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리끄 아흐마드 니자미가 저술한 타리크-이-마샤이흐-이-치스트는 인도 수피즘, 특히 치스티 전통 연구에 있어 기념비적인 공헌으로 평가받는다. 본 논문 은 이 저작에 대한 주제적 연구를 통해, 인도-이슬람 사회의 역사가로서 니자미가 치 스티 실실라(silsila: 영적 계보)의 영적·사회적·정치적 차원을 어떻게 해석하는지를 살 펴본다. 니자미는 성인전적 낭만주의에서 벗어나, 수피 성인들의 실제 삶의 경험, 사회 와의 상호작용, 정치 권력과의 복잡한 관계를 조명하는 정교한 역사적 접근 방식을 취 한다. 이 논문은 치스티 정신의 핵심인 파끄르(faqr: 영적 빈곤), 키드맡(khidmat: 봉 사), 사마(sama‘: 영적 청취), 성인들의 사회개혁가 및 도덕적 본보기로서의 역할, 제 국 후원에서의 의도적 거리두기 등의 주요 주제를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니자미의 저 작은 보다 넓은 수피 사학 전통 안에 위치하면서도, 남아시아에서의 타사우우프 (Tasawwuf: 수피즘)에 대한 학문적 연구의 전환점으로 평가된다. 본 논문은 타리크- 이-마샤이흐-이-치스트가 치스티 계보의 역사적 발전을 기록하는 데 그치지 않고, 중 세 인도 사회의 도덕적·영적 구조를 재구성하려는 니자미의 사학적 신념을 반영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주제적 독해를 통해, 니자미가 수피즘 연구와 인도 이슬람 지성사 모두에 기여한 독자적인 의의를 조명한다.
소외라는 세계적 실존적 위기는 개인이 인생의 다양한 단계에서 마주하 게 되는 보편적인 현상이며, 이는 감정적 단절과 인간관계의 긴장으로 이어지곤 한다. 캐서린 맨스필드와 앨리스 먼로의 문학 작품에서는 이 주제가 부부 사이에서 내면화 된 소외감으로 인해 관계가 무너지는 과정을 통해 탐구된다. 맨스필드의 미스 브릴 과 먼로의 플로팅 브리지의 지미는 모두 고립되고 주변과 단절된 상태로 이야기를 시작한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며, 그들의 외로움은 보다 깊은 희망과 감정적 갈망으로 변화한다. 이야기의 결말에 이르러, 두 인물 모두 개인적인 충만감과 진정한 관계를 향한 추구에 몰두하게 된다. 본 연구는 이 주인공들의 감정적 여정을 분석하며, 고립 의 경험이 궁극적으로 자기 발견과 성장을 이끌어냄을 보여준다. 소외는 큰 고통을 안 겨줄 수 있지만, 동시에 변화를 촉진하고 의미 있는 관계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계기 가 될 수 있다는 점을 논증한다. 두 인물은 감정적 회복력을 바탕으로 내면의 갈등을 극복하며, 치유와 충족을 향한 길을 찾아간다. 따라서 본 논문은 외로움의 고통 속에 서도 그것이 오히려 변화의 가능성을 열어주며, 더 깊고 진실된 관계에 대한 희망을 키워줄 수 있다는 역설을 강조한다.
본 논문은 아미타브 고시의 순다르반 3부작을 에코페미니즘의 관점에서 분석하며, 여성과 자연, 그리고 저항의 문제를 탐구한다. 고시는 이 3부작을 통해 여성과 자연을 상품화하는 가부장제 및 자본주의 구조를 드러내며, 환경 위기가 특히 주변 화된 공동체와 여성에게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보여준다. 헝그리 타이드(2004) 에서는 모리치자피 학살 사건을 통해 국가 주도의 보존 정책에 내재된 폭력을 고발하 며, 생태 보존이 어떻게 쿠숨과 같은 취약한 이주민들을 몰아내는 억압의 도구로 작용 하는지를 묘사한다. 건 아일랜드(2019)는 기후 변화, 강제 이주, 젠더 기반의 불안정 성을 세계 자본주의 구조와 연결시키며 비판을 확장한다. 정글 나마(2021)에서는 가 부장적 서사를 전복하고 자연의 주체성을 강조하는 본 비비(Bon Bibi)의 신화를 소개 한다. 고시는 이러한 작품들을 통해 자연/문화, 여성/남성, 신체/정신의 이분법을 해체 하고, 공존에 기반한 대안적 생태 의식을 옹호한다. 신화, 역사, 환경 비판을 직조해내 며, 젠더화된 생태 정의에 대한 긴급한 요구를 전면에 부각시킨다. 그의 서사는 인간 중심적, 남성 중심적 패러다임을 흔들고, 인간 생존이 자연 및 주변화된 목소리들과의 윤리적 관계에서 불가분함을 상상한다. 본 논문은 가부장제와 자본주의 하에서 여성과 자연의 관계, 그리고 신화와 유토피아 속에서의 그들의 위치를 함께 고찰한다.
