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85

        301.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is the result of analysing the Building Register. It describes the ebb and flow about small-scale buildings for 5years. Major cities are rapidly decreasing small-scale buildings. On the other hands,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are monotonic. Currently, All of the Korea buildings are occupied by small-scale buildings up to 82%. So, This researcher suggest that these buildings need to standardized design of structure for preparing earthquake and abnormal climate.
        302.
        201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estimate the benefit of high-resolution meteorological data for building energy estimation, a building energy analysis has been conducted over Busan metropolitan areas. The heating and cooling load has been calculated at seven observational sites by using temperature, wind and relative humidity data provided by WRF model combined with the inner building data produced by American Society of Heating Refrigeration and Air-conditioning Engineers (ASHRAE). The building energy shows differences 2-3% in winter and 10-30% in summer depending on locations. This result implicates that high spatiotemporal resolution of meteorological model data is significantly important for building energy analysis.
        303.
        201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nergyPlus is a whole building energy simulation program that engineers, architects, and researchers use to model energy and water use in buildings. Modeling the performance of a building with EnergyPlus enables building professionals to optimize the building design to use less energy and water. This program provides energy analysis of building and needs weather data for simulation. Weather data is available for over 2,000 locations in a file format that can be read by EnergyPlus. However, only five locations are avaliable in Korea. This study intends to use AWS data for having high spatial resolution to simulate building energy.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e possibility of using AWS data for energy simulation of building.
        304.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전 세계적으로 지진의 발생빈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일부는 지진해일을 동반한 대규모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2004년 12월 26일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지진해일은 약 30만명의 인명피해와 100억 달러 이상의 재산피해가 발생하였으며, 2011년 3월 11일 일본 동북지방 태평양 연안 지진해일은 15,800여명의 인명피해와 25조엔 이상의 재산피해가 발생했다. 또한 국내에서도 일본의 서해 해역에서 발생한 아키타지진(1983년 5월, M7.7)과 오쿠시리지진(1993년 7월, M7.8)의 영향으로 국내 동해안 일대에 피해가 발생한 사례가 있다. 이러한 추세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지진해일에 대한 국내 건축물의 대비책은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건축물에 80%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연안가 조적조 건축물에 대한 안전성을 예상 침수심 깊이에 따라 평가하였다.
        305.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학교 건축물에 발생할 수 있는 화재 상황을 시뮬레이션 하는 기법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이에, 기존의 국내외 연구를 통해 화재 상황을 시뮬레이션 하는데 있어 고려해야 할 기본적인 요소를 파악하고 다양한 화재의 원인과 발화량에 따라 나타는 화재양상을 살펴봄으로써 적절한 화재 시뮬레이션 기법을 도출하도록 한다. 화재를 시뮬레이션 하는 방법으로는 CF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를 기반으로 하는 공용 소프트웨어인 FDS(Fire Dynamic Simulator)를 이용하였으며, 시뮬레이션의 결과로 시간과 장소에 따라 나타나는 온도정보 및 화염의 전파 양상을 시각화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화재 시뮬레이션 기법을 이용하여 화재시 피난 대책, 대응인력의 투입 방법을 수립하는데 반영할 수 있으며, 화재 시뮬레이션 결과로부터 얻은 온도 정보를 이용하여 건축 구조부재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데에도 활용할 수 있다.
        306.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DS(Fire Dynamics Simulation)은 미국의 NIST가 연소 및 건축불의 화재를 수치해석적으로 해석하기 위해 1980년대부터 개발을 시작해 현재까지 version 6 까지 발표하면서 성능과 기능을 개선해 오고 있는 공개용 코드이다. 하지만 version 5 까지 FDS 코드가 사용한 LES난류모델은 가장 고전적인 형태의 LES모델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대형 건축물의 화재해석에 많은 오차가 발생하고 있음이 꾸준히 지적되어왔다. 이로 인해 최근에 발표된 version 6에는 기존의 LES모델을 포함하여 3개의 LES모델이 추가되어 정량적 신뢰성을 강화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FDS에서 제공하고 있는 4개의 LES 난류모델에 대하여 평판유동 및 평판위의 입방체 주위의 압력분포를 분석하고 비교하여 각 난류모델의 특성과 신뢰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307.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태풍, 지진 등 external excitation에 의해 발생하는 Structural response를 실제와 가깝게 예측하기 위해서는 실제와 가장 유사한 구조해석모델을 작성하여 정확한 구조동특성을 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초고층 및 대공간에 대해서는 FE 모델 개선에 대한 기존 연구결과가 있으나 조적건물, 특히 성당건축물에 대해서는 현장계측과 FE 모델 개선에 대한 시도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성당건물을 대상으로 장기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이를 이용하여 대상 건물의 동특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태풍시 계측된 풍응답과 해석결과를 비교하여 풍응답해석의 신뢰성을 평가하였다.
