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02

        1101.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haracterization of spatio-temporal variations in PM2.5 in Gyeongnam (GN) province during 2015-2016 was investigated to assess the air quality in this area in terms of fine particles. Yearly mean concentrations of PM2.5 ranged from 19.1 to 29.5 μgm-3. High concentrations of PM2.5 were observed in spring (21.2-30.3 μgm-3) and winter (20.2-30.3 μgm-3). Low concentrations of PM2.5 were generally observed in fall (16.2-23.2 μgm-3). PM2.5 concentration was highest in the morning (10 AM). The fractions of PM2.5 in PM10 were 0.51-0.62 and two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r=0.779-0.830), suggesting common sources (fossil fuel combustion, mobile sources, etc). CO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M2.5 in highly urbanized areas such as the city of Changwon (CW, r=0.711), compared to other air pollutants (SO2, NO2, and O3), suggesting dominance of industrial combustion sources.
        1102.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studied the distribution of air temperature using the high density urban climate observation network data of Daegu. The observation system was established in February 2013. We used a total of 38 air temperature observation points (23 thermometers and 18 AWSs). From the distribution of monthly averaged air temperatures, air temperatures at the center of Daegu were higher than in the suburbs. The daily minimum air temperature was more than or equal to 25℃ and the daily maximum air temperature was more than or equal to 35℃ at the elementary school near the center of Daegu. Also, we compared the time elements, which are characterized by the diurnal variation of surface air temperature. The warming and cooling rates in rural areas were faster than in urban areas. This is mainly due to the difference in surface heat capacity. These results indicate the influence of urbanization on the formation of the daily minimum temperature in Daegu.
        1103.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글은 덕천서원의 공간과 명칭에 담긴 의미를 심도 있게 고찰한 것이다. 서원의 공간구성과 공간명칭에는 그 서원에 제향 되고 있는 선현의 학문과 사상을 단적으로 드러내고 있는데, 덕천서원의 경우 남 명사상이 공간과 명칭에 깊이 투영되어 있다. 덕천서원의 공간구성 가운데 가장 특징적인 부분이 동재·서재의 앞 에 方塘을 만들고, 그 연못에 연꽃과 소나무 한 그루씩 심어놓은 것이 다. 방당을 만든 것은 주자의 「觀書有感」에서 취한 것으로, 天人合一을 지향하는 정신이 깃들어 있다. 또 方塘에 소나무를 심은 것은 소나무와 같이 변치 않는 남명의 志節을 드러낸 것이다. 그리고 방당에 연꽃을 심은 것은 진흙 속에 뿌리를 내리고 있지만 언제나 淸香을 잃지 않는 연꽃에서 적극적으로 현실정치에 참여하면서도 지조를 잃지 않은 柳下 惠의 모습을 발견한 남명의 현실주의 세계관을 드러낸 것이다. 이를 통해 볼 때, 방당은 종합적으로 남명의 出處大節과 隱逸이 아닌 處士로 서의 정신지향을 공간에 구현해 놓은 것이다. 공간명칭을 살펴보면, 堂名을 敬義堂이라 하고, 동재·서재의 명칭을 사액이 되고 난 뒤 進德齋·修業齋로 바꾸었는데, 이 속에도 각별한 의미 가 담겨 있다. 남명선생편년에 ‘남명의 학문은 주역 坤卦 六二爻와 乾卦 九三爻에서 터득한 것이 있었다.’라고 하였는데, 이는 곤괘의 ‘敬 以直內 義以方外’와 건괘의 ‘君子 進德修業 忠信 所以進德也 修辭立其 誠 所以居業也’를 가리킨다. 이를 보면 남명은 敬·義와 忠信·修辭를 공 부의 두 축으로 중시한 것을 알 수 있다. 덕천서원 경의당과 진덕재·수 업재에는 심성수양의 실천을 강조한 남명학의 핵심을 모두 갖추어 놓 았다. 문루의 명칭이 幽貞門에서 왜 時靜門으로 바뀌었는지, 그 의미는 무 엇인지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전하는 설이 없다. 그렇지만 여기에도 남 명사상이 투영되어 있는 것만은 분명하다. 鷄伏堂·雷龍亭 등의 명칭을 통해 알 수 있듯이, 남명은 평상시 淵黙 같은 主靜工夫를 위주로 하였으 니, 時靜의 의미는 그때그때 수시로 主靜의 涵養을 추구하고자 한 남명 의 학문정신을 덕천서원 전체를 포괄하는 문의 이름에 드러낸 것으로 보인다. 또한 幽貞의 의미가 현실을 외면하는 듯한 인상을 주기 때문에 현실을 등지지 않은 남명의 정신을 투영하여 바꾼 것으로 추정된다.
