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59

        161.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a basic study to improve fuel economy and reduce harmful emissions from passenger cars. This study is a basic study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fuel oil additives. The performance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engine, the region of use, and the driving habits of the user. Therefore,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carrying out the test analysis by the objective experimental method while maintaining the same conditions.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in terms of securing objectivity as a comparative study by the measurement of single user for a long time. As a result, in the case of cars using gasoline engines, the fuel economy tended to a little decrease as the distance-age increased. However, in the analysis of diesel vehicles by year, it increased gradually after the 5th year and the distance-age of 60,000km. And a comparison of the last three years, an increase of about 3.1% from 12.44km /ℓ to 12.82km /ℓ.
        4,200원
        162.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백두대간 지리산권역 내 훼손지의 유형을 분류하고, 각 훼손 유형별 실태조사를 통해 훼손 정도를 파악하여 훼손지의 복원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지리산권역의 훼손실태를 분석한 결과 전체 훼손지의 패치 수는 57개로 확인되었고, 평균고도가 낮고 경사가 완만한 지역일수록 훼손지의 패치 수 및 훼손 면적이 더 넓게 나타났다. 훼손 유형은 초지(폐경지)와 경작지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 농업적 토지이용이 주요 훼손 요인으로 분석되었 다. 이 중 14개소의 훼손지를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수행한 결과, 훼손 유형은 초지, 경작지, 복원지, 벌채지 및 나지로 분류되었 다. 각 유형별 교란정도(일년초 및 이년초의 비율, 도시화지수, 교란율)를 분석한 결과, 초지 및 경작지에서는 대부분 초본류로 만 구성된 1층 구조의 단순한 식생구조와 교란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소나무 유묘가 다수 식재된 복원지의 경우 2층 구조의 식생구조가 나타났고, 복원사업으로 인한 교란과 인근의 등산로로 인해 귀화식물의 유입이 다른 훼손지에 비해 특히 높게 나타났다. 나지의 경우 고도가 높아 귀화식물의 유입은 낮았지만, 일년초와 이년초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 조사된 모든 유형의 훼손지는 천이 초기단계로 판단되었다. 훼손 유형별 군락을 서열화한 결과, Ⅰ축상의 복원지, 경작지, 초지, 벌채지 및 나지 순으로 나타나 훼손 유형별로 구분되어 배열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훼손 유형별 조사지와 참조생태계의 군락을 서열화한 결과, 종조성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생태적 복원 절차에 따라 식생정보에 기초한 훼손 유형별 실태를 진단하고, 진단 결과와 함께 참조생태계와의 종조성의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향후 복원 목표 및 복원 방향 설정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4,800원
        163.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nitrogen oxide concentration by applying titanium dioxide to existing roads in urban areas,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d a generalized linear model. METHODS :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nitrogen oxide concentration with/without applying titanium dioxide to the urban road segment, data acquisition was conducted for nitrogen oxide concentration, weather information, and traffic information, etc., and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each factor, with/without applying titanium dioxide to the roads. In addition, nitrogen oxide concentration generation models with/without the application of titanium dioxide to the roads were estimated using a generalized linear model. RESULTS :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relative humidity and temperature were found to be slightly correlated with the nitrogen oxide concentration, both with and without the application of titanium dioxide to the roads; however, wind speed, solar radiation, and traffic volume were found to have somewhat low correl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 correlation analysis. Moreover, relative humidity, temperature, solar radiation, and traffic volume were significant when titanium dioxide was applied to the roads, based on the estimated model from a generalized linear model, and the wind speed, solar radiation, and traffic volume were significant for the absence of titanium dioxide on the roads. CONCLUSIONS : Analytical results indicat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nitrogen oxide concentration vary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of titanium dioxide to the roads. In particular, when titanium dioxide was applied to the roads, the relative humidity and temperature were analyzed; according to both analyses, i.e., correlation analysis and a generalized linear model, the nitrogen oxide concentration was affected.