본 논문은 윌리엄 깁슨의 뉴로맨서에서 시뮬라크라, 사이버스페이스, 하이퍼리얼리티의 상호작용을 탐구하며, 이 소설을 포스트모던 조건을 집약한 기념비 적 텍스트로 위치시킨다. 장 보드리야르, 장프랑수아 리오타르, 프레드릭 제임슨 등의 이론적 관점을 바탕으로, 깁슨이 현실과 시뮬레이션의 경계가 무의미해진 허구적 우주 를 어떻게 구축하는지를 살핀다. 뉴로맨서에서 사이버스페이스 매트릭스는 단순한 서사 배경을 넘어서, 기호가 현실을 앞서고 대체하는 상징적 영역으로 기능하며 보드 리야르의 하이퍼리얼 개념을 구현한다. 주인공 케이스가 가상 네트워크를 무형으로 탐 색하는 모습은 정체성 위기를 반영하며, 첨단 기술 환경에서 안정된 자아가 붕괴하는 양상을 드러낸다. 본 논문은 이 소설이 데이터 과잉, 미디어 융합, 대서사의 붕괴로 특징지어지는 포스트모던성의 감각적·심리적 분위기를 포착하고 있음을 주장하며, 이 를 통해 현대 디지털 문화를 이해하는 분석적 틀을 제공한다. 정밀한 텍스트 분석을 통해, 이 연구는 뉴로맨서가 사이버펑크 미학에 기여한 바와 미디어 이론, 포스트모 던 철학, 기술문화 연구에서의 관련성을 강조한다.
이 논문은 이언 매큐언의 나와 같은 기계들을 예이츠의 시적 관점을 통해 조명하면서, 인공지능의 맥락 속에서 영적 해체와 윤리적 붕괴에 대한 모더니즘 적 불안을 재구성하고 있음을 주장한다. 매큐언은 기계를 인간 존재에 대한 위협으로 묘사하기보다는, 흔들림 없는 도덕적 명확성을 지닌 탈인간적 존재로서의 합성 주인공 아담 을 구축하며, 인간 세계의 결함과 갈등을 부각시킨다. 본 연구는 인물의 성장, 윤리적 딜레마, 반사실 역사 에 대한 면밀한 텍스트 분석을 수행하며, 이를 예이츠의 영혼 분열과 순환적 시간에 대한 시적 명상과 연관을 짓는다. 아담의 역할을 모더니즘 적 틀 안에 위치시킴으로써, 매큐언이 기술적 이상주의와 도덕적 상대주의 모두를 비 판하고 있음을 드러낸다. 연구 결과는 아담의 삭제가 기계의 실패가 아니라, 인간이 자신의 모순을 직시하지 못하는 데에서 비롯된 것임을 보여준다. 궁극적으로 이 논문 은 가 인공지능에 대한 경고가 아니라, 양심을 지워버리는 세계를 향한 모더니즘적 애 도라고 주장한다.
Pine wilt disease (PWD), caused by the pine 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is a major threat to Pinus thunbergii forests in South Korea. Although climatic conditions are known to affect the spread of PWD, the specific influences of temperature and geography on nematode density and tree mortality remain unclear. This study assessed monthly PWN density and black pine mortality across three regions—two coastal (Geoje and Sacheon) and one inland (Jinju)—from 2021 to 2023. Nematode density and tree mortality consistently peaked in autumn across all regions.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nematode density and tree mortality (r = 0.7468, p < 0.01), while temperature showe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ither variabl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WD severity is more closely tied to nematode activity than to temperature alone, and that regional and seasonal variability must be considered in disease assessment. The findings highlight the need for region-specific monitoring and management strategies that prioritize high-risk periods, particularly autumn, when nematode activity and disease expression are most pronounced. This research provides essential data to support adaptive PWD control programs under changing climatic condi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