        1104.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가나의 비료 보조금 정책(Fertilizer subsidy program: FSP)의 농업 생산성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가나의 군(district) 지역 수준의 농업 생산량 및 투입요소에 대한 자료를 사용하여, FSP 도입 이전과 FSP 도입 이후의 농업 생산성을 계측하였다. 지역적으로 상이한 수준의 농업 생산성을 반영하기 위한 지리적가중회귀(GWR)모형을 사용하여 계측 의 오류를 줄이고 공간이질성을 고려하였다. 추정 결과를 바탕으로 ArcMap을 이용하여 생산성을 지도로 시각화 한 자료를 살펴보면, FSP 도입 이후 농업 생산성이 전반적으로 개선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생산성이 크게 향상된 지역을 특정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적 변화는 FSP의 지역적 할당의 효율성 증진을 위한 의사결정 자료로 이용 가능하며, 국내 ODA 추진기관에 서 농업 지도 및 지원을 위해 유용한 정보로 사용할 수 있다.
        1105.
        201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세계의 많은 항구도시들은 시대 흐름에 따른 산업구조의 변화 등으로 인해 기존의 항만공간에 대한 의의가 보다 복합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항만공간의 경우 이러한 시대흐름에 발빠르게 호응하지 못하고 있으며, 일부 시행되고 있는 개발은 대규모 항만 공간에만 집중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항만공간과 항만배후지역간의 공간적, 심리적 단절감이 강해 전체적으로 조화를 이룬 항만공간의 계획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항만공간은 항만공간만의 고유한 장소성과 특이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배후지역과 의 조화를 이룬 계획이 시행되는데 많은 한계점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FBCs를 활용하여 항만배후지역과 항만지역의 이질적 공간 간 연 계성을 강화하여 항만공간 전체가 조화를 이루는 도시계획적 접근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FBCs란, 해당 공간만의 특성 즉, 장소성과 고 유성을 반영하고, 보행자 중심의 공간 계획, 그에 따른 안전성 확보, 공공공간의 활용 등을 위해 미국에서 제시되고, 실행되고 있는 제도적 장 치이며, 아직까지 국내에는 도입되어 있지 않다.
        1106.
        201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HMD(Head Mounted Display)를 가지고 Walk-through의 이동시뮬레이션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VR공간 주변에 배치된 오브젝트 밀집정도(밀도)의 변화가 심리적 이동거리, 이동속도, 이동시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실험 조건 (저밀도, 중밀도, 고밀도)에 있어 조건간의 차이는 모두 유의미하였다. 둘째, 주변 오브젝트의 밀도가 높아질수록 이동시간, 이동속도, 이동거리가 기본조건과 비교하여 평균점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주변의 오브젝트가 VR공간의 이동시뮬레이션에 있어 시간, 속도, 거리의 감각을 향상 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1107.
