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llect and analyze Technical High School Teachers' opinions to find out solutions to reduce safety accidents since it is important for teacher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afety. We surveyed 150 teachers from technical high schools located in Incheon and divided them into three categories and asked their opinions about prevention of safety accidents in laboratories. We also studied their experiences constructing educational environment and making instructional materials for safety eduction to improve safety awareness. Also, we studied whether school safety awareness increases through safety related activities.
청소년의 재범을 방지하고 사회 적응력을 높여 건전한 사회구성원으로 만들기 위한 하나의 작업인 교정교육은 궁극적으로 청소년들이 사회 공동체의 약속과 기준에 대해 인식하고 그것을 활용한 사회생활 능력을 높일 때 교정교육의 이념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청소년의 교정교육은 청소년의 특성으로 인하여 다면적이고 다양한 학문적 시각의 접근이 필요하며 현재 시행되고 있는 교정교육을 좀 더 보완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법교육을 제안한다. 법교육은 국내 외 선행연구를 통해 법에 대한 인식 및 신뢰, 법 준수에 대한 의지 등이 향상되고 사법기관의 절차에 대한 믿음과 법의 공정성을 인식하게 하는 유용한 교육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청소년들을 둘러싼 환경들에 대해 관심을 높여 사회적 결속력을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제시된다. 우리 사회의 미래 원동력인 청소년들은 사회와 분리되어 삶을 영위할 수 없고 사회는 공동체의 약속인 법과 분리될 수 없다. 따라서 청소년들이 개인적인 삶과 사회생활 모두를 형성해 나갈 때 필요 한 것이 법에 대한 지식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 공동체 가치와 기준에 대한 내면화이며 이것은 교정교육의 보완적 수단인 법교육을 통해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traditional music education, functionality such as instrumental skill is very important. Some of traditional music education schemes focus on the fun, melody and rhythm. In this paper, we presents the music educational methodology that integrates music education with story-telling skill and fun of computer game. We focus on the human computer interface issues for learner's comfortableness. We review music and rhythm based game, and analyze them on the basis of user’s actual feeling, sound effect, visual effect, fun of the game. In our scheme, we present music composition and replay interface. Given a story with visual effects, learner will express his/her feelings for the story in the form of musical melody. We design the composition and replay interface using visual effects and sound effects using built-in sound fonts. It is realized that story makes learner focused more on the theme of music than instrumental skill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state the analyses of Chinese animation development with the world animation development. Chinese animation development history was classified under five period : the opening of a new animation period, the flourishing period, the retrogression period, the changing period, and the reconstruction period. The problems of Chinese animation industry, the animation policy, and the animation education were also analysed. 'Chinese Animation education' was especially described as the direction for the recent Chinese animation development.
Protecting an infant from a risk of accident was an absolute responsibility and duty of parents in the past. As increase in the ratio of entering kindergartens, the demand of all day program also increases. In infancy, safety concerns are higher than other periods since infants are curious about objects and environments and that have stronger impulse of the spirit of inquiry. Since baby's functioning is poor, an ability of balance maintenance and an exercise function are not sufficiently developed. Further more, they lack a cognitive power about self-control or situation. According to Korea Consumer Agency, safety accidents in infant institution have increased in 115% as 294 cases compared with 137 cases in 2004. Major causes of infant deaths are street accidents, drowning, and deaths from a fall in order. Considering this situation, we need to prevent and deal with accidents. Therefore this thesis grasp the situation and analyze an actual condition of an safety education about teachers who work in such institutions and infants who are educated in institutions to prevent from accidents and make up pleasant environments. Then, it will suggest all efficient safety education plans for infants to them.
