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aims to classify types of work-life balance among employees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LPA) and investigate variations in depressive symptoms and satisfaction with working conditions across these types. Data were derived from the 6th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KWCS), conducted between 2020 and 2021, which included a sample of 49,479 employed individuals. The LPA revealed three distinct profiles of work-life balance: Low Balance (18.5%), Moderate Balance (72.9%), and High Balance (8.6%).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pressive symptoms and satisfaction with working conditions were observed among these profiles. Specifically, the Low Balance group exhibited the highest levels of depressive symptoms and the lowest satisfaction with working conditions, while the High Balance group displayed the lowest depressive symptoms and the highest satisfaction.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critical role of work-life balance in influencing both depressive symptoms and job satisfaction among workers.
The health and working conditions of employees have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issues in modern society.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continuous rise in problems related to the deterioration of workers’ alth, which seriously affects their safety and overall quality of life. Although existing research has investigated various factors affecting workers’ health and working conditions, there is still a lack of studies that scientifically analyze and identify key variables from the vast number of factors. This study employs the Lasso (Least Absolute Shrinkage and Selection Operator) technique to mathematically analyze the key variables influencing workers’ health status and satisfaction with their working environment. Lasso is a technique used in machine learning to identify a small number of variables that impact the dependent variable among a large set of variables, thereby reducing model complexity and improving predictive accuracy.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utilized in efficiently improving workers’ health and working environments by focusing on a smaller set of impactful variables.
이 연구의 목적은 사립대학 교양체육수업을 수강한 대학생의 회복탄력성이 대학생활만족도와 그릿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교양체육 수업을 수강한 비체육전공 대학생 28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 였다. 이 연구의 자료처리를 위해 설문지의 응답 내용을 자료화하였고, 통계프로그램 SPSS 23.0과 AMOS 21.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SPSS 23.0에서는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AMOS 21.0을 활용하여 연구모형의 통계적 적합도를 파악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도출된 CFI, Tucker-lewis(TLI), RMSEA 등의 값을 검토하였다. 첫째, 모형 1은 교양스포츠를 수강한 대학생의 회복탄력성이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대학생활만 족도가 그릿의 흥미지속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둘째, 모형 2는 교양스포츠를 수강한 대학생의 회복탄력성이 대학생활만족도와 대학생활만족도가 그릿의 노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교양스포츠를 수강한 대학생의 회복탄력성이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대학생활만족도 가 그릿의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t is considered that a skincare shop is one of important places for skincare and beauty care. Due to increasing daily stres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recently, healthy skin is getting important and more people are visiting skincare shop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laporte of skincare shop workers on customer reliability and satisfaction with a focus on women in twenties and thirties, and those of reliability on customer satisfaction, aiming at providing basic information for active management of skincare shops. For the purposes, this study used a questionnaire to collect the data and using SPSS 25.0. conducted a frequency test,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 correlation analysis and a reliability test to analyze the data collect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discovered that laporte of skincare shop work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 reliability and satisfaction and reliab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It suggested that relationship between skincare shop workers and customers is very important for skincare shop management.
본 연구는 풋살장 시설의 물리적 환경이 고객만족 및 재방문 의사에 어떠한 영향을 살펴보고자 2022년 5월 29일부터 2023년 10월 28일까지 풋살장 30곳을 이용자를 설정한 후 335명을 유효 표본으로 선정하여 결과 분석에 이용했다. 자료처리는 SPSS(ver. 25.0) 프로그램을 활용했다. 연구 결과 첫째, 인구통 계학 특성에 따른 차이 검증 결과, 성별, 연령, 이용횟수에서 통계적으로 부분적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운동경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풋살장 시설의 물리적 환경이 고객만 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시설 환경, 공간성, 편의성 순으로 고객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풋살장 시설의 고객만족이 재방문 의사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풋살장 시설의 물리적 환경 4개의 하위요인 중 시설 환경, 공간성, 편의성 순으로 재방문 의사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프로야구 관중의 관람만족이 재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관람결정요인의 조 절효과를 규명하였다. 분석 대상은 프로야구 경기장에 직접 방문하여 관람한 관중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 으며, 2024년 5월 20일 ~ 6월 25일까지 총 457명에게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6.0 통 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단순회귀분석, 조절효과 분석을 실시하였 다. 