        2017.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차원 유속장(flow field)은 하천흐름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수리학적 자료 중 하나로서, 수공구조물 위치선정 및 설계, 하천에서의 이송-확산 예측, 하천 의 수리학적 거동을 예측하기 위한 중요한 기본 자료로 사용된다. 지금까지 이러한 하천흐름 특성을 예측하기 위해 제한적인 현장조건과 적절한 계측방법, 계측기기 의 기술적 한계로 인해 현장실험 보다는 다양한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왔다. 하지만 최근에는 계측기기의 발달로 과거보다 정확하고 정밀한 현장계측이 가능하여 졌 으며, 현장 계측자료의 질적이고 양적인 수요를 만족시키고 있다. 대표적으로 초음파도플러유속계(ADCPs; Acoustic Doppler Current Profilers)는 유량을 정확하 게 측정하는 것으로 유명하며, 2차원 뿐만 아니라 3차원 유속장 등 자세한 유속자료를 제공한다. 하지만 이러한 측정 능력에도 불구하고, ADCP를 활용한 유속 측정 은 주로 횡단면 측정을 기본으로 수행하기 때문에, 수치모형의 결과와 같이 높은 밀도의 유속장을 얻기 위해서 공간보간기법이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만곡이 존재하 는 자연하천은 하도형상에 따라 유속이 지속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공간보간기법을 적용하기 어렵다. 즉, 자연하천의 만곡에 따른 비등방성을 고려하지 않 는다면, 역거리가중법(IDW)과 크리깅(Kriging)과 같은 일반적인 공간보간기법으로는 잘못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만곡이 존재하는 사행하천을 대상으로 방향성을 고려하기 위한 곡선좌표계와 비등방성을 고려하기 위한 비등방적 참 조범위를 적용한 공간보간기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기법을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하천실험센터에 존재하는 3개의 사행수로가 포함된 실규모의 실험수 로를 대상으로 적용한 결과, 평균제곱근오차와 상관계수는 기존의 공간보간기법과 비교하여 각각 41.5% 감소, 40.0%가 증가하여 정확성과 상관성이 개선되었다.
        1108.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안동댐유역을 대상으로 분포형 모형과 미계측유역 자료생성방법인 공간확장자료 생성방법을 사용하여 47개 미계측유역에 대해 홍수유출 시계열자료를 생성하고 3개 관측유역을 포함한 총 50개 유역에 대해 첨두유량을 추출하여 분석함으로써 강우의 공간분포가 유출에 미 치는 영향을 실제유역과 실제사상에 대해 자세히 분석하였다. 20개 사상에 대해 GRM 모형의 매개변수 보정 및 검증결과 적절한 모형효율 통계결 과를 얻었다. 이 추정된 매개변수와 실제강우(강우의 공간분포를 고려한 강우) 및 공간평균강우(실제강우를 공간적으로 평균한 강우)를 사용하여 50개 유역의 홍수유출 시계열자료를 생성하였으며 이 시계열 자료 중 첨두유량을 추출하여 분석한 결과 공간평균강우에 의한 첨두유량의 분포는 실제강우에 의한 첨두유량의 분포와 차이가 있었다. 강우의 분포가 유역전반에 비슷한 경우에는 실제강우와 공간평균강우에 의한 첨두유량의 분 포가 비슷하거나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하지만 호우가 상류 또는 하류방향으로 이동하거나 강우가 무작위로 분포되는 경우에는 공간평균강우에 의한 첨두유량의 분포가 실제강우에 의한 첨두유량의 분포보다 크게 좁아지는 것을 보였다. 이러한 사상의 비율을 조사한 결과 강우의 공간적 변동 성을 고려하지 않고 홍수유출을 모의한다면 약 35%의 사상에 대해서는 적절하지 않은 첨두유량 모의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 라서 홍수량 산정 또는 수자원 설계 시 강우의 시간분포 뿐만 아니라 공간분포 또한 고려해야 한다. 계측유역과 미계측유역의 첨두유량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낙동강 지류들에 위치한 미계측유역들의 첨두유량들은 그 크기가 넓게 분포됨에 따라 계측유역의 첨두유량을 사용하여 생성한 power law 관계를 이 미계측유역들의 첨두유량 추정 시 사용할 수 없었다. 또한 계측유역들의 첨두유량 또는 미계측유역 중 상하류로 연결된 비독립적인 소유역들의 첨두유량간에는 power law 가 존재하였으나 낙동강 지류들에 위치한 독립된 소유역들의 첨두유량들 간에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1109.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들어 아토피 피부염, 알레르기 비염, 천식 등 환경성질환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특히 아토피질환의 발생 혹은 악화에 관여하는 환경적 요인은 생물학적 요인, 화학적 요인, 물리적 요인 등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면역력이 약한 어린이, 청소년 및 노인층을 중심으로 꾸준히 발생에 대한 예방관리에 더욱더 많은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청소년 복지시설로서의 환경성질환센터 계획에 관한 연구이다. 유아기에서부터 청소년기까지 정규 교육과정 이 외에 가장 가깝게 접하는 생활권 청소년수련시설에 환경성 질환에 관한 예방 및 생활교육으로서의 시설 제안을 통하여 환 경적, 물리적 요인에 의하여 발생되는 환경성 질환을 청소년기에 예방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복지시 설로서의 환경성질환센터에 관한 공간디자인 관점에서 적절한 단위공간규모 및 공간 간의 동선계획 및 관계성을 공간구성 도로 만들어 지자체나 정부기관에서 예방적 차원의 시설을 계획할 때 각론적 기준을 제시하는 것에 의의 두고자 한다.
