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58

        341.
        199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부등침하를 받는 매설관 기초지반 보강의 적용성과 지반보강 상호작용에 의하여 매설관 연결부 하부에서의 부등침하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에 관하여 다루었다. 매설관의 일단이 구조물에 고정되어 있는 경계조건에 대하여 상호비교하여 지반보강에 따른 응력전이 효과와 이로인한 배설관 침하억제 효과를 수치적으로 분석하였다.
        4,000원
        342.
        199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상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Karman의 적분 방정식에 미소 거칠기 영향을 고려함으로서 디퓨져 닥트 표면의 경계층 계산에 응용한 결과 모멘트 적분법 및 실험치와의 비교에서 개선된 결과임이 확인되었다. (2) 국소 거칠기의 효과를 주는 방법으로는 Cole의 벽 및 와 법칙에 Clauser의 거칠기 함수와, 압력 기울기를 고려한 부가 형상계수 값으로 적분 방정식에 응용할 수 있다. (3) 국소 거칠기 분포에 의하여 경계층 특성을 교란시켜 표면 마찰력 계수를 줄일 수 있어 마찰력 손실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4,000원
        343.
        199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SG의 맛 표현용어를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분석하고 관능검사를 통한 MSG의 감응역가를 다른 기본 맛의 역가와 비교하였으며, MSG가 다른 기본 맛 성분에 첨가되었을때 일어나는 맛의 강도변화를 관능적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96명의 설문 응답자로부터 수집분석한 자료에 의하면 MSG 자체의 맛은 느끼한 맛(58%)과 역겨운 맛(24%)으로 주로 표현되었으나 음식에 첨가됨으로써 기대 되는 맛은 감칠 맛(79%)으로 주로 표현(表現)되었다. 관능검사자들이 MSG 수용액을 직접 맛보고 표현한 용어로는 최소 감각농도 부근의 낮은 농도에서는 느끼한 맛, 쓴맛, 단맛 등이 감지되었으나 최소 감미농도 이상에서는 느끼한 맛과 짠맛이 주로 표시되었다. MSG 수용액의 최소 감각농도는 0.002mole 수준이었으며 최소 감미농도는 0.006mole 수준이었다. MSG와 기본 맛 성분(成分)과의 상호작용을 보면 MSG가 식염용액에 첨가되면 짠맛의 상승작용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MSG가 설탕용액에 첨가되면 첨가된 MSG 농도가 낮은 때(0.01M)에는 다소 단맛의 상승효과를 나타내었으나 MSG 농도가 높아지면 단맛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MSG를 구연산용액에 첨가했을 때는 전반적으로 신맛의 억제효과가 나타났다.
        4,000원
        346.
        198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Rayleigh파, 전단파 및 압축파의 영향을 동시에 해석할 수 있는 주파수 종속 무한요소와 이를 이용한 지반-구조물의 동적상호작용의 해석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방사적으로 전파되는 응력파의 성분에 대한 무한요소와 아울러 매립(Embedded)기초나 적층(Layered)지반을 해석하기 위하여 수평으로 전파되는 파를 해석할 수 있는 무한요소를 개발하였고, 요소행렬 구성하기 위한 적분시 하나의 파성분만 존재하는 경우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적용되었던 Newton Cotes 적분과 유사한 방법을 Multi-Waves 문제에 알맞게 확장 적용하였다. 이 방법의 타당성은 반무한, 균질 지만의 위에 놓여있는 원형강판과 지반에 묻혀 있는 원통형 강체기초의 Compliance 함수를 구하여 기존의 문헌에 발표된 값과 비교함으로써 검증하였다. 예제해석은 지진하중을 받는 원자력발전소 격납구조를 대상으로 하여 수행하였으며, 매립깊이의 크기, 지반의 재료감쇠 및 지반의 모형기법에 따른 구조물-지반의 상호작용의 해석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4,200원
        347.
