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01

        130.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cusing on Hwaseokjeong in Paju, the work seeks to clarify the social production of Nujeong (樓亭: Korean traditional pavilions) space, which took place over the 1960s and 70s, and its cultural-political implications. To make the effort as such meaningful, a theoretical framework based not merely on the thesis of ‘social production of space’ advocated by Henri Lefebvre but especially on some discussions related to ‘state production of space’ is prepared, according to which Hwaseokjeong is analyzed and explained. As a consequence, two principal arguments are put forward: one is that Hwaseokjeong was a social space which had been built and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the unique mode of production dominating Korean society at that time called ‘the state mode of production (le mode de production étatique )’; the other is that what lies beneath the denotation of a ‘social space of tradition restoration’ that Hwaseokjeong appears to carry is in fact the connotation of ‘infiltration of anti-communist ideology’. All of these claims are once again supported both by examining Roland Barthes's semiology and mythologies and by considering Hwaseokjeong's Pyeonaek (扁額: a plaque or framed text) as ‘the practice of naming power through J esa (題詞: inscribing dedications)’. While providing a succinct summary, the paper finally evaluates what ‘social production of space’ implies to social practices of architecture and related criticisms by taking into account the relationship between visibility and readability of space including buildings.
        4,200원
        131.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Hak-seong Lee Family's Geun-jae-gong Historic House located in Seok-cheon-ri, Ung-chon-myeon, Ulju-gun, Ulsan. The house is said to have been rebuilt in the early 20th century after it was built in the 18th century, and now there are nine buildings left, including the An-chae, Sa-rang-chae, Sa-dang, storehouses and etc. This house is a large-scale house that is difficult to find similar cases in near region. The division of areas on each building is clear, and it is evaluated that it retains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the head family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terms of its overall size and layout. In addition, the current wooden structure, which is said to have been rebuilt in the early 20th century, shows the composition method and space utilization method of the 3-Dori type upper structure, which have become more diverse since the late Joseon Dynasty. This has not been dealt with in the previous survey, and should be considered in detail through this paper.
        4,000원
        137.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南宋 시인 楊萬里의 驛站詩는 ‘공간’ 驛站이 만들어 내는 美學的 효과를 충분히 보 여주고 있다. 그는 驛站이라는 공간에서 포착할 수 있는 수많은 자연적 요소를 인문 적 요소와 결합하고, 시인의 심리까지도 이 공간을 통해 투영하고 있다. 또 그의 驛 站詩 작품은 詩語의 운용이나 詩材 선택 면에서 自然 景物과 驛站 주변의 情景 출현 이 다수를 차지하는데, 이는 ‘自然’을 중심으로 하고 ‘征行’을 창작의 근원이라 생각 하는 그의 詩學 견해와 일치한다. 본 연구는 ‘驛站’으로 포괄할 수 있는 관련 시어를 詩材와 詩題로 사용하고 있는 楊萬里의 소위 驛站詩 작품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떠 남과 머무름’의 공간 驛站이 가지는 의미와 그로부터 파생되는 문인 심리를 고찰하 였다.