        1110.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hen an age of low growth and population decline, population migr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spatial structure of region.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es on migration and regional spatial struc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s of Gwangju and Jeonnam region’s spatial structure and central area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s. For analysis it was used that population and migration data and passenger OD(Origin and Destination) travel data released by Statistics Korea and Korea Transport Database(KTDB). Using Gephi 0.8.2, migration and passenger OD networks were visualized, and this describe network flow and density. The results of the network centrality analysis show that the most populated village is not always network center though population mass is an important factor of central places. The average eigenvector centrality of 2010 migration is the lowest during 2005-2015, and it means few regions have high centralities. When comparing migration and travel networks, travel data is more effective than migration data in determining the central location considering spatial functions.
        1111.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ustainable development is no longer an option, but a requirement. Under this awareness, UN adopted 17 goals for a new sustainable development agenda on September 2015, named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SDGs)’.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KSRP) is established on July 1994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rural areas. On the purpose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research trend of KSRP’s publications with the viewpoint of SDGs, the qualitative documents of 17 SDGs and 771 publications were mathematically transformed into vectors and the similarity was numerically measured with the ‘Vector Space Model(VSM)’. The results show that ‘Sustainable cities and communities(SDG 11)’, ‘Zero hunger(SDG 2)’, ‘Life on land(SDG 15)’ and ‘Responsible consumption and production(SDG 12)’ have strong relationships with KSRP, while those of ‘Affordable and clean energy(SDG 7)’, ‘Peace, justice and strong institution(SDG 16)’ and ‘Gender equality(SDG 5)’ are weak. It is also found that the relationships of KSRP publications with ‘energy’ and ‘climate change’ issues(SDG 7, 13) were greatly increased during the period of 1995-2016, in spite of their weak relationships.
