다. Trichoderma 속 균주에 대한 낙엽송 및 미송 열수추출물의 항균활성은 미송 추출물이 낙엽송 추출물보다 높게 나타났지만, 낙엽송과 미송의 열수추출물로부터 분리된 n-hexane 분획물에 의한 항균활성 차이는 거의 없었다. 미송 열수추출물과 낙엽송 및 미송의 열수추출물로부터 획득된 n-hexane 분획물은 Trichoderma 속에 대한 항균원료로서 사용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4,300원
        45.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푸른 곰팡이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은 매우 다양하며, 현 재까지 밝혀진 병원균은 Trichoderma spp., Gliocladium spp., Penicillium spp. 그리고 Aspergillus spp.로 이 중에서 Trichoderma spp.는 자낭균류에 속하는 Hypocrea spp.의 무성세대로서 발생빈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버섯의 병해 중에서 가장 방제가 어렵고 버섯의 발생 및 수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인 병의 하나인 푸른 곰팡이병은 고온다습한 조건에서 많이 발생하며 발생초 기에는 버섯균과 비슷한 백색을 띄다가 포자가 형성되면 서 황록색 내지 진녹색으로 변하고, 골목의 표면에 부정형 의 병반을 형성하면서 버섯균의 생장을 억제하여 결국에 는 버섯균을 죽게 한다. 현재 버섯 재배농가에서는 버섯균 사생장 기간동안에 푸른 곰팡이병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 하여 버섯배지 살균 전에 균상표면에 벤레이트, 판마쉬, 스포르곤수화제를 살포하는 것이 최대의 방제법이다. 따 라서 본 연구는 버섯 병해의 주범인 그린몰드(green mold)의 생장을 제어하기 위하여 수목추출물 및 nhexane 용해부의 효능을 비교 평가하였다. 수목추출물의 그린몰드에 대한 항균활성은 T. aggressivum 34.7%, T. atroviride 35.7%, T. harzianum 34.9%, T. koningii 31.0%, T. viride 30.7%로, 평균 33.4%의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고, T. atroviride에서 수목추출물이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n-Hexane 용해부의 그린몰드에 대한 항균활성은 T. aggressivum 52.3%, T. atroviride 65.6%, T. harzianum 47.1%, T. koningii 48.5%, T. viride 51.1%로, 평균 52.9%의 항균활성을 나타내었고, T. atroviride에서 nhexane 용해부가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수목추출물과 n-hexane 용해부의 그린몰드에 대한 항 균활성은 추출물의 농도에 따라서 5% 수준에서 유의성이 나타났다. 수목추출물과 n-hexane 용해부의 항균활성을 비교하 였을 때 수목추출물보다 수목 n-hexane 용해부에서 더 높은 항균활성이 나타났다.
        46.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표고, 느타리, 양송이, 팽이등 버섯의 종류에 관계없이 발생되고 있는 푸른곰팡이병은 그린몰드(green mold)가 그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의 피해는 심각하다. 푸른 곰팡이병을 일으키는 곰팡이로는 Trichoderma, Gliocladium, Aspergillus, Penicillum 등이 현재 알려져 있다. 푸른곰팡 이 병원균은 균사생장 시 균상에 발생하여 버섯균의 균사 생장을 방해하거나 기생하여 버섯균사를 사멸시키며, 버 섯수확기에 병해를 발생시키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버 섯의 수확을 저하시키는 Trichoderma를 억제하기 위하 여 수목추출물 2종을 혼합한 다음 그 효능을 평가하였다. Trichoderma에 대하여 항균력을 나타내는 유효 화합 물질을 확인하기 위하여 GC/MS를 이용하여 편백 휘발성 추출물을 분석한 결과, 50개의 테르펜계 화합물이 존재한 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대부분의 물질이 동정되었다. 편백 휘발성 추출물의 주요 화학적 조성은 모노테르펜류인 sabinene 11.62%, limonene 4.31%, isobornyl acetate 6.23%, α-terpinyl acetate 11.75%였으며, 세스퀴테르 펜류로 elemol 11.08%, β-eudesmol 4.02%, epibicyclosesquiphellandrene 4.18%가 나타났다. 소나무와 편백 추출물의 혼합비율 10 : 1(g/g) 제제는 T. aggressivum에서 20.4%, T. atroviride에서 14.0%, T. harzianum에서 32.0%, T. koningii에서 26.8%, T. viride에서 19.0%의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Trichoderma 균주는 편백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항균활성 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Trichoderma 균주는 편백 추출물보다는 소나무 열수추출물에 대하여 영향을 받았다.
