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6

        101.
        201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단면수리실험으로 다양한 실험파 조건과 유수실 폭(B)을 변화시키면서 유공부 길이(S)와 반사율의 관계를 검토하여 유공 1실인 유공구조물의 정수면 아래 최적 유공부 길이를 제시하였다. 입사파로 불규칙파를 적용함에 따라 최저 반사계수는 상대 유수실 폭(B/Ls)이 B/Ls≈0.15에서 발생하였다. 유공부 길이와 입사파고와의 관계를 고려한 상대 유공부 길이(S/Hs)는 S/Hs≈2.5에서 최저 반사계수를 보였으며, 이는 정수면 아래 유공부 길이가 입사파고의 약 2.5배일 때 최적임을 의미하는 것이다.
        102.
        201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치과 방사선 발생장치 중 파노라마는 구강악안면의 넓은 해부학적 구조물을 관찰할 수 있으나, 길이나 각도, 형태의 왜곡이 일어날 수 있다. CBCT는 3차원적 영상진단을 할 수 있으며, 해부학적 구조물 사이의 중첩과 간섭에 의한 오차가 현저히 적은 영상을 얻을 수가 있으나, 시간이 길어 피사체의 움직임에 의해 상의 질이 저하될 수 있고 구강 내에금속 같은 방사선 불투과성 물체가 존재하면 그 물체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방사선 불투과성 선이 나타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파노라마와 CBCT로 측정된 사랑니 길이와 실제 발치된 치아를 비교하여 치아의 왜곡을 분석함으로써파노라마와 CBCT의 정확도를 분석하고, 치과 치료시 해부학적으로 유용한 정보를 얻고자 한다.실험결과 파노라마와 Digital Vernier Caliper의 오차는 크게는 110.7%, 작게는 103.9%로 평균적으로 파노라마가평균 7.3%로 확대됨을 알 수 있었다. CBCT와 Digital Vernier Caliper에서 측정된 사랑니의 길이는 오차범위 1.3%로나타났고, 파노라마와 Digital Vernier Caliper에서 측정된 사랑니의 길이는 오차범위 7.3%를 나타냄으로써 CBCT가파노라마보다 약 6% 정확한 영상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CBCT가 파노라마보다 정확한 영상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CBCT는 파노라마보다 검사비용이 비싸고 피폭선량 또한 많아서 검사 시 적절한 방법을 찾아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103.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evaluates the drying shrinkage strains regard to fiber reinforcement in order to reduce cracking of the lean concrete mix so as to control the damage of the pavement by means of fiber reinforcement
        104.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way-finding system on the facility management in the general hospitals. For this purpose, visiting survey and questionnaire study are carried out for four general hospitals. Based on the results, way-finding system such as sign board is a essential element for patient satisfaction as well as facility management.
        105.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1세기 정보사회 디지털의 발전은 생활공간의 확장, 즉 가상공간의 영역 확장을 가져오면서 현대인들의 길찾기 방법을 비약적으로 발전시켰다. 단순 지도 또는 표지판을 통한 길찾기가 아닌 가상과 현실의 공간을 넘나드는 증강현실 기술이 상용화 되면서 목적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길찾기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증강현실을 플랫폼으로 하는 스마트폰 길찾기 어플리케이션의 방향표시 기호에 관한 개념을 정립하고 시각이미지를 분석하여, 향후 개발될 길찾기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 디자인 모델에 대한 방법론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현재 아이폰 앱스토어에 등록된 길찾기 어플리케이션 200개를 분석한 결과 증강현실 기술 기반의 어플리케이션들에서 보여지는 방향표시 기호 유형은 말풍선, 진행경로, 화살표, 화살표+진행경로, 레이더, 좌표, 컴퍼스, 방위표시, 캐릭터 등 총 9가지였다. 사용된 방향표시 기호는 기존의 아날로그적인 기호들을 대부분 수용하고 있다. 하지만 스마트폰 속 증강현실에서의 방향제시 기호는 과거의 기호와의 형태적 다름에 의미를 두기 보다는 기존의 방향제시 기호들로만 보여줄 수 없었던 정보의 확장성을 실현에 더 의의가 있다. 향후 증강현실 플랫폼은 영역을 확장해 나가며, 좀 더 직접적이고 다양하게 실생활에서 사용될 전망이다. 이때 가장 고려되어야 할 것은 현실과 가상세계간의 정합이며, 사용성을 높여서 누구나 쉽게 접근하고 정보를 취할 수 있는 형태로 발전해 나아가야 할 것이다.
