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59

        661.
        198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과나무 부란병균 병반상에서 검출된 비병원성 Valsa속 균의 비병원균 인자가 부란병균으로 전이되는지의 여부를 밝히기 위해서는 적당한 유전표식(遺傳標識)이 필요하므로 두 균종(菌種)에서 영양요구성 돌연변이주를 작출(作出)하기 위해 수행한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본 균의 영양요구성 돌연변이주의 검출에 가장 적합한 합성배지로는 E. Parasitica의 연구에 사용되었던 최소배지 및 완전배지가 선발되었고 단집락형성용 배지로는 이 최소배지에 0.5%의 L-sorbose를 첨가한 것이 가장 좋았다. 단집락형성용 배지상에서 포자가 발아하기까지는 약 96시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밝혀져 자외선 조사후 완전배지를 중층(重層), putative auxotrophs를 선발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96시간 이상 야생형(野生型)을 지속적으로 제거해야 될 것으로 나타났다. 병포자 발아과정의 핵의 행동을 추적해 본 결과, 1차 핵분열이 일어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약 60시간으로 자외선 처리 후 photoreactivation에 의한 reversion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조사(照射) 후(後) 60시간(時間) 이상 암상태(暗狀態)에 보존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절한 자외선 조사방법(照射方法)을 선정하기 위하여 병포자현탁액에 조사(照射)하는 방법과 단집락형성용 배지에 포자를 도말하고 그 위에 자외선을 조사(照射)하는 방법(方法)을 비교 검정해 보았다. 병포자현탁액에 자외선을 조사(照射)한 방법에서는 130초에서 포자의 발아능력이 완전히 상실되었고 생존율이 0.1%에서 7%의 범위인 80초~120초 사이에서 putative auxotrophs를 선발할 수 있었다. 한편, 단집락형성용 배지상에 도말된 병표자에 자외선을 조사(照射)한 방법에서는 90초의 조사(照射)에서 포자의 발아능력이 완전히 상실되었고 50초 정도의 조사(照射)에서 가장 많은 수의 putative auxotrophs를 선발할 수 있었으며, 조사(照射)시간에 따른 포자생존율에 있어서 균주간에 큰 변이가 없는 후자의 방법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에서 선발한 161개의 putative auxotrophs 중 10개의 영양요구성이 확인이 되었는데 nucleic acid base 요구성 4균주, amino acid 요구성 4균주 vitamine 요구성 2균주가 얻어졌다. 이들 영양요구성 돌연변이주의 병원성을 조사한 결과, 병원성이 상실된 것이 5균주, 약병원성 3균주, 여전히 강한 병원성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 2균주로 나타났는데 약병원성 또는 강병원성을 나타낸 5균주중 nicotine 요구성인 AM513만 병반상에서 포자가 내장된 병자각을 형성하였고 여타의 균주는 포자형성능(胞子形成能)이 상실되었다.
        4,000원
        662.
        198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사시나무(Populus )의 줄기 식입해충(害蟲)인 포푸라하늘소 (Compsidia populnea L.)의 발생(發生) 및 생활사(生活史)에 관(關)한 조사(調査)를 실시(實施)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포푸라하늘소는 년(年) 1회(回) 발생(發生)하며 갱도내(坑道內)에서 유충(幼蟲)으로 월동(越冬)한다. 2. 성충(成蟲)의 발생최성기(發生最盛期)는 춘천지방(春川地方)의 경우 5월(月) 12일경(日頃)이었고 초출현시기(初出現時期)는 춘천(春川) 5월(月) 5일(日), 가평(加平) 5월(月) 6일(日)이었다. 3. 성충(成蟲)은 우화(羽化)한 후(後) 일간(日間) 갱도(坑道)속에 머물다가 탈출공(脫出孔)을 뚫고 밖으로 나오는데 출공후(出孔後) 산란일(産卵日)까지 걸리는 기간(期間)은 평균 10.7일(日)이었으며, 산란기간(産卵期問)은 야외조건하(野外條件下)에서 평균(平均) 14.3일(日)(일(日)), 실내조건하(室內條件下)에서 평균(平均) 6.4일(日)(일(日)) 이었으며, 성충(成蟲)의 수명(壽命)은 야외(野外)조사에서 숫컷의 경우 평균(平均) 11.0일(日)(일(日)), 암컷의 경우 평균(平均) 13.8日(일(日))로 암컷이 다소 긴 경향이었다. 4. 