This paper is research of design and manufacture of a hybrid vehicle. Through seminar about vehicle design principle, an undergraduate students studied concept about vehicle design. Vehicle frame designed by CATIA V5. Also, composed finite element model of designed frame and executes static and dynamic analysis. A DMU model for a full vehicle was built using CATIA V5 and used to check interference between parts and to simulate assembly process. Also, in this study, applied split parallel type's hybrid system on manufacturing vehicles. Controller for system drive designed using Atmel company's AVR MCU. Through this project, the undergraduate students could acquire knowledge about vehicle development process.
21 세기의 사회변화는 인류 구성원들에게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창의적 문제해결력 및 테크놀로지 활용 능력 등과 같이 새로운 핵심역량을 요구하고 있다.APEC 회원국의 교육관련 전문가들은 21 세기 핵심역량으로서 평생학습(life longlearning), 문제 해 결 력 (problem solving), 자기 관리 (self-management) , 팀 워 크(teamwork) 등으로 정의하였다. 본 연구는 회원국의 차세대들이 성공적인 삶을영위하기 위해 필요한 핵심적인 능력이 무엇이고 또 그 능력을 어떻게 개발할 수있는가에 대한 교육공동체 차원의 고민과 논의를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특히 교육협력체로서의 회원국들이 교육과제들을 함께 해결하고 협력하는 방안에 대해고찰하였다. 21 세기 접어들면서 APEC 교육협력사업을 통해 선도적 역할을 수행해 온 우리나라의 활동 현황과 21 세기 핵심역량 개발을 위해 회원국과 협력하고또 이에 대한 국내의 대응 전략 등을 탐색해 보았다.
The is the commonest word in English. This word is also known as one of the most difficult grammatical items for Korean learners of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This paper focuses on the non-generic use of the English definite article, and examines the grammatical descriptions of the article in Advanced English Grammar and English Grammar in Use. It reveals that some of the important usages of the definite article are not included in 'the grammar books', and observes, following Park and Song (2001), that these unlisted usages cause much difficulty for Korean learners to improve accuracy in the article use. Underscoring the organic view of language, the paper proposes that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understanding of 'grammar' is prerequisite for optimum efficiency in teaching the English definite article to Korean EFL learners.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통신윤리의 영어 몰입수업에 대한 효과, 학습자의 반응 분석, 영어 몰입수엽의 문제점을 찾아 그 대응책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는질적인 연구의 한 방법인 사례연구법에 의해 실시되었다. 데이터 수집은 연구자의 자기 평가와 학생들의 수엽 만족도 조사표의 응답 결과 그리고 태국 AIV 활동에서 함께 활동하였던 2 명의 교사들 평가를 반영하였다. 수업만족도 조사표로IACE 에서 개발하였으며, 선다형 10문항, 개방형 1 문항으로 작성되었다초등학교 5-6 학년 학생 20 명을 대상으로 시범수업으로 정보통신윤리의 영어몰입수엽 후 학생들의 수엽만족도 조사표에서 영어 몰입수엽은 효과가 있으며 학생들의 반응도 매우 긍정적이었다. 드러난 문제점으로 교사의 학생들 수준에 맞는 의사소통 능력의 부족, 고차원적인 사고 유도의 부족, 수업 중 학생들이 협력할 기회의 제공이 부족, 학생들의 의견 청취와 학생 중심의 수업 부족 등이었다.연구의 결론은 첫째, 정보통신윤리의 영어 몰입수업은 효과가 있었다. 둘째, 학생들의 반응은 매우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보통신윤리의 영어몰입수업에서교사의 철저한 수업계획과 자기 점검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제4차 APEC 교육장관회의를 위한 사전준비 심포지엄인 2008년 1월 중국 시안회의 및 4월의 제30차 HRD WG의 EDNET 필리핀 보홀 회의 그리고 6월 페루 리마에서 개최되었던 본 회의언 제4차 APEC 교육장관회의에서 다루어졌던 의제 및 이들 관련자료,그리고 연구자의 중국 시안 회의 참여관찰 등을 바탕으로 APEC 회원국 및 우리나라의 진립기술교육현황을 살펴보고,이 분야에서의 APEC 회원국간 상호 호혜적 국제협력을 위한 시사점 및 몇가지 제안을 제시하였다. 진로/기술교육 분야에서 우리나라가 제안할 수 있는 협력 사업으로APEC HRD WG의 EDNET 진로/기술교육 분야 소그룹 회의 아래에도 특정 진로/기술교육 관련 정책에 대하여 관심이 있는 이해당사국끼리 의견 및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온라인/오프라인 지원체제 구축과 회원국의 진로/기술교육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정기적인 진로/기술교육EXPO 개최를 제시하였다.