분석 결과, 첫째, 관람만족은 재관람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람만족과 재관람의도 관계에서 관람결정요인인 경기장 시설, 경기력, 가격, 촉진요인 모두 정적인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프로야구 경기장 시설, 경기력, 가격, 촉진 등의 관람결정요인이 관람만 족과 재관람의도 관계를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는 의미로써 관람결정요인에 대한 운영과 관리가 잘 이루어 진다면 프로야구 관중 증대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연구는 중국 기악연주 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전공선택 동기가 학습몰입과 연주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 다. 이를 위해 2024년 3월 20일부터 2024년 4월 10일까지 중국 산시성 지역에서 기악연주를 전공하고 있는 대학생 1,153명을 통해 설문지를 수 집하였다. 수집된 설문지는 SPSS 23.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 통계 분석, 단일표본 t -검증, 일원 배치 분산분석, Pearson 상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기악연주 전공 대학생의 전공만 족도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교수법과 프로그램을 제공하는데 필요한 기 초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중국 기악연주 전공 대학생의 교육의 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바람직한 방향 제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에도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연구는 코로나 팬데믹 이후 호텔전공 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가 취 업 준비 행동 간의 영향 관계를 검증하였다. 조사대상자 260명의 응답을 바탕으로 가설검정 결과 교과 만족, 인식 만족, 관계 만족이 모두 취업 준비 행동에 부분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식 만족이 높을수록 직간접적 취업 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높았 다. 본 연구는 학문적으로는 인식 만족이 높을수록 취업 준비 행동에 높 은 영향 관계를 맺는 것에 주목하여 사회적 인식의 변화가 호텔산업 고 용시장의 구인난을 해결하는데 촉매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밝혔고, 실무 적으로는 다양하고 혁신적 교수법과 교과목 개발, 실무수업과 이론 수업 의 적절한 조합, 학생 맞춤형 상담과 취업지도, 커뮤니케이션 강화 등을 통해 호텔 전공학생의 전공만족도를 향상하고 이를 바탕으로 취업 준비 행동을 촉진 시킬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조직갈등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에 사용한 데이터는 전 라북도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292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서베이 자료를 활 용하였다. 분석 모델은 독립변수는 직무스트레스, 종속변수는 직무만족 도, 매개변수는 조직 갈등으로 선정하여 Baron과 Kenny(1986)의 매개 효과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도에 유의 미한 부적 영향(-) 관계임이 규명되었다. 또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도의 관계에서 조직 갈등의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러한 결과는 직무스트레스가 높아질수록 조직 갈등이 높아지고 높아진 조직 갈등은 사회복지종사자들의 직무만족도를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하 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회복지종사자들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 해서는 직무스트레스와 조직 갈등을 완화할 수 있는 조직관리 방안 마련 의 필요성을 강력히 시사한다.
In a situation where the importance of eco-friendly fashion is growing, this study adds to the needed research by analyzing consumption value satisfaction factors, brand image, and repurchase intentions of eco-friendly fashion products. During the investigation, the impact of gender was also accounted for to establish an effective marketing strategy. In June 2024, 250 surveys were evaluated from domestic consumers with experience purchasing eco-friendly fashion product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Five factors were measured to determine satisfaction with the consumption value of eco-friendly fashion products: emotional value, functional value, social and situational value, passive value, and rare and eco-friendly value. Empirically subdividing satisfaction with eco-friendly fashion as recognized by consumers reveals meaningful findings about consumption value. Among the factors of consumption value satisfaction with eco-friendly fashion products, functional value, social and situational value, and rare and eco-friendly value all positively affected repurchase intention. The consumer’s gender also made a difference in satisfaction. Considering these results, the marketing effect of eco-friendly fashion can be increased. This study will be able to increase the ESG management effect of fashion companies. By performing ESG management, the fashion industry can achieve social and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along with sustainable growth.
The Metaverse’s virtual world is used in various industries and is expected to continue to grow in the future. In addition, the Metaverse is a new type of society that integrates various new technologies, and NFT products play an essential role. Therefore, NFT product characteristics and industry trends should be assessed to revitalize the NFT market. To this end, this study confirms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resence and NFT product characteristics in the Metaverse environment and examines the impact of each characteristic on consumer satisfaction and continued engagement intention to NFT product. Statistical analysis such a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using IBM SPSS Amos was conducted on data collected through a survey targeting male and female Korean consumers in their age group 10 to 50. Study results indicate that social presence significantly impacted all characteristics of NFT products (authenticity, scarcity, rarity, collectability, and interactivity). Scarcity and authenticity significantly impacted consumer satisfaction, and both authenticity and consumer satisfaction significantly impacted continued engagement intention. Thus, effective product development and marketing strategies can be established only by presenting different emphasized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type of NFT product and the Metaverse’s social presence.