산란(産卵)은 직경 의 년생(年生) 가지의 표피(表皮)에 U자형(字形)의 흠집을 만든후 표피(表皮)밑에 산란(産卵)되며 암컷 한마리당 만든 산란흔(産卵痕)은 평균(平均) 56.6개(個)(개(個))였고 재란율(在卵率)은 67.9%로 총산란수(總産卵數)는 평균(平均) 38.5개(個)(개(個))였으며 개체별(個體別) 차이(差異)가 많았다. 알은 장타원형(長楕圓形)으로 길이는 평균(平均) 2.6mm(), 폭은 0.78mm() 정도로 유백색(乳白色)이었다. 5. 난기간(卵期間)은 항온조건하(恒溫條件下)에서는 평균(平均) 9.5日(), 야외(野外)에서는 5월(月) 20일전(日前)에 산란(産卵)된 알의 경우 일(日), 5월(月) 20일(日)5월말일(月末日)의 경우 일(日), 6월(月) 이후(以後)에 산란(産卵)된 알은 일(日)로 기온(氣溫)이 높아짐에 따라 짧아지는 경향이었다. 6. 유충(幼蟲)은 부화후(孵化後) 수피(樹皮) 바로아래 부분(部分)을 주간(週間) 식해하다가 목질부(木質部)로 갱도(坑道)를 뚫고 들어가며 피해부(被害部)는 충영을 형성(形成)하는데 충영의 크기는 장경(長經)이 평균(平均) 1.8cm(), 단경(短經)이 평균(平均) 1.6()였으며 갱도(坑道)의 길이는 평균(平均) 3.1cm()였다. 7. 유충(幼蟲)이 완전(完全)히 성숙(成熟)하는 시기(時期)는 9월말(月末)10월(月) 초순(旬)경이며 유충태(幼蟲態)로 월동(越冬)하며 용화시기는 4월초순(月初旬)경이었다. 용기간은 항온조건하(恒溫條件下)에서는 평균(平均) 11일(日)(일(日))이었으나 야외(野外)에서는 30일이상(日以上)으로 관찰되었다.
        4,000원
        663.
        198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사시나무(Populus )의 줄기 식입해충중(害蟲中) 우점종은 포푸라하늘소(Compsidia populnea L.)였으며 황철나무하늘소(Compsidia balsamifera M.)는 확인되지 않았다. 본(本) 조사(調査) 통하여 상기 두 종(種)의 형태(形態), 분포(分布), 생활사등(生活史等)이 비교 검토됨으로서 포푸라하늘소의 정확한 분류동정(分類同定)이 가능(可能)하여졌다.
        3,000원
        664.
        198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本) 시험(試驗)은 임간혼파초지(林間混播草地)에서 3 요소(要素) 시비수준(施肥水準)이 목초(牧草)의 조단백질(粗蛋白質), 조섬유(粗纖維) 및 무기성분함량(無機成分含量)과 임간지(林間地)에서 자란 나무의 생장(生長)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究明)하고자 차광정도(遮光程度) 40~50%인 수영(樹齡) 10~15년생(年生)의 소나무지대에서 실시(實施)되었다. 4. 시험(試驗)은 13가지 NPK 시비수준을 달리하여 난괴법 3반복으로
        4,000원
        665.
        198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미기록종(*) 12종을 포함 95종의 한국산 긴나무좀과와 나무좀과 해충 및 그 기주식물 62종 14아종을 기록하였다. 이들중 새로 추가된 기주식물(#)은 10종이다.
        4,000원
        666.
        198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과나무의 과실 부패현상과 가지 사마귀현상의 평원균 및 그 병원성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다. 1. 사과나무와 배나무의 가지 및 과실, 벚나무복숭아나무자두나무능수버드나무 및 자작나무의 가지 등 7종의 병든식물에시 분리된 것은 Dothierella mali (Botryosphaeria berengeriana 의 불완전세대)가 대부분이었고 사과의 썩은 과실에서는 Alternaria sp.와 Pencicillium expansum도 분리되었으며, 배의 썩은 과실에서는 Phomopsis sp.도 분리되었다. 2. B. berengeriana의 10개 분리균을 4종 재배에 배양한 결과 균사생장, 균총의 모양 및 색깔의 차이에 따라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공시된 분리균은 배지에 특이한 색깔을 나타내지 않았다. 병자각은 자좌속에 형성되었으며, 모양은 구형 또는 편구형으로 흑갈색이었고, 크기는 사과 병조직의 것이 사이었다. 병포자는 보통 무색, 단포, 타원형-방추형으로써 사과나무 가지에서 분리한 균의 크기의 범위는 (평균 )이었다. 병포자는 발아전후에 1개, 2개 또는 3개의 격막이 생기는 것도 있었다. 배지 또는 접종부위에 형성된 병자각 안에는 소형포자도 형성되었다. 접종식물의 잎과 과실에는 겹무늬의 갈색-흑갈색 병반이 나타났고 사과나무와 배나무의 햇가지에는 사마귀상 돌기가 접종부위에 생기는 것이 있었으며, 복숭아나무 및 벚나무의 가지에는 조피형 동고성 병반이 나타났다.