        6,600원
        138.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오수견의 구전적 설화를 중심으로 돌비의 출토 및 현 오수면 원동공원과의 연계성을 통해 오수의 지명적 가치를 분석하는 것이 다. 아울러 오수면에 위치한 의견공원, 김개인 생가 등 풍수적인 물형가치 를 찾아 구전에 합당한 공간을 설정하고, 이 설정이 구전적 오수의견(義犬) 과 부합하는 지리적 형상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오수의견은 구전이나 나름 의 역사성을 갖추고 있는 문헌적 사료(史料)가 있으며 그와 관련하여 오늘 날까지도 이 지역주민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공간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오수면의 의견스토리가 담긴 공간성은 반려견문화 세계화에 따라서 더욱 그 의미의 확장성을 보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오수면의 정체성과 지 명 그리고 전반적인 인문학적 연구가 더욱 필요할 것이다. 또한 의견의 구 전적 이야기와 합치하는 풍수적 의견물형(義犬物形)을 더하고 구전적 오수 견 이야기의 토대를 돌비출현과 연관 지어 스토리의 완성적 공간을 확장하 였다. 본 연구는 단순히 구전적 이야기로만 전해오던 인간과 반려견(의견) 과의 인격적 애정관계를 통해서 그들 간의 생명관을 고찰함과 동시에 오수 의견 이야기의 실제적 역사로서 그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오 수의견 이야기의 주 무대로 알려진 오수면의 지명적 정체성을 알아보고 그 의미를 바탕으로 오수의견과의 연결성 있는 스토리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6,300원
        139.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도시화 압력이 심화되면서 전통마을의 축적된 고유의 주거건축 기법과 관련된 경험, 방법, 창조적 지 혜, 그리고 건전한 삶의 방식도 함께 쇠퇴하고 있음은 매우 안타까운 현상이다. 본 연구는 중국 주하이 시 탕자완(唐家灣)지역의 전통마을 생활환경을 개선하고 마을 지역의 저탄소 운영을 실현하기 위한 ‘향촌진흥 전략’의 촉진을 목표로 한다. 영남(嶺南) 민가 주거용 건물의 기후 적응성에 주목하여 통풍과 단열 개선 그리고 태풍 위협에 대한 저감기법을 중심으로 개선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VIRVIL과 HTB2 컴퓨터 시뮬레이션 분석기법을 결합하여 3개 민가 유형별 기후 적응공 간 개선방법을 논의함으로써 전통마을 주거환경의 구조적 변화와 에너지 소비 증가로 인한 주거환경 의 쾌적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술 및 운영개념을 제시하였다. 전통마을의 패턴과 건축 디자인 방안을 모색한 본 연구가 향후 전통마을의 생태기능을 유지하면서도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하는 데 유효한 공간 형태별 기후적응성을 실현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써 의의가 있다.
        4,000원
        140.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일인가구의 증가 SNS와 온라인을 통한 소통의 증대 등 점차 파편화 되는 현대사회에서 개인들이 직접 대면하고 소통할 수 있는 물리적 커뮤니티공간의 필요성은 점차 증가하고 있지만 이의 확충은 경제 및 개발 논리에 밀려 쉽게 이루어지기 어렵다. 본 연구는 커뮤니티공간의 부족함을 완화시키고 공평하게 향유할 수 있는 커뮤니티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도시의 가로공간에 집중하고 도로가 가진 높 은 접근성을 활용하여 도로를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커뮤니티공간으로 전환시키는 기법을 고찰하 고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먼저 선행연구와 관련문헌을 통해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주요 요소들 을 도출하여 분석의 틀을 만든다. 다음으로 뉴욕시에서 진행하고 있는 세 가지 프로그램인 뉴욕시 오픈 레스토랑, 뉴욕시 오픈 스트리트, 뉴욕시 플라자 프로그램의 사례연구 및 분석을 진행한다. 그리고 커 뮤니티공간에 커뮤니티를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방식도 함께 살펴본다. 분석 결과 세 개 프로그램 을 통해 가로공간을 전용하여 확보한 커뮤니티공간들이 커뮤니티의 활성화를 위한 다음의 요소들 안 전, 참여, 접근성과 보행성, 가로의 활력, 경제적 이득, 유연성과 적응력, 다양성과 포용성을 증진 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가 제시하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지역 커뮤니티가 계 획 단계에서부터 커뮤니티공간의 조성, 운영, 관리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 두 번째, 시정부는 커뮤니티 들이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하고 이를 제공하여야 한다. 세 번째, 커뮤니티와 그 주변 여건의 변화에 쉽게 적응하고 변화할 수 있는 가변적이면서도 능동적인 조성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는 모든 커뮤니티공간에 적용될 수 있는 동일한 규격, 기준, 가이드라인의 제공이 필요하다.
        4,8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