        4,000원
        164.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is paper presents a quality evaluation of Korean foamed asphalt, which uses the maximum expansion ratio and half-life method. The maximum expansion ratio and half-life method are used to determine the optimum water content to produce a foamed asphalt mixture. The foamed asphalt mixture according to determine an optimum water content with this method; the mixture quality was compared with hot mix asphalt mixture. METHODS : For the foamed asphalt mixed design, the water content was determined in addition to the Marshall mixing design method. The water content was determined using the ratio of the maximum to minimum volume and the time for the volume to decrease to half of the maximum volume. We conducted stability, indirect tensile strength, tensile strength ratio, dynamic immersion, and absorption rate tests to compare the foamed and hot mixed asphalt mixtures. RESULTS : The foam asphalt mixture exhibited less performance reduction due to temperature change than the hot mixed asphalt mixture. Most of the two mixture types exhibited similar performance. In addition, both mixtures should use an anti-stripping agent to improve water resistance. CONCLUSIONS : As a result of the laboratory test, the foamed asphalt mixture was able to ensure a similar performance to the hot-mixed asphalt mixture.
        4,000원
        165.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대전광역시 신동지구 지구단위계획부지를 대상으로 경관단위 유형분류 개념에 기초하여 유형분류 도면 및 가치평가 도면을 작성함으로써 경관개선을 위한 정량적인 기초자료 구축 방법론을 모색해 보는데 가장 큰 의의를 두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경관 단위 유형분류 결과 경관단위 유형군(대분류)은 총 9개, 경관단위 유형(중분류)은 총 24개, 세 부경관단위 유형(소분류)은 총 56개로 분류되었다. 1차 평가 결과, 가치가 가장 높은 I등급에 해 당하는 경관단위 유형들은 총 12개로 나타났다. 1차 평가에서 중간등급 이상으로 평가된 경관단 위 유형들을 대상으로 한 2차 평가 결과, 미시각적 측면에서 특별한 의미를 가진 경관단위(1a, 1b) 는 39개, 미시각적 측면에서 의미를 가진 경관단위(2a, 2b, 2c)는 56개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 한 경관계획 관련 현행 법·제도와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경관계획 내용과의 비교분석 결과 현 행 법·제도의 대부분은 인공물을 미시각적 측면에서 개선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는바, 지구 단위개발계획의 공간적 범위 내에 분포하고 있는 미시각적으로 가치 높은 띠형 수림, 노거수 등 과 같은 다양한 크기, 형태를 지닌 자연경관요소들을 개발계획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전하기 위한 법·제도적 뒷받침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비시가화지역을 대상으로 수립되는 지구단위계획을 미시각적 측면에서 지속가능한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써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600원
        166.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restoration effect in the restored Yangjae stream and to draw up an adaptive management plan based on the results. As the result of evaluation on the restoration effect, the restored Yangjae stream was evaluated with low naturalness in both terms of the morphology of the stream and the composition and spatial distribution of vegetation. The diverse functional groups were introduced in the vegetation restoration, but the flooding regime, which is significant i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riparian vegetation, were not correctly reflected. Exotic species or species that were not ecologically suitable for the location were introduced on the embankment and thus a measure to improve those problems is required. As the ecological principle was not reflected in the restoration plan, the stream was constructed as the double terrace structure. Therefore, the width of the waterway was narrowed further, and the waterfront was not designed to accommodate changes from flooding disturbance, making the micro-topography of the stream simpler and the naturalness lower. The adaptive management plan was prepared to improve those problems, and a plan for creating an ecological network was recommended to enhance the restoration effect.
        5,200원
        167.