        4,000원
        667.
        198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남 나주지방에서 만연하고 있는 검은무늬 병 유사증상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병원균은 Alternaria kikuchiana Tanaka로 동정되었다. 2. 5월 하순부터 발병되기 시작하여 6월 하순7월상순에 가장 심하였고 9월 상순에 다시 증가하였다. 3. 이병은 조사품종들의 성엽에 발생하였으나 20세기에서만 유엽에 많이 발생하였다. 5. 이 병은 나주시험장에 있는 거의 모든 품종에 발병하였는데 종래 저항성품종으로 알려진 신흥, 만3길등은 가장 심한 발병을 보였고 이병성품종으로 알려진 조옥, 박다청등은 약간 발병하거나, 전혀 발병하지 않았다. 6.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검은무늬병균에 병원성의 분화가 일어난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668.
        198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ive species, Hypothenemus californicus, Coccotrypes carpophagus, Othotomicus angulatus, Tomicus brevipilosus and Xyleborus seriatus were recognized firstly from Korea. Two species of them, H. californicus and C. carpophagus were preserved at Life Science Museum of Brigham Young university in U.S.A. X. seriatus intercepted at Kobe in Japan from imported yew log which had shipped at Nampo in North Korea was sent by Dr. F. G. Browne in England. Thirteen recorded species were also examined in this study.
        4,000원
        669.
        198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과수 및 원예식물을 가해하는 나무좀류를 확인하기 위해 1980-82년간 기주식물별로 분포상태를 조사하였으며 동정된 6종, 미동정 1종을 정리하였고 이들중 Cryphalus malus Nijima, Hypothenemus eruditus Westwood와 Xylesandrus borealis Nobuchi 등 3종은 우리나라 미기록종이었다.
        3,000원
        670.
        198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twelve species of Scolytidae and six species of Platypodidae were recognized from imported logs at Incheon, Gunsan and Busan ports. One species, Hypothenemus hampei (Ferrari) of Scolytidae was identified from coffee bean. These species were not reported before from imported logs and seeds. Scolytidae Platypodidae Scolytus frontalis Blandford Crossotarsus nitens Chapuis Hylurgopsl gabratus Zetterstedt P. lepidus Chapuis Gnathotricus sulcatus (Leconte) Diapus quinquespinatus Chapuis Hypothenemus hampei (Ferrari) Genyocerus abdominalis Schedi Ips concinuus (Mannerheim) G. compactus Schedl Poecilips subcribrosus (Blandford) G. sexporus (Schedl) xyleborus agnatus Eggers X. cognatus Blandford X. emarginatus Eichnoff X. mascarensis Eichhoff X. pseudomajor Schedl X. pseudopilifer Schedl.
        4,000원
        671.
        198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uthors identified following seven species of six genera of Dinoderinae and Bostrichinae of Bostrichidae intercepted from imported logs. Keys and descriptions are given for the seven species. The distribution of each species is outlined Dinoderinae: Rizopertha dominica (Fabricius) Dinoderus minutus (Fabricius) Bostrichinae: Sinoxylon anale Lesne S. japonicum Lesne Heterobostrychus hamatipennis (Lesne) Xylothrips flavipes (Illiger) Xylopsocus castanopterus (Fairmair).
        4,000원
        672.
        198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배나무붉은별무늬병의 중간기생 조사 및 향나무배나무에 대한 효과적 약제방제방법을 마련코자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배나무붉별무늬병균의 동포자퇴 형성은 피라밋드향나무에서 가장 많았으며 참향나무, 향나무, 연필 향나무가 중간, 노간주자무, 둥근향나무는 적었다. 2. 향나무에 대한 살포약제는 Actidione 1000배액의 4월초순중순의 2회 살포가 가장 좋았으며 약해도 없었다. 3. 배나무에 대한 Bayleton 800배액의 4월순5월초순의 회 살포는 병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4. 배나무에 대한 약제살포는 강우전에 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강우후 살포시기가 지연될수록 효과는 감소하였다.