        47.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산업적으로 이용 되지 못하고 폐기되거나 임지에 버려지 는 수목으로부터 추출물을 분리하고 이들 추출물을 버섯 산업에 이용하게 된다면 그 경제적인 중요성 및 가치는 무한 하다고 판단된다. 천연물을 이용한 그린몰드 방제제의 제 조 및 사용은 해외로부터 무분별하게 유입되는 방제제 및 화학약품의 수입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버섯소비 자들에게 안전한 먹거리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버섯 균상에 침입하는 그린몰드의 생육 을 억제하는 유효화합물을 침엽수재 톱밥으로부터 획득하 기 위하여 최적의 추출방법을 도출하는 것이다. 수목 추출 물로부터 그린몰드 생장 억제 화합물을 분리하기 위하여 추출 조건에 따른 그린몰드 생장 억제에 유효한 수목 원료 의 추출 조건을 규명하였다. 미송 및 낙엽송 톱밥으로부터 분리한 추출물은 그린몰드 생장을 약 40% 수준에서 억제 하였다.
        48.
        2007.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산업적으로 이용 되지 못하고 폐기되거나 임지에 버려지는 수목으로부터 추출물을 분리하고 이들 추출물을 버섯산업에 이용하게 된다면 그 경제적인 중요성 및 가치는 무한하다고 판단된다. 천연물을 이용한 그린몰드 방제제의 제조 및 사용은 해외로부터 무분별하게 유입되는 방제제 및 화학약품의 수입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버섯소비자들에게 안전한 먹거리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버섯 균상에 침입하는 그린몰드의 생육을 억제하는 유효화합물을 침엽수재 톱밥으로부터 획득하기 위하여 최적의 추출방법을 도출하는 것이다. 수목 추출물로부터 그린몰드 생장 억제 화합물을 분리하기 위하여 추출 조건에 따른 그린몰드 생장 억제에 유효한 수목 원료의 추출 조건을 규명하였다. 미송 및 낙엽송 톱밥으로부터 분리한 추출물은 그린몰드 생장을 약 40% 수준에서 억제하였다.
        50.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달의 운동’ 단원에 대한 상호작용형 WBI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중학교 과학교사 20명에게 의뢰하여 의견을 들었으며, 중학생 49명에게 3개월 동안 투입하여 그 질적 수준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흥미유발, 궁금증 해결, 탐구능력 신장, 학습 참여도, 난이도 등의 면에서 응답자의 85%이상이 긍정적이라고 응답하였다. 그리고 과학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는 학습자들의 반응은 본 WBI 프로그램 학습 후 통계적으로 유의수준 .05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5). 또한 본 WBI 프로그램 투입 전후 학습자들의 개념 수준을 비교한 결과, ‘달의 운동’과 관련된 개념을 갖고 있지 않은 경우가 부분적인 개념을 갖고 있는 경우보다 개념 향상 정도가 더 높았다.본 연구에서는 ‘달의 운동’ 단원에 대한 상호작용형 WBI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중학교 과학교사 20명에게 의뢰하여 의견을 들었으며, 중학생 49명에게 3개월 동안 투입하여 그 질적 수준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흥미유발, 궁금증 해결, 탐구능력 신장, 학습 참여도, 난이도 등의 면에서 응답자의 85%이상이 긍정적이라고 응답하였다. 그리고 과학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는 학습자들의 반응은 본 WBI 프로그램 학습 후 통계적으로 유의수준 .05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5). 또한 본 WBI 프로그램 투입 전후 학습자들의 개념 수준을 비교한 결과, ‘달의 운동’과 관련된 개념을 갖고 있지 않은 경우가 부분적인 개념을 갖고 있는 경우보다 개념 향상 정도가 더 높았다.
        4,200원
        52.
        199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imate the daily intake of lead and the relationship among dietary intake, serum level, and urinary excretion of calcium in 30 healthy adults living in rural area of Korea(12 males and 18 females). Analyses for the nutritional status of the subjects were performed by 3-day dietary intake record, duplicated diet collection, 24-hour urine collection, and venous blood sampl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The mean daily intake of energy was 2, 176.3㎉ and l, 613.9㎉ in males and females of 20∼49years, and l, 914.8㎉ and l, 517.9㎉ in males and females of 50∼59years, respectively. The ratio of carbohydrate: fat: protein was 73.4:13.6:13.0 in males and 76.4:10.3:13.3 in females. The mean daily intake of lead was 277.2㎍ in males and 192.0㎍ in females. The mean daily intake, serum level, and urinary excretion of calcium were 491.1㎎, 8.9㎎/㎗, and 80.7㎎ in males and 426.7㎎, 8.8㎎/㎗, and 80.3㎎ in females, respectively.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daily lead intake and the dietary intake, serum level, and urinary excretion of calcium. It was concluded that the daily lead intake was lower than the acceptable daily lead intake of FAO/WHO but a little higher than that of other investigations. And the daily lead intake was not level that relate to calcium status seriously.