2008년에 개최되었던 APEC EDNET 에서는 제 4차 교육장관회의에서 다룰 의제로 ' 21 세기 핵심역량과 기술 성취’로 정하고, 회원국들의 공통적인 의견을 모아 앞으로 관심을 가지고 진행하여야 할 교육 의제에 대하여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하였다. 수학과 과학 영역은 APEC 회원국들이 관심을 가지고 국가적 차원에서 투자하고 교육 정책을 지속적으로 강화해야 한다는 측면에서 가장 중요하게 논의되고 있는 영역 중 하나로,APEC 회원국들 간에도 수학과 과학 영역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일치된 견해를 가지고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첫째, APEC 교육 협력과 관련하여 우리나라 수학·과학 영역에서 중점 추진하고 있는 분야를 제시하고,둘째,APEC 에서 논의 된 사항을 중심으로향후 수학·과학 영역에서 추진하여야 할 주요 과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논의하였으며,셋째,APEC 교육 협력을 위한 최근의 수학·과학 교육 정책 방향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우리나라의 교육 현황을 비추어 앞으로 우리나라에서 취할 수 있는 전략과 대책을제시하고,특별히 APEC 수학·과학 교육 정책의 향후 방향에 대한 논의와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points out that introducing and teaching semantic functions of Korean demonstratives 'i', 'ku', and 'ce' have not gained the attention of scholars and practitioners, although demonstratives are effective tools for expressing the speaker's psychological attitude towards object indication and for establishing coherence in delivering discourse. The study examined which semantic functions of Korean demonstratives, such as 'i', 'ku', and 'ce', should be incorporated as the content of teaching and how these could be taught in an effective way. As a principle of teaching, fostering learners' language awareness of the structure of semantic functions of 'i', 'ku', and 'ce' at these different strata was pursued. This made it possible to avoid giving out the glossary of each demonstrative or selectively delivering very simplified usage of them. Considering that the semantic functions of demonstratives are used in three different strata, metalingistic activities
to foster learners' language awareness of these issues were sugges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ome concrete problems concerning the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textbook from the standpoint of the 7th national physical educational curriculum, and to
propose the development direction for elementary physic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ntegrated instruction model in primary schools by exploring the process of science theater in English. To accomplish the objective, the researchers set up a program which includes science experiments, drama games, and performance in English by primary school students. The data collected from diverse sources were analyzed using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techniques. There were four results found from this study. First, the scholastic achievement both in Korean and English was improved. In addition, the students' interest and learning style influenced the test scores. Second, children in this study achieved real accomplishment through diverse student-centered activities. For example, they experienced
accomplishment by getting over their mistakes in experiments, fostered a collaborative attitude through process-based tasks, and realized responsibility in their learning by leading their own learning. Third, students experienced a new type of integrated learning in English and science. In other words, they recognized English as a means of learning a subject and regarded science experiments as activities for exploring knowledge. They also considered science theatre as an opportunity for self-realization. Fourth, a model for integrating English
and science in primary schools through science theater is presented.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the researchers provided several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이 연구는 ‘미시문화기술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대학원 교과교육학 과목 ‘한 문교육원론(漢文敎育原論)’ 수업을 비평한 것이다. 본격적 수업 비평에 앞서, ‘수 업→관찰→기술(記述)→해석’이라는 ‘수업 비평 모형’을 구안(具案)하였다. 해석의 결과인 이론은 다시 수업으로 환류(還流)되고, 수업의 주체인 교수자와 해석의 주체인 연구자는 상호 작용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필자와 연구 참여자들의 비평 활동을 몇 가지 양상 예컨대, 수업 프로그램 비평, 비평적 안목(眼目)의 양상, 교실 수업에로의 연계와 환류(還流), 그리고 변화와 성찰(省察)의 국면(局面)으로 범주화하고, 각각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대학원 ‘한 문교육원론’ 수업 비평은, 현장의 한문 교사들이 한문교육학의 학문적 성격과 특 성을 알 수 있는 계기가 되며, 사범대학 및 교육대학원 한문교육학 관련 수업의 방향 제시에 도움이 된다는 점에서 일정한 의의(意義)가 있다. 한편으로, 이 연구 에 참여했던, 필자와 한문 교사들은, ‘한문교육학 연구자로서의 교사와 교수’라는 역할을 수행할 것을 다지는 전회(轉回)의 계기가 되었다.
