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recently, building greening to improve the urban environment is a very important areas. Thus, in order to promote the building greening is needed for the arrangement of its related system. In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ed system in Japan and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Related system in Japan are to promote the spread of compulsory and dissemination of guidance. And to promote the spread of dissemination of guidance are to allowed a system to be included in green area of the site required, plans to loan the costs of greening, plans to subsidize the cost of greening, tax reduction and exemption, incentive on floor area ratio, plant supply and other technical guidance system. In conclusion, in order to promote the building greening note the related system of Japan and our related system should be arranged.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수행되었던 조적조의 재료특성과 부재특성에 대한 실험연구 결과를 이용하여 유한요소 해석을 수행하여 본 연구에서 이용한 유한요소 해석 방법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한 다음, Prototype 조적조 건축물에 적용하여 얻은 내진성능을 분석하여 국내 비보강 조적조 건축물의 지진에 대한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하였으며, Prototype 건축물의 해석결과, 수평전단력과 평균 전단응력은 기존의 실험연구와 비슷한 값을 나타냈다.
50년 이상 경과된 조적조 건축물은 석회모르타르로 시공되었으나 보수공사 시 시멘트모르타르를 사용하여 기존 재료와의 상이함으로 인한 문제가 다수 발생하였다. 또한, 조적조 건축물의 보수공사 시 참고할 수 있는 석회모르타르에 대한 객관화된 자료의 부족과 상세기준이 없으며, 미숙련 조적공의 시공으로 인하여 건축물의 객관적인 구조성능을 평가하기가 어렵다. 조적조 건축물의 원형을 보존하기 위해서는 해당 건물의 재료와 기법에 대한 기술사적 연구가 중요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석회모르타르의 배합비, 배합재료, 양생기간 및 조건 등에 따른 압축강도 실험을 행하고, 이를 토대로 시멘트모르타르와 석회모르타르를 비교분석하여 석회모르타르의 구조적 특성을 정리한다.
본 연구는 현지(on-site) 빗물관리에 필요한 지붕면 누적유출용적 예측을 위한 경험식을 제안하였다. 건축물 지붕면은 좁은 면적으로 인해 기존 유출해석 기법의 적용이 어려운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지붕면 유출조건을 고려한 강우깊이(D)-누적유출용적(V)간의 이론적 관계식을 수립하였다. 2005년부터 2007년까지 2년간 실제 강우량과 지붕면의 유출용적을 측정하여 이론적 관계식으로 계산된 누적유출용적과 실측 누적유출용적 자료를 비교 검토하였다. 실측자료의
본 연구는 도시 내 생태환경을 개선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옥상녹화에 대한 최근의 한일 옥상녹화 지원제도 및 시공실태를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결론은 얻을 수 있었다. 국내 옥상녹화를 더욱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녹화시스템 등의 기술개발은 물론 이를 장려할 수 있는 제도의 보완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특히, 현재 일본에서 시행하고 있는 옥상녹화 관련 공사비의 저금리 융자나 조세감면 혜택, 식물 지원이나 기술지도 등의 방안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또한 국내 옥상녹화 조성에 있어서도 제도 보완을 통한 보급 확대는 물론 지역차별성을 고려한 옥상녹화 유형의 다양화, 식물 소재의 다변화, 모니터링에 통한 조성 후 평가 및 관리, 전국 단위의 조성 사례 집계 자료 축적 등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이 연구는 수상에 건설되는 해양건축물의 재산권 공시제도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안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이다. 먼저 해양건축물을 둘러싼 현황을 파악하고 미래를 전망하며 다음으로 해양건축물의 개념과 관련된 법제도를 검토한다. 해양건축물의 재산권 공시제도와 관련하여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며 각종 물건의 공시제도를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해양건축물의 재산권 공시제도 정비방안을 제시한다. 연구 결론으로서 해양건축물 공시제도는 고정식과 부유식 구조물로 나누어 적합한 공시제도를 제안한다. 고정식 구조물은 현행 건축법을 보완 수정하여 부동산등기제도를 활용하며 부유식 구조물은 새로운 법을 제정하여 등록원부와 같은 공적장부를 통한 등록제도를 도입하는 것이 필요하다. 해양건축물이 활성화되고 이를 기반으로 해양산업이 발달하기 위해서는 해양건축물에 관한 소유권 취득과 담보물권 설정 등 재산권 행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해양건축물의 재산권 공시제도가 속히 마련되어야 한다.
In order to work out statistics of environmental functions of indoor landscape plants in architectures, this study aims to conduct a simulation of how much control plants have over overheating phenomena in atria in summer, involve themselves in air current speed and maintain indoor comfort index, with a numerical analysis model.
Thus, nine kinds of representative plants which are usually used for indoor environments were selected, and purified with two irrigations a day for two weeks. And then, their transpiration and photosynthesis amounts were measured three times with a photosynthesis analysis system LICO-6400 at 38℃, which is the highest temperature in the atrium in summer. The data were organized, and another three plants with similar transpiration and photosynthesis amounts were selected.
The leaf area which accounts for 10% green zone rate inside the atrium was calculated, and the leaf surplus was removed. And then, the plants were left inside the atrium, and transpiration amount and temperature change were automatically measured for three hours. The maximum temperature change by transpiration of plants was found to be 2.21~2.92℃, which means 0.21~0.23℃ per every 100cm² of leaf area.It is hard to see air current change in atria as convection by plants as the change is at undetectible level with a distribution of 0.08~0.005m/s.
However, if air current change is made with fans even in natural air current situations, air current becomes active inside atria as rather cold air moves upward. Therefore, if 0.5 m/s of air current change is made with upward and downward fans in atrium models, the air current speed in the entire atrium converges to the level which gives the most comfort to hum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