        106.
        201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알고리즘은 잘 알려진 길찾기 알고리즘이다. 그러나 많은 상호 작용이 있거나 많은 장애물들이 있는 맵에서 A* 알고리즘을 실시간에 사용하는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 그래서 게임에서는 최단의 경로를 찾는 대신에 게임 플레이어에게 자연스럽게 보이는 경로를 빠르게 찾을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경로 정보를 사용하는 새로운 휴리스틱 함수를 제안하고, 제안한 휴리스틱 함수를 이용한 길찾기 알고리즘이 다양한 그리드 맵에서 A* 알고리즘보다 상당히 빠르게 경로를 찾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107.
        2012.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on the seismic behavior of the bridge that does not affect the safety of the range of variation of the length of the pier was looking for. The type of bridge is difficult to set clear standards for the geometric stiffness of the bridge, due to the diversity of soil conditions on the number of all cases. Thus, PSC girder and steel box girder bridge the representative of the highway bridge types were analyzed. Changes in the length of the pier ± 5% increments up to 20% were analyzed.
        108.
        2011.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1세기 국가 경제 및 산업 발전에 따른 대규모 건설공사로 인해 발생되는 임목폐기물의 양은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개발과 자원순환의 개념 강화에 따라 건설현장에서 발생되는 임목폐기물을 단순 위탁 처리 방안에서 순환처리시스템으로 전환하는 것이 필요하므로,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임목폐기물의 자원순환처리를 위하여 관련 지침을 제정하고, 임목폐기물의 재활용 기술개발을 통한 실용화 방안을 마련하여 건설공사에서 발생한 임목폐기물의 재활용을 극대화 하여야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도로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임목폐기물을 도로 보호길 어깨 포설에 재활용 하는 친환경 방안을 제시하였다. 기존에는 임목폐기물을 폐기물로 분류하여 폐기물 전문업체를 통해 위탁 처리하였으나, 임목폐기물의 효율적인 자원 낭비를 방지하고자 도로 보호길 어깨에 임목폐기물을 파쇄하여 포설하고자 한다. 포설 방법은 보호길 어깨를 굴착하여 파쇄칩을 포설 및 다짐한 후 친환경성 접착제를 살포한다. 위 활용 방안의 가능성을 입증하기 위해 우수 침식 시험기를 자체 제작 후 실내시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접착제의 친환경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침식 시험기를 이용한 시험 결과 현장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고, 친환경적인 활용 방법이라 할 수 있다.
        109.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후변화의 주범은 우리 인간이다. 경제발달을 시키고 편안한 생활을 위해 발전하고, 농약의 과다 사용으로 식량증산을 시키다 보니 지구상에 사는 모든 생물에게 직접적인 피해를 주는 기후변화를 초래했다. 지구를 지키기 위해 코펜하겐에서 각국 정상들이 모여서 자기나라들의 기후변화 대처를 선언했다. 이산화탄소 배출 1, 2, 3국인 미국, 중국, 인도는 힘겨루기라도 하듯 이산화탄소 감축 숫자만 제시 했다. 우리나라도 개도국의 선진주자로서 녹색성장 정책과 실천과제를 발표했다. 기후변화 주범은 자동차, 제철소와 다른 산업화에 의한 이산화탄소의 배출, 벼농사와 가축들에 의한 매탄가스 방출 등이다. 축산패수에 의한 하천과 지하수 오염도 큰 몫을 하고 건강을 해친다. 동계기간 사무실과 아파트에 선진국에서 보다 더 높은 따스함을 즐기고 있다. 풍력과 태양열을 생산하는 중소기업이 원천 기술력의 미약으로 큰 곤궁에 빠진다는 보도도 있다. 지속가능한 생물 연료 원천기술 개발을 서둘러야 한다. 미국의 예를 보라. 제주도와 경상도에서 나타난 옥수수 보통녹병 (Common rust caused by Puccinia sorghi)은 기후변화가 주원인이라고 생각된다. 인기리에 재배되고 있는 국내 외 품종들이 새로운 병에 아주 약하다. 옥수수에서 나타난 새로운 병이 벼 등 주요 농작물에도 나타날 수 있고 세계 어디든 문제가 될 수 있다.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한 모든 국민들의 노력과 식량증산을 국제 경제적 으로 발전시킬 의무가 우리 모두에 있다.