제7차 교육과정 개정안의 큰 틀은 한자어와 한문의 학습 위계가 결여되어 있다 는 판단 아래 짜여 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판단은 한자어의 개념, 유형, 성격 그리고 한자어 지도 방법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에 근거하여 이루어진 것이라고 보기 어렵다. 한자어 학습이 한문 학습과 연관이 없다는 입장은 언어생활의 한자 어와 한문의 한자어가 조어 원리도 다르고 쓰임새도 다르기 때문에 학습 영역이 분리되어야 한다는 사실에 기초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한 자어의 상당부분은 한문고전에서 사용된 말이며, 그렇지 않은 말이라고 할지라도 그것을 어떻게 지도하는가에 따라 한자어 학습이 곧 한문 학습과 직결될 여지는 충분하다. 사실 한자어 학습이 한문과 상관없는 것으로 치부된 데에는 현행 교과서의 한 자어 내용 구성에도 책임이 있다. 현행 교과서는 한자의 자의와 한자어의 어의가 심각할 정도로 불일치하는 모습을 보인다. 한자의 뜻을 안다고 해도 한자어의 의 미는 알 수 없도록 되어있는 것이다. 한자어의 의미도 국어사전의 풀이방식을 그 대로 따르고 있어 한문 고전에서의 의미와 현대적 의미 간에 상호 연관성이 결여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내용 구성으로는 한자․한자어․한문이 유기적인 체계로 교육될 수 없다. 이런 점에서 한자어에 대한 새로운 교육 내용과 지도 방법이 요구된다. 즉 한자 어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한자의 자의와 한자어의 어의가 서로 일치하게 하고, 한자어의 현대적 의미와 한문 고전에서의 의미가 서로 연계되도록 내용을 구성하는 의미 분석의 지도 방법이 필요한 것이다. 한자어를 구성하는 자의에 대 한 철저한 분석을 통해 자의의 변화 발전 과정을 살피고, 또한 한자어의 어의에 대한 철저한 분석을 통해 어의의 고금의 변화 발전 과정을 익히면, 한자나 한자어 에 대한 이해가 심화되어 언어생활과 한문독해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선인들의 정신문화와 삶의 자세, 시대의 추이에 따른 제도의 변화와 생활상을 익 힐 수 있고, 자의와 어의의 의미 발전 경로를 추론함으로 유추하는 능력도 기를 수 있다. 이러한 지도 방법을 잘 활용한다면, 한자어 교육을 통해서도 한문 중심 수업에 서 기대하는 여러 학습 목표를 성취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한자어의 효과적인 수업 지도에 대하여 체계적인 이론을 연구 개발하기 위해서라도 대학의 한문학과나 한 문교육과 교육 과정에 文字學과는 별도로 漢字語彙學이 개설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