        3,000원
        673.
        198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674.
        198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자두 살구나무에 기생하는 나무좀의 종류와 생태를 조사하였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자두살구나무를 하는 나무좀은 서울나무좀 (Scolytus seulensis), 뽕나무좀(Xyleborus atratus), 오리나두좀(X. germanus, 붉은목나무좀(X. rubricollis) 및 감나무좀(X. saxeseni)을 채집하였고 기주로는 서울나무좀은 자두와 살구나무에 뽕나무좀 오리나무좀, 감나무좀은 살구, 밤나무에 붉은목나무좀은 자두, 밤나무등에 각각 침입함을 확인하였는데 자두, 살구나무에 발생량과 피해가 심한 종은 서울나무좀이었다. 2. 서울나무좀의 발생소장을 보면 1980년 7월 10일과 8월 25일 1981년에는 7월 15일과 8월 20일로 1화기는 7월 중순에 2화기는 8월 하순의 1년 2회로 추정되었다. 3. 살구품종중 서울나무좀에 의한 m당 충공수는 Henderson(Apricot)과 V-49057(Apricot)은 100개 이상이었으며 Derbyroyal(Apricot)은 12개 이하로 적었다. 대체로 한국재래종과 일본계도입종들에 비하여 구주계품종에 치해공이 많았고 방향별 차이는 적었으나 동서남북순이었으며 모공의 길이가 길수로 유충공수도 많았다. 4. 성충의 교미는 내외가 많았으며 5.6월의 교미는 7.8월에 비하여 교미시간이 다소 길었다. 5. 자두나무 과실중의 변화는 피해주에서 개화 4주일 후인 6월 23일에 12.25g으로서 과중증가가 없었으나 건전주의 과실은 6월 23일에 32.23gr이었고 수확기인 7월 7일에는 63.5gr이었다. 6. 서울나무좀의 천적으로 어깨넓적좀벌과의 일종인 Eurytoma sp.를 서울나무좀의 노숙유충이나 용에서 용상태로 발생하였고 5월 초부터 6월 25일 사이에 우화하였으며 성충의 일주일 내외였다.에 따라 충영엽율이 낮었으며 방사상식고랑처리는 고랑수에 따른 충영엽율에 현저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현행 근계주변 원형식고랑처리는 점식 3구멍처리와 대등한 솔잎혹파리의 방제효과가 있었다. 결론으로 과 의 토중처리효과는 대등하여 의 대체 가능하다고 보며 의 점식 3구멍 처리방법을 도입함으로서 토중처리에 소요되는 노동력을 크게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0℃,25℃,30℃에서 각각 였다. 6. 발육영점온도는 난이 , 유충이 , 용이 였고 유효적산온도는 난, 유충과 용이 각각 60.41일도, 319.35일도와 222.66일도였으며 담배나 방의 발육영점온도는 였고, 유효적산온도는 60 2.42일도였다. 7. 발육과 온도와의 관계에서 Y=-4.272X+155.39 (r=0.9105), (Y=전 생육기기간을 완료하는데 소요되는 일수, X=처리온도)를 얻었으며 실측치와의 오차는 일로 생육단계 특히 유충기와 개체간 생리적 차가 현저함을 알 수 있었다. 8. Thuricide 분무처리 시 치사율은 평균 였고 Bait처리 시 치사율은 평균 였으며 처리간에는 유의성이 있었으나 처리시기나 약
        4,000원
        675.
        198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립식물검역소 인천지소에 소장중인 수입원목해충 중 나무좀류를 동정한 결과 다음과 같이 나무좀과에서 2 아과 6속 14종이 긴 나무좀에서 2아과 2속 11종이 확인되었다. Scolytidae Ipinae Arixyleborus granulifer A. rugosipes Xyleborus posticepilosus X. similis X. subcostatus Ips pini I. plastographus I. tridens Trypodendron lineatum Hylesininae Dendroctonus adjunctus D. brevicomis D. frontalis D. ponderosae Hylurgops porosus Platypodidae Platypodinae Platypus agnatus P. biuncus P. curtus P. geminatus P. jansoni P. maritimus P. pseudocupulatus pseudocupulatus P. shoreanus bifurcus P. solidus Diaporinae Diapus pendleburyi D. pusillimus.