        1112.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건강과 행복에 대한 관심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산림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경관, 피톤치드, 음이온, 향기, 지저귀는 새소리, 바람과 공기 등의 산림치유인자는 오감의 감각을 회복시켜 행복감과 쾌적감을 느끼게 하고, 인체의 면역력을 높이고 건강을 증진시킨다. 치유의 숲에서는 산림치유인자를 활용하여 다양한 대상에게 치유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 요가는 명상, 호흡과 더불어 산림치유 프로그램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는 프로그램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치유의 숲 공간을 이용한 요가 프로그램이 성인여성의 기분상태와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실험에 동의한 성인여성 80명(37.75±10.03세)을 대상으로 강원도 홍천 소재의 치유의 숲 힐리 언스 선마을에서 2017년 2월 중에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단축형 기분 상태 척도(K-POMS-B: Korean version of Profile of Mood States-Brief)와 심리적 행복감 척도(The Scale of Psychological Well-Being)를 사용하였다. 프로그램을 통한 기분상태와 심리적 행복감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사후검사 점수를 대응표본 t-검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치유의 숲 공간을 이용한 요가 프로그램을 참여한 성인여성의 기분상태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본 결과, 긴장, 우울, 분노, 피로, 혼 돈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둘째, 치유의 숲 공간을 이용한 요가 프로그램을 참여한 성인여성의 심리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본 결과, 심리적 행복감은 통 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치유의 숲 공간에서의 요가와 대비되는 도시 공간에서의 요가와 비교되지 못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추후 도시 공간과 산림공간 에서의 요가를 비교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1113.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치유의 숲 공간을 이용한 가족 대상 프로그램이 참여자의 기분상태와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 다. 2016년 12월부터 2017년 5월까지 강원도 홍천 소재의 치유의 숲 힐리언스 선마을에서 1박 2일로 진행된‘숲 속 행복한 가족캠프’에 참 가한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프로그램은 오감 열고 숲 만나기, 행복의 문, 힐링 키바, 황토 찜질, 탄산스파, 아침을 여는 요가, 희망의 미니 정원 만들기로 구성되었고, 각 프로그램은 해당 분야의 전문가 3명이 진행하였다. McNair, Lorr와 Droppeman(2003)이 개발하고, 윤은자 등(2006)이 한글로 번역한 기분상태검사 단축형(K-POMS-B: Korean version of Profile of Mood States-Brief)과 Hill & Argyle(2002)의 옥스퍼드 행복질문지(The Oxford Happiness Questionnaire)를 허승연(2009)이 번 안한 주관적 행복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프로그램을 통한 기분상태와 주관적 행복감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사후검사 점수를 대응 표본 t-검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치유의 숲 공간을 이용한 가족 대상 프로그램 참여자의 기분상태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본 결과, 긴장, 우울, 분노, 피로, 혼돈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활기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둘째, 치유의 숲 공간을 이용한 가족 대상 프로그램 참여자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본 결과, 주관적 행복감은 통계적으 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1114.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공동주택은 편리한 교통이나 우수한 교육여건보다 풍부한 녹지와 주변 자연경관을 선호하는 경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공동주택에서 교목, 관목, 초본이 다양하게 혼식되어 풍부한 생태공간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공동주택 건물에 의한 공간별 일조환경의 정확한 예측이 요 구된다. 본 연구는 다층구조식재를 위해 관목과 초본의 일조에 영향을 미치는 건물과 교목류 하부의 일조환경을 예측하기 위해 수종별 광 소멸계수를 도출하였다. 공동주택에 식재되는 대표적인 18종의 교목을 대상으로 180도 화각을 가진 어안렌즈로 측정한 영상자료를 Hemisfe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식물의 엽면적 지수를 산출한 후 Goudriaan의 방정식으로 수종별 광소멸 계수를 산정하였다. 엽면적 지수 증가에 따른 광소멸계수는 꽃사과, 대왕참나무, 고로쇠나무가 유사한 패턴으로 가장 급격하게 감소하여 일사의 차이가 가장 큰 수종 그룹 으로 나타났다. 향후 정원 설계 및 유지관리용 소프트웨어 개발을 통한 공동주택 일조환경 분석에 필요한 기초데이터로 활용하고자 한다.
        1115.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식공간 내 식물활용이 마케팅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었으며 설문지를 활용해 식공간 이용자의 특성을 분석 하였다. 성별에 따른 그룹에서 독립표본 t검정을, 연령과 소득에 따른 그룹은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행하였고 식물 관심도와 식물장식 선 호도에 대해 성별, 연령, 소득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여성이 남성보다 식물 관심도가 높았고 50대 이상의 사람들이 식물 관심도가 높았다. 소득에 따라서는 그룹 내에서 월수입이 가장 높은 400만원 이상의 사람들이 식물 관심도가 높았다. 식물소재는 남 성은 잎 위주의, 여성은 꽃 위주의 소재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30대-50대 이상의 그룹에서 연령이 높을수록 잎 위주의 소재를, 낮을 수록 꽃 위주의 소재를 선호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생화와 조화의 선호도를 분석한 결과, 생화를 선호하는 비율(73.6%)이 가장 높았고 연 령이 높을수록 그 경향이 더욱 분명하게 나타났다. 생화를 선호하는 이유로 가장 높은 평균 점수를 보인 것은 ‘생명을 느낄 수 있다’ 였으며 ‘자연의 향을 맡을 수 있다’에 대한 남녀의 응답에서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생화를 선호하지 않는 이유에서 가장 높은 평균 점 수가 나타난 것은 ‘쉽게 시든다’였으며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것은 ‘비용이 많이 들 것 같다’에 대한 소득별 그룹의 응답이었다. 생 화에 대한 사람들의 긍정적인 반응과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은 차별화된 마케팅을 목적으로 할 때 공간장식의 요소로써 매력적인 소재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되었다.