        110.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雪溪 文勵(1553-1605)는 曹植의 제자인 文益成의 아들이자, 조식의 고제자 인 鄭仁弘의 제자이다. 그는 임진왜란 중 의병장으로 활약했으며, 난후에는 그 의 충의에 감격한 명나라 장수들에게서 󰡔翰墨流芳󰡕을 선물받기도 했다. 지역 한문학적 측면에서 陜川을 연구하기 위해서도, 그리고 南平 文氏의 학맥을 연 구하기 위해서도 문여에 대한 연구는 필수적이다. 그러나 그의 생몰연대는 물 론 죽음의 이유까지 그릇되게 기록되어 있는 것이 오늘날의 현실이다. 본고는 이에 그의 삶과 시를 조명하고자 하였다. 그는 일찍이 학문보다는 姜呂尙처럼 출사하여 경제제민의 포부를 펼치고자 했다. 그러나 뇌물수수 사건에 연루되어 억울한 누명을 쓰고 옥사하고 말았으 니, 그의 꿈은 미완의 상태로 남아 있을 수밖에 없었다. 그의 시는 자연의 승경 을 노래한 시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눈물로 점철되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 다. 임진왜란 중의 우국충정의 시, 이별을 읊은 시, 보고픈 이를 그리워하고 고 향을 그리워하는 시가 그러하다. 이것은 민족의 대재앙이었던 임진왜란이라는 시대상을 반영한 것으로, 그의 시는 길 위에서 방황하는 동시대인의 아픔과 소 망을 대변하고 있다고 하겠다.
        111.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매트재배와 C-형강재배에서 공히 심지길이에서 20cm가 모든 토양에서 양호한 생육결과를 나타내었고, 토양별로는 유비토실이 모든 심지길이 처리에서 제일 좋은 결과를 보였다. 하지만 펄라이트와 코이어의 혼용처리비율간에는 심지길이에 따라 생육량이 변화는 경향을 보였다. 관수방법에 따른 생장량의 비교에서 같은 처리조건에서 매트관수가 C-형감심지재배 보다 지상부 건물중이 무거웠으나 초장이나 열매의 생육량은 두 처리간에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분지수에 있어서는 유비토실이 사용시 C-형강재배에서가 매트재배에서보다 1개 정도 많은 수치를 보였다.
        112.
        200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PG, 전략 시뮬레이션등의 2D/3D 게임에서 동적으로 변화하는 장애물이나 지형 정보 등을 관리하기에는 대체로 동적 그래프가 적합하다. 이 논문에서는 빠르게 길 찾기를 수행하고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고정 레벨의 계층적 그래프 모델을 제안한다. 공간 분류나 공간 모델을 이용해 그래프를 분할하여 계층적 그래프를 구성하고, 동적 그래프의 연산자들을 제시하여 계층적 그래프 모델에서의 실시간 A* 길 찾기 방법을 실험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모델이 동적 장애물이나 동적 구조를 가지는 게임 환경에서 빠르게 길 찾기를 수행하기에 적합한 그래프 모델임을 실험을 통해 입증하였다.
        113.
        2001.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옻나무의 근삽에 의한 묘목생산성을 높이기 위하여 BA, kinetin 및 zeatin 등의 생장조절물질과 삽수의 길이 및 직경 등을 공시하여 신초발생율과 묘소질을 조사하였다. 옻나무의 근삽처리 후 3∼5주 사이에 삽수로부터 신초가 발생하여 지상부로 출현하였다. 발생하는 신초의 수는 대부분이 1개였으나 2∼3개의 신초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한편 신초가 발생하지 않은 삽수들은 대부분 신초분화능이 포함된 피층부가 부패 한 것이 그 원인이었다. 생장조절물질 처리에 있어서 zeatin처리가 가장 양호한 신초발생율을 보였고 농도가 높을수록 신초발생율도 높았다. BA와 kinetin처리 역시 농도가 높을수록 신초발생율이 높았으나 zeatin처리에 비하여 낮았다. 생장조절물질 처리에 의한 묘소질은 처리간에 통계적인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지만 대조구보다는 양호하였다. 삽수의 길이 별 신초의 발생은 삽수의 길이가 길수록 일찍 시작되었고, 묘소질은 15 cm의 삽수가 가장 양호하였고 삽수의 길이가 작아질수록 묘소질이 불량하였다. 그러나 단위길이 당 유묘 생산량은 10 cm의 삽수가 가장 양호하였다. 삽수의 직경에 따른 신초의 발생율은 삽식 10주 후에 0.3∼0.5 cm의 삽수가 76%로써 가장 양호하였고 묘소질은 통계적인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