본 연구의 목적은 피부미용 온라인교육의 특성요인을 도출하고 이들 요인이 교육만족도와 교육 지속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온라인교육 특성과 교육지속의도 간 관계에서 교육만족도가 어떠한 효과를 가지는지 분석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피부미용 온라인교육 경험자인 서울 및 수도권 거주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3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설문조사를 진행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 계 프로그램인 SPSS 26.0을 이용해 기술통계, 탐색적 요인분석, 회귀분석, SPSS 프로세스 매크로 4번 모형 (mediation conditional process analysis)을 활용한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이용한 매개효과 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절차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피부미용 온라인교육의 교육품질은 편의성과 신뢰성 요인이, 강사특성은 학습자 이해, 피드백의 신속성, 전문성, 매력성, 진실성 요인이 도출되었다. 둘째, 편의성, 신뢰성, 학습자 이해, 피드백의 신속성, 전문성, 매력성이 교육만족도에 유의한 정적(+) 영 향이 나타났다. 둘째, 교육만족도는 교육지속의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지속의도에는 편의성과 피드백의 신속성, 전문성, 매력성이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학습자의 이해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육품질 및 강사품질과 교육지속 의도 간 관계에서 교육만족도의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중 강사특성의 피드백의 신속성이 교육만족도와 교육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온 라인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분석이 제외된 것을 한계점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성인 학습자의 대학동아리 활동 만족도와 지속 요인이 학업 스트레스 간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성인 학습자의 동아리활동과 학교생활에 더욱 만족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구·경북 지역 25세 이상 성인학습자 250명을 대상으로 2020년 9월 25 일부터 2020년 11월 24일까지 직접 방문 및 구글을 활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215부로 이중 불성실한 응답을 한 4부의 설 문지는 제외하고 총 211부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성인 학 습자의 대학동아리 활동 만족도는 자아존중감과 학업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 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만 성인 학습자의 동아리 활동 지속 요인 은 자아존중감, 학업 스트레스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성 인학습자의 대학동아리 활동 지속 요인이 학업 스트레스 간 관계에서 자아 존중감의 완전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대학동아 리 활동이 성인 학습자의 자아존중감을 향상 시키고 학업 스트레스를 완화 함을 시사한다.
In this study, based on previous research on personal broadcasting, we indirectly measured content quality, YouTuber attributes, user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which are latent variables that cannot be directly measured, as measurement variables, and then measured theoretically between the latent variables. In order to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 we us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determine to what extent the content quality of the YouTube mukbang channel and the YouTuber's attributes influence behavioral intentions such as purchase, recommendation, and continued use according to viewers' satisfaction with use. We intend to analyze and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ed variable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value, relevance, timeliness, completeness, and data quantity of content quality were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impact on user satisfaction. Second, the trustworthiness, expertise, attractiveness, and intimacy of YouTuber attribute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user satisfaction, but the similarity of YouTuber attributes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usage. Third, user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behavioral intentions and purchase intentions. However, user satisfaction was not found to have a direct significant impact on recommendation intentions or continued usage intentions.
영향 관계를 분석하고, 그 영향 관계에서 직업가치관의 매개적 역할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S시와 K시의 성인대학생 3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중 응답에 누락이 있거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14 부를 제외한 총 306부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 다. 첫째, 전공선택과 직업가치관이 전공만족도에 정적으로 유의미하게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인대학생의 전공선택이 전공만족도 관계에서 직업 가치관이 부분매개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성 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직업 가치관 그리고 전공선택과 직업가치관이 전 공만족도에 긍정적 효과를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에 성인대학생이 직 업가치관 형성을 통한 전공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년여성의 여가 활동과 생활 만족도의 관계에서 여가몰 입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K지역에 거주하고 있 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2024년 3월 1일부터 3월 31일까지 250부 중 불성실한 응답 8부를 제외하고 총 242부를 유의표집으로 표본조사가 이루 어졌다. 본 연구 결과, 첫째, 중년여성의 여가활 동은 생활 만족도에 긍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중년 여성의 여가몰입은 생활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어 통계적으로 유 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중년여성의 여가 활동과 생활 만족도와의 관계 에서 여가몰입이 부분 매개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년여성의 생활 만족도를 증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한계점으로 중년여성의 여가 활동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단계이기 때문에 본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제한 점이 있다. 중년여성의 여가 활동에 대한 다각적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1인 가구구성원과 다인 가구구성원 간에 주거환경 만족도 차이를 규명하고, 반려동물이 1인 가구구성원의 주거환경 만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22년 서울서베이 가구주조사’ 원시 데이터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SPSS 21.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T- 검정,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주거환경 만족도는 1인 가구구성원 보 다 다인 가구구성원이 더 높았다. 둘째, 1인 가구구성원의 경우 반려동물을 소유할수록 주거환경 만족도가 증가하였다. 셋째, 1인 가구구성원의 경우 반려동물(개, 고양이 제외) 수가 증가할수록 주거환경 만족도가 감소하였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1인 가구구성원의 주거환경 만족도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써 개나 고양이와 같은 반려동물 소유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differences in the purchase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of customers who buy clothing products from online platforms. The participants were teenage individuals to those in their 50s residing in Busan, Ulsan, and Gyeongsangnam-do. The data were examined via factor analysis, a t-test, Analysis of variance(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two-way ANOVA,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factors for satisfaction with clothing products from online platforms were wearing comfort and quality, design, and price and purchase convenience. The findings revealed that purchase satisfaction based on these factors significantly varied among the participants depending on marital status, age, and occupation. Satisfaction with wearing comfort, quality, and design differed by gender. Satisfaction with wearing comfort, quality, and price and purchase convenience varied by type of purchase and type of online platforms. The interaction effects among the variables that affected purchase satisfaction were as follows. The interaction effects among the variables for wearing comfort and quality showed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gender and type of purchase and between occupation and type of online platforms. Those for design showed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marital status and age, between age and occupation, and so on. The interaction effects for price and purchase convenience showed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marital status and gender and between age and occupation. The results on repurchase inten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ch intention by marital status, age, and occupation. Repurchase intention was influenced by wearing comfort and quality, price and purchase convenience, design, and 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