        308.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아직 우리나라에는 대공간에 대한 정의는 없으나 일반적으로 30미터 이상 장 스팬을 갖고 있거나 바닥면적이 넓어 화재발생시 길찾기가 어려운 건축물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대공간 건축물의 피난안전성 확보를 위한 기초연구로서 국내외 대공간 건축물의 화재 사건 분석을 통하여 재실자의 피난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309.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1세기에 들어 크고 작은 재난의 증가가 지속되고 있으며 농어촌 위주의 피해 지역에서 인구가 밀접되어 있는 도시 지역으로 재난 피해의 위험성이 확대되고 있으며 그 피해 또한 심각한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도시의 재난에 대한 평가는 풍수해에 대비한 홍수지도 작성정도에 머무르고 있으며 사회적 재난 및 인적재난 등 자연재난 이외의 발생요소를 감안할 필요가 증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연재난과 인적재난, 사회적 재난을 포함하는 재난의 전반적인 영향을 분석하여 개별 건축물 대상으로 재난의 대응성 및 안전성을 평가하고 이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건축물의 계획을 면밀히 분석하고 각 공간에서 일어나는 행위와 작업의 종류를 파악하고 발생 가능한 위험요소를 복합적으로 평가한다. 평가결과를 반영하여 각 평가항목의 만족도를 측정하고 이에 대한 개선사항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건축물의 관리자는 물론 사용자의 안전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향후 유사한 사례를 통하여 건축물 재난 및 안전성 평가의 프로토타입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310.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asbestos exposure levels and to calculate excess lifetime cancer risk (ELCR) for the risk assessment of the asbestos fibers released from asbestos-cement slate roofing (ASR) building. Total number of ASR buildings was into 21,267 in Busan, and 82.03 percent of the buildings was residential houses, and 43.61 percent of the buildings was constructed in 1970s. For this study, ten buildings were selected randomly among the ASR buildings. The range of airborne asbestos concentration in the selected ten ASR buildings was from 0.0016 to 0.0067 f/mL, and the concentration around no-admitted ASR buildings was higher than that around admitted buildings. The ELCR based on US EPA IRIS (integrated risk information system) model is within 3.5E-05 ~ 1.5E-04 levels, and the ELCR of no-admitted ASR buildings was higher than 1.0E-04 (one person per million) level that is considered a more aggressive approach to mitigate risk.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ancer risk from ASR buildings is higher than other buildings, and systematic public management is required for control of no-admitted ASR buildings within near future.
        315.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proposed immediate estimation method for structural integrity using acceleration responses after earthquake. Generally, structural damage detection searching for changes in the natural frequencies by acceleration data. However structure’s natural frequency is changed without damage because of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So that reason, we suggested structural safety estimation procedure using various indicators from analyzing acceleration data. This method is not exactly evaluated structural damage, but using this method is simple to make a decision.
        316.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after performing a full-scale dynamic testing of unreinforced masonry buildings, the experimental results and developed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program of existing unreinforced masonry buildings were verified by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program.
        317.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cesses to accurately predict structural responses is to evaluate accurate structural dynamic properties using finite element (FE) models. The analyzed structural dynamic properties usually show considerable discrepancies with the measured ones because structural details are commonly simplified in the FE models. To identify such discrepancies, FE models of them have been calibrated using the measured dynamic properties in previous researches. In this study, dynamic properties were measured for a historic cathedral and the FE model of it was calibrated using the measured results as a reference. Finally, a procedure of the FE model construction for masonry cathedral were tentatively proposed.
        318.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oods are used as a main material for the domestic Traditional Buildings and most Traditional Wood Structures should be conserved as Traditional Assets. To be conserved, structural performance should be evaluated. So traits of the materials are to be studied. Therefore characteristics of structural deterioration of Traditional Wood Structures are to be analysed on this study.
        319.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determining the size of the floor area of super-tall building by use. So, considering the urban capacity in the region around the super-tall buildings, it has been developed for the prediction methodology of the size. Through the information of the buildings and the cadastral, the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by 18 super-tall buildings located in Korea As a result, the residential floor capacity was under the influence of land use of residential and green space, and the business floor capacity was under the influence of land use of green space. Hotel and commercial area, where as the land use and has shown significant results that do not. of a building the size of the surrounding areas for residential and green space and commercial floor area size of the impact of land use for was larger. Hotel and commercial floor capacity, where as the land use and has shown significant results that do not. After this study, it is need to the consideration of the urban capacity around region and supertall buildings to enhance the role of public of supertall buildings. And it will be need to improve the accuracy of prediction with applications to the information of buildings around the region of supertall buildings.
        320.
        2013.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1990년대~2011년 시공 중이었던 건축물의 커튼월의 단열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내외 표면 온도를 측정하여 부위별 온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유리면이나 단열층이 있는 표면보다 커튼월의 프레임 (멀리온 및 트랜섬)의 온도는 동절기 외부 평면의 경우 6℃~10℃ 정도 높게 나타났다. 또한, 같은 프레임에서도 앵커유닛이 있는 부위가 다른 프레임보다 2℃~3℃ 더 높게 나타나 보다 큰 열 손실이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