        4,000원
        53.
        198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quality of pork organs such as the meat of large intestine, small intestine and liver during frozen storage at -18±1℃. The result obtained were as follows ; 1. The moisture contents in the meat of large intestine, small intestine and liver was 61.1%, 65.1% and 71.3% and the content of crude fat was 27.1%, 21.5% and 5.0% respectively. 2. Weight loss increased in the course of storage period, and liver showed the least weight loss in them. 3. Total lipid in the meat of large intestine, small intestine and liver was 24.4%, 19.2% and 4.3% respectively, and which decreased gradually in the course of storage period. 4. The content of volatile basic nitrogen in raw meat was 20㎎% within and without before storage treatment, and that of the value was 24.2㎎% within after 3 weeks storage.
        4,000원
        54.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dynamic loads such as wind and wave loads are consistently applied to the offshore structure. These dynamic loads affect to the safety and the durability of offshore structure. Tuned Liquid Damper (TLD) was applied to control the vibration of an offshore structure due to dynamic loads. The target structure is jacket structure with PC House for 5-MW offshore wind turbine.
        55.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합천댐, 회천 유역에 대하여 비슬산 이중편파 레이더를 이용하여 유역평균강우량을 각각 추정하여 지상 우량계의 강우량과 비교한 후 분포형 유출모형인 Vflo 모형을 사용하여 유출을 모의하였다. 유역평균 강우량 분석 결과 이중편파 레이더 변수를 사용한 결과 첨두우량 및 전체 강우량 값이 지상우량계 값과 근접하게 산정되었고, Vflo 분포형 모형을 사용한 유출모의 분석 결과 또한 이중편파 레이더 변수를 사용한 유출모의가 실제 유출량에 근접하였다. 이는 이중편파 레이더를 사용한 강우추정 및 유출모의가 기존의 수평반사도만을 사용한 단일편파 레이더보다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라고 판단된다.
        56.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ensile and axial buckling strength of corroded steel plates was evaluated based on the axially loading tests of corroded specimens, which were cut off at a temporary steel structures. The tensile and axial buckling strength of corroded specimens and non-corroded specimens could be evaluated identically by using effective thickness, which is equal to average thickness minus standard deviation of residual thickness.
        57.
        200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0 wt% triclosan과 0.4 wt% 죽염을 함유한 바디워시의 액취 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를 위하여 in vitro 항균시험 및 무작위 배정, 이중맹검, 교차설계로 진행한 임상시험을 실시하였다. 1.0 wt% triclosan과 0.4 wt% 죽염을 함유한 바디워시는 Corynebacterium glutamicum, Corynebacterium xerosis, Corynebacterium jeikeium를 균주로 한 in vitro 항균 실험에서 모두 우수한 항균 효과가 있었다. 1.0 wt% triclosan과 0.4 wt% 죽염을 함유한 바디워시는 액취를 전반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시켰고 그 효과는 최소 9 h 동안 지속되었다. 1.0 wt% triclosan과 0.4 wt% 죽염을 함유한 바디워시는 액와 균수를 유의성 있게 감소시켰고 그 효과는 최소 9 h 동안 지속되었다. 임상시험 기간 동안 피시험자 전체에서 이상반응 증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1.0 wt% triclosan과 0.4 wt% 죽염을 함유한 바디워시는 액취에 대한 감소효과와 피부 안전성이 우수하였다.
        60.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ROC를 이용하여 일반 촬영기기에 따른 영상의 질을 평가해보고자 함이다. 본 연구 의 수행을 위하여 CR(Computed Radiography)과 DDR(Direct Digital Radiography)을 사용하였으며 피사체 로 흉부 팬텀을 사용하였다. 각 기기에서 영상을 획득한 후 ROC평가를 이용하여 영상의 질 및 기기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조사 조건으로 관전압 120kVp와 관전류량 3.2 mAs를 이용하였고 SID(Source to Image Distance)는 180㎝로 설정하였다. 팬텀의 심장, 폐야, 흉추부위에 병소를 표현하였으며 각 장비에 서 획득한 영상의 질 및 기기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방사선학 전공자 29명을 대상으로 ROC평가를 실시하였다. ROC 평가 결과 DDR의 TPF(true positive fraction)는 0.552, FPF(false positive fraction)는 0.474, CR의 TPF는 0.629, FPF는 0.405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CR의 영상이 DDR의 영상보다 더 나 은 영상의 질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영상의 질의 확연한 차이의 원인은 DDR의 경우 enhance board의 미 삽입으로 인한 영상 후처리의 미수행이라고 사료된다. 추후 DDR의 enhance board의 삽입 후 영상의 후처리가 가미된 DDR영상의 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본 연구의 결과로 인하여 영상의 후처 리가 임상의 판독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