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930

        1285.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a lot of smart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have been spread. The research on smart education based on the devices are being actively investigated. A typical example of them is EPub3.0 proposed by the IDPF. Even if the educational content has supported multimedia such as image, video, text to speech and etc, it does not support a 3D virtual content yet. So a virtual reality-based education has not been achieved.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ducational content system in which a virtual education simulation is possible through smart devices. To do it, the proposed system consists of an authoring tool creating 3D virtual educational content, and a viewer visualizing the content.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possibility of virtual experience education.
        4,000원
        1286.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mart Education strives to become one of the goals of current Korean education, and is a prominent core keyword. A major consideration for smart content for science education is creating self-directed, interesting content that considers user level and aptitude. The present paper will examine the development of interactive edutainment content, which meets the education goal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urriculums. Among various scientific experiments found in both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urriculums, a physics experiment dealing with the law of levers was chosen for investigation. Through this prototype application that meets the standards of current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urriculums, new possibilities of scientific experiments may be uncovered for the smart education age.
        4,000원
        1287.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 advocate of the exclusive use of Hangul asks to an advocate of mixed use of Chinese characters. We don't have any problems in delivery of meaning by only using of Hangul, and don't get any educational effects by teaching Chinese characters, then why do we have to study Chinese characters mixed that are the remnants of Japanese colonial era, why do we increase studying burden and private education? On the other hand, an advocate of mixed use of Chinese characters ask to an advocate of the exclusive use of Hangul. We can't communicate clearly by only using of Hangul, and ㄴstudying Chinese characters strengthen thinking power, then why do we have to stop the mixed use of Chinese characters that is effective in education of students. There are big differences of opinion each other. How can we harmonize these two conflicting thoughts. In results, We have to stand not on the scene of a dispute but on the field of an education, and we have to watch and judge this problem as we think about my own child. Which is effective in understanding any vocaburary, and in improving Korean language ability? This question is the only one standard of choicing way to go. Learning and communicating capabilities, thinking and creating powers of students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judging way to go. Any other factors have to be excluded.
        6,000원
        1288.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current situation of safety education to improve safety awareness and practice in Korean school students. In order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current level of safety awareness and practice with the actual status of accident occurrence. Furthermore it is try to figure out the most influencing factors on the safety education for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412 students were taken from a random sample. The samples were one class of 2nd grade students in five different middle schools and four different high schools in Seoul, Korea.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29 September 2010 through 15 October 2010. An additional samples for the questionnaires posted in web were collected. The 305 respondents from school students and 80 respondents from web survey were used to analyze for this study out of 800 respondents. SPSS was used to analyze the questionnaires. The overall safety-awareness score was relatively high at 4.56/5 for fire safety and 4.32/5 for traffic safety. Safety awareness was higher for girls than boys and also for high school students than middle school students. Safety education by parents at home gives a good impact on high safety practices. Safety awareness was improved by feeling of necessity for safety training. The safety prevention training provided during the class by teacher and home training by parents improved safety practice. The correct direction of safety education for younger students can be easier in future.
        4,600원
        1289.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education game contents with advanced mobile and Web technology have been widely researched. However, considering of interaction involved for children, it is necessary user friendly interfaces and interesting interactions.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design to encourage the user’s learning motivation as a way to the effect of educational game contents. Therefore, in this study, we designed and implemented the educational game contents system using inter-working between KINECT camera, PC, and android platform based humanoid robot. The designed system consisted of KINECT system for capturing hand gestures, game contents system for playing games, and android humanoid robot system for interacting with users. This system can lead to interests and willingness of users through handy interaction such as hand gestures and interesting quiz game contents. To improve effectiveness and userability, we plant to advance designed educational game contents system that can be operated on a smart TV system including a built-in camera as a further study.