        202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 따라 집필된 중학교 한문 교과서에서 활용된 중학교 한문 교육용 기초한자 900자 가운데, 대표 字義를 字音으로 定義한 한자의 교육적 대안의 모색을 시도하여서, 이에 대한 연구의 확산과 차기 교육과정에 따라 집필될 중학교 한문교과서에 반영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 따라 집필된 17종의 중학교 한문 교과서에서 자음으로 대표 자의로 제시한 한자는 各자 등 34자이다. 이 가운데 제시한 빈도가 높은 功자 등 17자에 대한 자의의 이해도를 설문조사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학생들은 門, 房, 城, 時, 藥, 羊, 銀, 冊, 兄자 등 9자는 자의의 원래 의미로 이해하고 있었으나, 나머지 한자인 功, 德, 半, 病, 福, 姓, 窓, 恨자 등 8자는 이해도가 낮았다. 자음정의자의 교육적 대안 모색은 동일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功자 등 8자의 字義를 자전에서 제시한 순서대로 주고, 그 가운데 이해가 쉬운 한자 순으로 1, 2, 3의 번호를 매기게 한 후, 가중치를 주어서 합산하여 이해도를 정했다. 그 결과 功자는 대표자의를 ‘공로’나 ‘공적’으로 제시하여야 하고, 德자는 ‘도덕’으로 제시하여야 하며, 半자는 ‘절반’으로 제시하여야 하고, 病자는 ‘질병’으로 제시하여야 한다. 福자는 ‘행복’으로 제시하여야 하고, 姓자는 성씨’로 제시하여야 하며, 窓자는 ‘창문’으로 제시하여야 하고, 恨자는 ‘한탄하다’로 제시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대표 字義를 字音으로 정의한 字義의 문제점과 그 교육적 대안을 찾아보는 시도에 불과하므로 연구자들의 관심과 연구의 확산을 기대해 보며, 차기 한문교과서를 저술할 때 참고가 되었으면 한다.
        7,000원
        174.
        202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선박과 물체의 충돌위험을 파악하는 것은 항해안전에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선박이 방파제 사이를 통과할 때 선박 도메인이 방파제에 의해서 침범당하는 현상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먼저, 방파제가 주어진 조건으로 설계된 선박 도메인을 침범하는 영역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그런 후, 부산항 방파제 부근을 항해하는 선박들의 AIS(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로부터 실 험 데이터를 획득하고 처리하여 방파제 사이에서 형성될 수 있는 선박 도메인을 구축하였다. 이 때 선박 도메인은 Fujii의 Domain을 이용 해 구축하였다. 마지막으로, 구축한 선박 도메인이 방파제에 의해서 침범당하는 현상을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방파제에 의해서 침범당하는 선박 도메인이 확인되었다.
        4,000원
        175.
        202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간척지를 활용한 대규모 수출 원예 단지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고 있고, 대규모 시설원예 단지 조성을 위한 현안 중에 하나는 경량 온실용 기초 설계 기준을 확립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약지반 기초 보강 방법에 관한 사전 연구들을 검토 하였다. 대상 공법으로는 스파이럴, 나무, 쇄석 다짐 말뚝(팽이) 및 PF 공법이며, 성능 검증을 위해 인발저항력, 지내력, 침하량 측정 등의 시험이 수행되었다. 인발저항력은 동일한 직경에서 근입 깊이가 증가할수록 저항력이 상승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스파이럴과 나무 말뚝 기초의 성능을 비교하자면, 유사한 근입비와 마찰 면적을 갖는 기준에 대하여 스파이럴 말뚝의 인발저항력 0.8kN, 나무 말뚝은 인발저항력 1.1kN로 근소하게 나무 말뚝의 성능이 우수하다고 판단되었다. 추가적으로, 일정 근입비(L/D)의 범 위에서의 직경 변화에 따른 인발저항력을 비교하였다. 근입 비 10~12.1 범위에서는 직경 250mm구간, 근입비 14.6~16.7 범위에서의 직경 300mm구간에서 급격한 상승 값을 보였으며, 근입비 범위에 따라 인발저항력 증가 폭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지반 지내력 검토를 위한 재하시험 결과의 경우, 상이한 보강 방법, 직경, 관입 깊이 등의 영향으로 단순 비교하는 것에 한계가 있지만, 나무 말뚝 105kN/m2, 팽이 말뚝 826kN/m2, PF방법 300kN/m2 수준의 최대 허용지지력을 보였다. 위 조건의 경우에, 팽이 말뚝, PF방법, 나무 말뚝 순으로 높은 지내력을 나타냈다. 간척지 기초 시공공법 타당성 검토를 위하여, 일부 국한된 시험 조건하에 인발저항력, 허용지지력, 침하량 측정 등 시험 평가 결과를 비교 검토하였다. 기초 보강 방법 별 일관성있는 경향을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었지만, 풍속 40m/s에서 온실에서 받는 인발력이 20kN수준이고(Yu 등, 2012), ’97 한국형 유리온실 표준설계도에 명시된 온실의 기초 지내력 기준이 50kN/m2인 점을 고려한다면 지내력 105kN/m2 ~ 826kN/m2 범위의 기초보강 공법인 팽이, 나무말뚝 및 PF방법 모두 간척지 온실 기초에 적용하기 충분한 공법으로 간주 된다. 장기 침하량 모니터링 및 기초 보강 방법 별 수렴성과 재현성이 확보된 실증 데이터 보완을 통해, 온실 유형별 구조안정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기초 방식 선정과 설계 가이드 라인 제시가 가능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4,000원
        176.