        1116.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보험설계사는 직무 특성상 고객과의 대면을 통해 업무를 수행하며, 고객의 불평행동이 직무스트레스를 유발하고(Lovelock, 2000. Harris, 2003), 감정노동에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객으로부터 발생되는 스트레스가 사회적으로 부적절한 행동을 하는 일탈적 고객행 동(Mills and Bonoma, 1979)으로부터 야기될 때는 개인의 직무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거대한 직종으로 자리매김한 보험설계사를 대상으로 감정노동에 초점을 두고 절화장식이 정신건강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17 년 5월 16일~19일까지 경남 진주시 A 보험사 회의실에서 근무하는 근로자 12명을 대상으로 단일처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는 정신건강,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효과는 크게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꽃장식을 하기 전에 비해 장식 이 후 주 의회복이 유의적으로 변화하였음을 알 수 있었으며(p<.000), 이는 자연환경을 접할 때 주의회복이 더 잘 될 수 있다고 밝히 여러 선행 연구 들과 유사한 결과였다(Lee, 2011). 이러한 Lee and Hyun(2003,2004)에 따르면 주의회복의 증가는 스트레스 완화 및 정서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얻을 수 있다고 하였고, 또한 휴식 및 재충전의 기능에 밀접하게 연관된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처리기간이 짧아 유의적인 효과 를 보지 못하였지만, 좀 더 장기간의 처리가 이루어진다면 사무공간 내 꽃장식은 추후 보험설계사의 직무스트레스나 정신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 예상된다.
        1117.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노인 인구의 증가는 치매와 같은 노인성 만성질환을 초래한다(Kim & Jung, 2005). 치매는 완치가 어려운 만성 진행성질환으로 인지기능 감소 및 일상생활 수행능력 장애 등이 나타나 삶의 만족도를 떨어뜨린다(Lee, 2011). 또한 치매는 특성상 비가역적이고, 명확한 병인이 밝 혀져 있지 않아 원인적 치료가 어려우므로 종합적인 치료접근이 필요하다(Lee, 1997). 이에 본 연구는 지정된 공간 속에 꽃을 꽂는 작업이 치매노인의 시지각 운동 협응 능력의 향상에 얼마나 효과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D시 노인복지센터를 이용하는 치매노인 25명 (실험군 13명, 대조군12명)을 대상으로 2017년 3월 9일부터 4월 18일까지 주 2회씩 총 10회기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은 매회기마다 지정 된 공간에 지정하는 꽃을 꽂게 하는 작업으로 실시하였다. 지정된 공간은 플로랄 폼(9.5×7.5×6cm)을 6등분하여 6개의 빨대(지름 1cm, 높 이 6cm)를 꽂아 제한공간을 만들었으며 그 공간에 화색별 지정 소재를 꽂도록 하였다. 평가도구는 미네소타 맨손 기민성 테스트 (Minnesota Manual Dexterity Test)와 핀치검사(Pinch gauge)를 원예활동 실시 전과 후에 평가하였다. 평가자료는 IBM SPSS 19.0 Program을 이용하여 비모수검정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프로그램 실시 전 실험군과 대조군의 측정값은 시지각 협응(P=.120), 핀치(오른손 P=.062, 왼손 P=.073) 모두 동질하였다. 사전사후변화에서 대조군은 시지각협응(P=.533), 핀치(오른손 P=.765, 왼손 P=.254)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반면에 실험군은 핀치(오른손 P=.472, 왼손 P=.365)의 변화는 없었지만 시지각 협응은 원예활동 실시 전 28.5±12.9점에서 실시 후 31.5±15.1점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37) 지정된 공간속에 꽃꽂이를 실시한 결과 꽃꽂 이는 다양한 작업으로 상지의 움직임과 손의 정교한 작업 및 눈-손 협응력을 요구하기 때문에 재활적인 측면에서 매우 휼륭한 치료 수단 (Lee, 2006)이라는 내용과 일치된 결과를 얻었다. 따라서 치료목적에 적합한 꽃꽂이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대상자에게 적용한다면 전문적 인 재활치료의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고 판단한다.