        4,000원
        1290.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늘날 교정 현장의 인문학 교육은 대부분 일회성으로 행해지고 있으며 체계적인 교육은 실시되지 못하고 있다. 그 이유는 무엇보다 교정 직원들의 인문학에 대한 무지와 무관심에 기인한다. 이런 점들을 고려하여 본 논문은 내실 있는 인문학 교육을 위해 두 가지 방향을 염두에 두고 작성하였다. 그 하나는 인문학이란 무엇이며 왜 교정 시설에서 인문학 교육이 필요한지 그 이유를 밝히고자 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인문학 교육은 누구를 대상으로 어떤 방법으로 실시하느냐? 하는 것이었다. 전자를 위해 동·서양의 인문학 개념과 클레멘트 코스가 우리 교정 시설 내 인문학 교육에 끼친 영향 등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인문학이 어떻게 수용자들의 삶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이유를 연구하였다. 후자에 있어선 수용자 위주의 인문학 교육이 수용자뿐 아니라 직원들에게도 필요하다는 것과 그 구체적인 교육 방법을 논하였다. 특히 교육 담당 직원은 대학의 지도교수의 역할을 해야 함에도 기존의 연구들엔 이들 교육 담당 직원을 어떤 프로그램으로 어떻게 교육 시킬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없었다. 이에 필자는 법무 연수원에 “인문학 교육”을 정식 과목으로 편성하여 주기적인 교육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수용자 교육에 있어서도 대상자 선정, 교육 목표 설정, 교육 인프라등에 대해 연구하였다. 교정 시설 내에서 성공적인 인문학 교육을 하는데 중요한 것은 교정 직원들이 인문학 교육의 의미와 필요성을 깨달아 수용자에게 체계적인 교육을 실시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직원들에 대한 선행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런 점에서 이 논문은 교정 시설 내에서 인문학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고민을 한 데 의의가 있다.
        6,700원
        1291.
        2015.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1292.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9,500원
        1293.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art of speech distribution according to proficiency level in 66 Korean textbooks used in major Korean language institutes. Since the number of Korean learners with instrumental motivation has significantly increased, it becomes a very important issue to evaluate their Korean proficiency levels measured through the official assessment of Korean Proficiency Test (TOPIK). Language teaching is subject to certain target learners, and it is necessary to proceed along with studies on them by considering the utilization of their research results. With regard to the distribution of different parts of speech throughout the proficiency levels, 593,100 nouns accounted for 47.86% of the total, 267,334 verbs accounted for 21.57%, and 108,593 adjectives accounted for 8.76%. Other than these three major parts of speech, those that modify other elements of a sentence show a comparatively high percentage. Although many parts of the textbooks contain dialogues or conversational sentence examples, the percentage of abbreviated words or exclamations that re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oken language were not very high.
        5,200원
        1294.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theory of multiplex intelligence. Of the 56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at participated in this survey, 37 (66.0%) had no siblings. The number of students whose mothers had jobs and those whose mothers did not work were 37 (67.9%) and 18 (32.1%), respectively. Food consumption with ordinary diets was normal in 23 students (41.1%) and the average frequency of snack intake and eating-out was determined to be twice a day (41 students, 73.2%) and once or twice per week (36 students, 64.3%), respectively. The most popular type of food consumed when eating-out was ‘fast foods’ in 28 students (50.0%). It was determined that on average, 39 students (69.6%) snacked between lunch and dinner time and 31 (55.4%) selected snacks based on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mass media’. Analysis of the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revealed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correct answers to the question ‘foods with high nutritional value are high calorie foods,’ with significant difference, but not in other questionnaires. In addition, the correct information for calcium (p<.05), good dietary habits (p<.001), food poisoning (p<.05), and six groups of nutrients in foods (p<.001) improved after nutrition education,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As a result, the ratio of correct answers increased after nutrition education,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p<.001). After the education,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higher total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with significant difference (p<.01).
        4,000원
        1295.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글로벌 경쟁시대로 접어들면서 산업 분야를 막론하고 표준화의 중요성은 날로 증대되고 있다. 세계화가 진척됨에 따라 빠른 속도로 증가하는 국가 간 무역에서도 표준화를 통한 호환성 확보는 수출 경쟁력을 결정하는 필수적인 요소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러한 표준 및 표준화에 대한 교육 실태와 표준화 교육이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서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우리나라 정보통신 및 전기전자 기업을 샘플로 하여 표준화 교육의 실태를 확인하였다. 또한 기업의 표준 및 표준화 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기업 의 특성, 업종, 업력, 그리고 교육에 대한 필요성 인식의 측면에서 확인하였다. 그 결과 기업 의 특성과 표준화 교육에 대한 필요성의 인식에 따라서 표준 및 표준화 교육의 수준이 양적 으로 달라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표준 및 표준화 교육의 실시 수준이 기 업의 성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표준화 교육의 횟수 및 교육인원은 기업의 R&D 수행과 생산 및 품질 개선으로 대표되는 기업의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 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글로벌 경쟁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방편으로 표준화 교육의 중요성에 대해서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그 함의를 가진다.