        4,200원
        676.
        198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배나무 붉은별무늬병은 1973년이래 해마다 발병이 증가하여 1975연에는 발병엽율 에 달하였으며 1974년 향나무 재식규제조치이후 감소하였다. 붉은별무늬병원균의 동포자발아 시기는 4월중순부터 5월중순까지 였으며 인공강우에 의하여 그 발아시기를 5일 전에 알 수 있었다. 성숙한 동포자퇴의 포자발아에는 3시간 이상의 계속되는 비로서 상당량의 강수가 필요하였다. 배나무의 감염은 강우중이나 강우직후에 이루워지고 있었으며 강양 24시간 이후의 감염은 없었다. 감염후 배나무에서의 잠복기간은 일이었다. 배나무와 향나무사이의 지리가 100m 이내인 경우에는 거의 모든 배나무가 발병하였으나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발병율도 감소하였으며 2km 이상에서는 발병이 없었다.
        4,000원
        677.
        197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적성병균에 감염된 배나무 잎에서 건전부위, 병반인접부위 및 병반부위별로 몇가지 가수분해효소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Cellulase (Cx), Invertase 및 의 활성은 감염부위에서 보다 건전부위에서 더 높았고 모두 pH 7.0부근인 중성측에서 최대활성이 나타났다. 2. Pectinmethylesterase, Polygalacturonase 및 Phosphatase의 활성은 병반인접부위에서 높았다. 3. Pectinmethylesterase의 활성은 건전부위와 병반 및 그인접부위 간에 pH에 따라 심한 활성차리가 인정되었다.
        3,000원
        678.
        197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xytetracycline HCI의 대추나무 비짜루병 방제효과를 구명할 목적으로 병든 대추나무(15-20년생, 흉고직경 20cm 내외)에 oxytetracycline HCI의 1,000 p.p.m. 수용액을 1회에 500ml씩 시기별로 각각 1회(4월), 2회(4월, 7월), 30(4월, 6월, 8월) 그리고 대추 수확후 1회구(10월)로 나누어 수간에 주입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수간주입당년에 있어서는 시기별 주입회수에 관계없이 1회 이상의 수간주입으로 비짜루병징이 완전히 억제되고, 정상엽이 자라나면서 개화결실하였다. 2. 2회이상 주입한 나무와 10월에 1회주입한 나무에서는 이듬해 가을까지도 병징억제효과가 지속되었으나 4월에 1회 주입한 나무에서는 이듬해에 부분적으로 경미한 병징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3. oxytetracycline HCI에 의한 병징억제효과는 수간주입부위의 윗쪽에서만 나타났으며, 그 이하부위와 약액이 주입되지 않은 측지에서는 병징이 억제되지 않았다. 4. oxytetracycline HCI의 5.000 p.p.m. 수용액을 주당 30ml씩 주입하였을 때는 전혀 병징이 억제되지 않았다.
        3,000원
        679.
        197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배나무 줄기벌의 유충을 수체내에서 채집하여 두폭을 측정하여 영기를 판정함과 동시에 성충비를 알아본 바 다음과 같다. 1) 유충의 두폭의 변이곡선은 구분된 6개의 계곡으로 나타나는데 이것은 5회의 탈피를 하여 6영을 지내는 것으로 추정된다. 2) 두폭의 표준편차는 1영과 2영이외에는 영이 커짐에 따라 커졌으며, 변이계수는 영이 커짐에 따라 줄어지는 경향이었다. 그리고 성장비는 1-2영시는 크고, 영이 높아짐에 따라 적어졌다. 3) 배나무 줄기벌 유충의 두폭성장 추정에는 Dyar식 보다 Gains와 Campbell식이 더욱 적합하였다. 4) 유충 영기는 피해 정도로 보아서 다음과 같이 추정된다. 즉 2-4영의 유충 피해는 극히 적으며 피해증상이 나타나지 않으나 5-6영시 피해는 급진적이며 외형으로 피해가 나타난다.
        4,000원
        680.
        197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outbreak of apple scab was found on the apple seedlings growing in Korea which were imported from Marylang, U.S.A. in 1972. Symptom of apple scab is much similar with pear scab caused by Venturia pirina except that the round spot on leaves, more lesions on upper side of leaves and much severe symptoms appeared on both side of leaves. About of plants were infected in 1972 and 1973,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