        202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A pilot experimental study on the formation of fine particulate matter through photochemical reactions using precursor gas species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NH3, SO2, and NOx)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large-scale environment chamber for investigating the pathway of aerosol formation and the subsequent assessment techniques used for reducing fine particulate matter. Two small-scale environment chambers (one experimental group and one control group), each with a width, depth, and height of 3 m, 2 m, and 2.3 m, respectively, were constructed using ethylene tetrafluoroethylene (ETFE) films. METHODS : The initial conditions of the fine particles and precursor gases (NOx and VOCs) for the small-scale environment chamber were set up by injecting diesel vehicle exhaust. NH3 and H2O2 were added to the small-scale environment chamber for the photochemical reaction to form organic and inorganic aerosols. The gas phase of the VOCs and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aerosols were investigated using a proton transfer reaction time-of-flight mass spectrometer and the aerodyne high-resolution time-of-flight aerosol mass spectrometer at 1 and 10 s time resolutions, respectively. Gas phases of NO and NO2 were measured using Serinus 40 NOx at a 20 s time resolution. RESULTS : The small-scale environment chambers built using ETFE films were proved to supply sufficient natural sunlight for the photochemical reaction in the environment chambers at an average of approximately 89% natural sunlight transmission at 300–1000 nm. When the intermediates of NH3 and H2O2 for the atmospheric chemical reaction were injected for the initial condition of the small-scale environment chamber, nitrate and ammonium in the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to 4747% and 1837%,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initial concentrations (5.4 μg/m3 of nitrate and 5.2 μg/m3 of ammonium), indicating the formation of secondary inorganic aerosols of ammonium nitrate (NH4NO3). This implies that it is necessary to inject intermediates (NH3 and H2O2) for the formation of fine particulate matter when simulating the atmospheric photochemical reaction for assessing the environment chamber. CONCLUSIONS : This study has shown that small-scale environment chambers can simulate the atmospheric photochemical reaction for the reduction of fine particulate matter and the formation of the aerosol pathwa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prevent time and economic losses that may be incurred in a full-scale environment chamber.
        4,200원
        177.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nalyzed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invasive alien plants on the islands of the Korean Peninsula. Ten species, Rumex acetosella, Sicyos angulatus, Solanum carolinense, Ambrosia artemisiaefolia var. elatior, Ambrosia trifida, Aster pilosus, Eupatorium rugosum, Hypochaeris radicata, Lactuca scariola, and Paspalum distichum were present on 68 islands. These ecosystem-disturbing invasive alien plants appeared extensively on the islands of Gyeonggi province and Jeollanam province. The proportion of the plants on the inhabited islands (41 places, 2.15 species on average) was higher than that on the uninhabited islands (27 places, 1.07 species on average). This means that the distribution of invasive alien plants was closely related to human activity. The distribution of Ambrosia artemisiaefolia var. elatior (32 islands) and Rumex acetosella (31 islands) was the widest, and there were distinct distribution differences according to species. In the island area, the physical environment is poor compared to the mainland, and the native space is limited. Therefore, when invasive alien species enter and settle on the island, the native island plants can be damaged more than those on the mainland. In this regard, the discussion of the distribution of invasive alien plants in the island region can contribute to the conservation of biodiversity in the region.
        4,3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