        6,100원
        1296.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mpaired respiratory function is common in patients with strok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exercises and to assess forced vital capacity and peak cough flow after completion of neck stabilizing and respiratory reeducation exercises (combining diaphragmatic breathing and pursed-lip breathing exercises). The 45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1 (n1=15), experimental group 2 (n2=15), and a control group (n3=15). All subjects performed conservative physical therapy for 30 minutes. Experimental group 1 undertook the neck stabilizing exercise and the respiratory reeducation exercise. Experimental group 2 undertook the respiratory reeducation exercise. Additional exercise did not exceed 30 minutes, five times a week for six weeks. The subjects were assessed for deep neck flexor thickness and breathing function (forced vital capacity, forced expiratory volume at one second, forced expiratory volume at one second/forced vital capacity, peak expiratory flow, and manual assisted peak cough flow) at pre-post valu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Experimental group 1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only in deep neck flexor thickness change rate (p<.05). All groups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in forced vital capacity, forced expiratory volume at one second, and peak expiratory flow in pre-post measurement (p<.05). Experimental groups 1 and 2 showed an increase in manual assisted peak cough flow in pre-post measurement (p<.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group 1 and experimental group 2, but experimental group 1 improved more than experimental group 2 in respiratory function as a whole.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neck stabilizing exercise in combination with the respiratory reeducation exercise can improve forced vital capacity and peak cough flow in patients with stroke.
        4,200원
        1297.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1298.
        2015.0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해방 후 도산 안창호에 관한 연구는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져 왔다. 그 결과는 전기나 평전, 전집, 자료집, 논문집 등 다양한 형식으로 출판되었다. 전기는 1947년에 출판된 이광수의 도산 안창호가 판을 거듭하면서 오랫동안 가장 널리 읽혀지고 활용되었다. 그 후 1963년 주요한에 의하여 편찬된 안도산전서는 비교적 과학적이고 객관적 입장에서 생애와 사상, 그리고 일기와 연설문, 서간문, 회고록, 논문 등 그때까지 수집된 자료들을 망라한 저술로 초기의 도산 연구에 많은 기여를 했다. 2000년 도산안창호선생기념사업회에서 독립기념관에 보관된 새로운 자료들을 추가하여 그때까지 수집된 거의 모든 자료를 총망라하여 전질 14권으로 된 島山安昌浩全集을 편찬하였고, 이어서 2005년에는 도산안창호선생기념사업회의 지원으로 도산학회에서 전질 22권의 미주국민회자료집을 편찬하여 도산 연구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해 주었다. 본 연구는 그동안 이루어진 연구 성과 중에서 도산의 교육사상 및 교육활동과 관련된 연구 성과를 분석하고 앞으로의 연구 과제를 생각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연구 성과라고 하면 1차 자료의 발굴과 해석 및 창조적 재구성 결과를 의미한다. 교육과 관련된 도산 연구는 1차 자료와 기존의 연구물을 토대로 한 2차적 작업이 주를 이루고 있다. 여기서는 대학원의 학위논문과 학술지 혹은 학회에서 발표된 연구논문을 대상으로 분석하기로 했다. 따라서 잡지나 단행본의 일부로 실린 수필형식의 짧은 글은 제외하고 주(註)를 포함한 논문의 형식을 갖춘 것만을 대상으로 하기로 했다. 물론 기러기를 비롯한 잡지류에 게재된 수필 형식의 짧은 글이라도 귀중한 연구 자료가 될 수는 있지만, 많은 경우 이런 글은 다른 연구 논문과 중복될 가능성이 많아 여기서는 제외하기로 했다. 또한 ‘교육사상에 관한’ 연구를 어떻게 한정할 것인가 하는 점이 문제가 될 수 있다. 도산에 관한 다양한 연구를 학문 영역별로 명확하게 구분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여기서는 논문의 주제에 ‘교육’이라는 용어가 포함되어 있는 연구물을 원칙으로 하고, 주제에 명시되어 있지 않더라도 연구자가 교육학 전공자이며 그 내용이 교육에 관한 연구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포함시키기로 했다. 또한 ‘교육사상’은 좁은 의미의 사상(철학)에 국한하지 않고 도산의 교육에 관한 생각과 주장 및 교육적 활동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했다. 그리고 연구물은 그동안 필자가 보유하고 있는 문헌 목록과 최근 이명화 박사가 종합 정리한 자료목록, 국립 중앙도서관 및 국회 도서관의 자료 검색을 종합하여 작성하였으나 여전히 누락된 것들이 있을 수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6,000원
        1299.