        1118.
        2017.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공간규모분할 기법(SCDM)을 적용하여 레이더 예측강우를 산정하고, 도시홍수예보 관점에서 기상청 현업 레이더 예측강우 (MAPLE 및 KONOS)와 함께 수문학적 활용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공간규모분할 기법은 강우를 층운형과 대류성 강우로 분리하여 각각의 이동속도를 고려하여 개별예측 및 재합성하는 것이다. 수도권 영역의 세 호우 사례를 대상으로 기상청 MAPLE 및 KONOS와의 예측강우 정확도를 평가한 결과, 본 연구에서 적용한 예측기법은 기법의 단순함에 비해 양호한 예측 정확도를 보였다. 또한, 강남유역을 대상으로 각 예측강 우의 수심모의 정확도를 평가한 결과, MAPLE 및 SCDM에 비하여 KONOS가 첨두수심을 보다 정확하게 모의하였으나, 호우의 시간적 패턴 구현 의 정확도가 높지 않았다. SCDM의 경우 정량적인 오차는 다소 크게 나타났지만, 전체적으로 관측수심과 유사한 모의 양상을 보였다. 추후 부족한 정량적 정확도를 보정 기법 및 수치예보자료와의 결합을 통해 개선한다면 SCDM의 예측강우가 홍수예보를 위한 입력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1119.
        201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sought to determine the changes in weather conditions in urban streets, along with conditions of traffic and roads in urban areas. The variations in weather conditions depending on traffic differed according to distance. First, the temperature difference measured by traffic results is as follows: T1 point 1.03℃ , T2 point 1.04℃ , T3 point 0.9℃ , T4 point 1.01℃ , and T5 point 0.31℃ . The average difference between the measured temperatures by the point of measurement was 0.86℃ . The changes in wind velocity according to traffic volume results of the measurements is T1 point 1.32 m/s, T2 point 0.80 m/s, T3 point 0.29 m/s, T4 point 0.04 m/s, and T5 point 0.09 m/s. The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wind speeds was 0.51 m/s and traffic jams caused substantial differences in distance. The relative humidity tended to be inversely proportional to temperature. The measurements results ares T1 point 2.29%, T2 point 2.67%, T3 point 2.47%, T4 point 2.16%, and T5 point 0.91% The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relative humidity was 7.3%. In case of independent sampling T test according to traffic volume, changes in wind velocity and temperature were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level of statistical significance(p<0.01). On the other hand, relative humidity tended to be inversely proportional;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1120.
        201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ccurately understand the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main production area for the three vegetable crops such as Chinese cabbage, radish, and hot pepper. We applied the 8 landscape indices such as TA, NP, PD, LPI, LSI, PLADJ, COHESION, and CONNECT to 35 cities and counties using FRAGSTATS. In the case of main production area for Chinese cabbage, six cities and counties in Gangwon province were revealed as a relatively high degree of aggregation by cultivation parcels than other area. In addition, Gangneung city and Hongcheon county have been analyzed to be the most aggregated area in the case of radish and hot pepper, respectively. In the future, the spatial analysis method used in this study would be helpful to develop an effective regional plan of the main production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