        2015.0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 시민교육적인 면에서 흥사단 교육활동 성과는 시대에 맞는 교육이었다는 긍정적인 평가와 각 사안에 적극적이지 못하다는 평가가 공존하고 있다. 101년의 성장과정에서 굴곡의 역사를 지나면서 흥사단 약법에 맞는 교육을 실시하여 의도하는 인물을 양성하였는가에 대해 반추해 볼 일이다. 현대의 흥사단이 시민운동을 주도하지 못하고 방관자적 자세를 견지한다는 일부의 비판도 존재한다. 굵직한 정치적 사안이나 한국사회에 영향을 끼치는 갈등상황에 대해 목소리를 내지 않고 관망하는 경우가 많다는 게 이유다. 흥사단은 그 이유를 흥사단원내 다양한 입장이 존재하기에 발생하는 중립적 입장 유지라 표명하지만, 그것이 역사 깊은 국민교육과 시민사회단체로서의 자세인지에 대해서는 입장이 분분하다. 이러한 논란에도 불구하고 흥사단의 시민교육은 과거에 머물지 않고 새로운 미래를 향해 나아가야만 할 것이다. 흥사단의 시민교육활동은 크게 단원의 교육훈련과 일반시민대상의 교육활동으로 볼 수 있다. 흥사단원의 교육은 흥사단 본부와 ‘민족통일 운동본부’(1997), ‘투명사회운동본부’(2001), ‘교육운동본부’(2002)의 3개 운동본부주관으로 실시되는 활동과 각 지부별로 실시되는 교육활동으로 나뉜다. 흥사단 회원훈련 사업은 흥사단의 가장 기본이 되는 사업이다. 흥사단의 회원훈련은 크게 학생훈련과 청소년 아카데미의 집회활동과 성인 단우들의 월례회 등을 통해서 이루어지며, 그밖에 수련회와 각종 행사를 통한 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한다. 흥사단의 가장 전통 있는 프로그램인 『금요강좌』이외에 각 지방별로 시민강연회를 개최하거나 교양강좌, 학부모교실, 취미강좌, 전통문화강좌 등 다양한 사회교육 프로그램을 개설 운영하며 지역주민을 위한 향토문화 가꾸기 등의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흥사단의 본부와 지방지부들은 통일, 교육, 환경 등 시민실 천운동과 건강한 지역공동체 문화를 가꾸기 위한 다양한 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이러한 흥사단 시민교육의 지향하는 목표와 내용을 흥사단 약법과 도산사상을 통해 점검해 보고, 흥사단 시민교육의 이론적 접근을 통해 보편적 성격과 특수성을 논리적으로 체계화해 일반적인 흐름을 파악해 낼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미래 한국사회의 당면 문제점 해결을 위한 흥사단의 시민교육활동의 전망을 예측해 보고자 한다.
        7,800원
        1300.
        2015.0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금까지 도산의 교육사상에 관한 연구는 주로 겉으로 드러난 행적과 업적을 바탕으로 평면적인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고 볼 수 있다. 여기서는 도산의 모든 활동을 넓은 의미의 교육활동으로 보고 그러한 운동을 가능하게 한 내면의 교육사상, 즉 교육을 바라보는 관점을 좀 더 심층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한다. 그러기 위하여 20세기 이후 현대의 진보적 교육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듀이의 교육관을 기본적인 틀로 사용하고자 한다. 듀이는 프래그머티즘의 철학을 집대성했을 뿐 아니라 그 사상을 토대로 진보주의 교육운동을 주도했으며 수많은 저작을 남겼다. 그 중 38세(1897년)에 작성한 ‘나의 교육신조(My Pedagogic Creed)’는 비교적 초기에 자신의 교육관을 5개 영역으로 나누어 질문을 던지고 자신의 신념을 피력하는 형식으로 서술하였다. 그 5개의 질문은 ①교육이란 무엇인가? ②학교란 무엇인 가? ③교재란 무엇인가? ④교육방법이란 무엇인가? ⑤교육과 사회진보 의 관계는 어떠한가? 이다. 그리고 1916년에 출판된 민주주의와 교육은 모두 26장(chapter)에 걸쳐 새로운 교육이 추구하는 방향과 과제를 전통적 교육과 대비하여 폭넓게 논술한 대표적 저작으로 그의 교육사상을 집대성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도산의 교육관을 듀이가 제시한 5개 영역을 기본 틀로 하여 듀이가 시종일관 강조하고 있는 새로운 교육 관에 비추어 분석해 봄으로써 도산 교육관의 본질을 재조명해 보고자 한다.
        5,8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