        198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se studies were undertaken to examine the interaction of tamoxifen with sex steroid hormones in rat uterine activity. The uterine wet weights of the immature Tat uterus were examined after the administration of estradiol-l7(1g), tamoxifen(50g), progesterone(lmg). The uterotropic activity in immature ovariectomized rats was observed under various treatment conditions following pretreatment with above drug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1) Tamoxifen produced significant increase (p <0.01) in uterine wet weight compared with control group, although the increase was not as great as that seen with estradiol-17. Administration of estradiol-17 together with tamoxifen inhibited significantly the increase of uterine wet weight by estradiol-17 (p < 0.01). Coadministration of progresterone with tamoxifen partly blocked the increase of tamoxifen-induced uterine wet weights by progesterone. 2) Estradiol-17after the estradiol-17 pretreatment discontinued the declining uterine wet weights due to the absence of estrogen support, but uteri continued to increase in weight if daily estradiol-17 was maintained. Administration of tamoxifen on the fourth day of estradiol-17 treatment reduced uterine wet weights within 24 hours, and the weights continued to decline with additional tamoxifen. 3) The modest growth of the uterus induced by three daily injections of 5Opg tamoxifen remained stable for five days, with or without additional tamoxifen treatment. Coadministration of tamoxifen with estradiol17 increased slightly the increase of uterine wet weight by tamoxifen. Coadministration of tamoxifen with progesterone inhibited the increase of uterine wet weight by tamoxifen. 4) The modest growth of the uterus induced by three daily injections of lmg progesterone reduced uterine wet weight to the control level for five days. Commencement of tamoxifen or estadiol-17 injections on the fourth day of progesterone treatment rapidly elevated uterine wet weight.
        4,200원
        348.
        198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뿌리썩음증상은 병징에 따라 3가지로 대별되었다. 뿌리썩음증상은 Pythium aphanidermatum을 선접종 후 Fusarium solani를 후접종 하였을 때 가장 심하였다. 뿌리혹선충과 Phthium aphanidermatum과의 상호작용은 없었다. 근경 발아는 각 처리에서 현저히 증가하였고 Alliette 0.25% 처리에서 가장 높았다. 토양관주에 의한 치료 및 예방효과는 Alliette, Burgandy mixture, 다이센 M-45, 디포라탄이 우수하였으며, 수량도 증가하였다.
        4,000원
        349.
        198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teraction of dietary Magnesium, Calcium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vegetable oils)on 3-Hydroxy-3-Methylglutaryl Co-A reductase activity was studied for a period of 30 days using isocalories and isonitrogenous as a basal diet . The subject rabbits were divided into 18 feeding group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ratio of α1-lipoprotein par lipalbumin is 0.34 for control group, 0.38 the highest group fed 0.1 Mg(II) 10ml plus perilla oil and basal diet, the lowest 0.25 group fed 0.1M Mg(II) 5ml plus sesame oil and basal diet. 2. The ratio ratio of α2-lipoprotein per lipalbumin is 0.64 for control group. 0.95 as the highest for the group fed 0.1M Ca(II) 15ml plus sesame oil and basal diet, 0.1M Ca(II) 5ml plus perilla oil and basal diet. 3. The ratio of β-lipoprotein per lipalbumin is 0.71 for control group, the highest 0.81 for the groups fed 0.1M Mg(II) 10ml plus sesame oil and basal diet, the lowest 0.37 for the group fed 0.1M Mg(II) 15ml plus soybean oil and basal diet. 4. In serum triglyceride, control group was 129.5mg%, the highest 155.4mg% for the group fed 0.1M Ca(II) 5ml plus sesame oil and basal diet, the lowest 85.7mg% for the group fed 0.1M Mg(II) 10ml plus soybean oil and basal diet. 5. In serum cholesterol, control group was 96.7mg%, the highest 152.5mg% for the group fed 0.1M Ca(II) 10ml plus sesame oil and basal diet, the lowest 80.5mg% for the group fed 0.1M Mg(II) 15ml plus soybean oil and basal diet. 6. In case of HMG-CoA reductase activity, control group was 0.95, the highest 0.98 for the group fed 0.1M Ca(II) plus soybean oil and basal diet. 7. Interaction between metal(II) ions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vegetable oil) are soybean oil〉sesame oil〉perilla oil, for Mg(II). soybean oil〉perilla oil〉sesame oil, for Ca(II). Therefore, it is invetigated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metal ion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 is the higher, the cholesterol level is the lower, and HMG-CoA reductase activity is increased.
        4,000원
        350.
        198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inte actions between recipients and embryos to compare pregnancy rates in bovine embryo transfer, such as synchrony and stage of embryos, synchrony and quality of embryos, synchrony and side of uterine horn, and preservation time and stage of embryos. Fifty-two embryos were transferred by surgically to 42 Holstein heifers, 3 Holstein cows and 7 Korean native heifers from Feb., 1985 to June, 1986.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trial of interactions between synchrony and embryo stage, recipients synchronired from- hours to + 12 hours in synchrony and embryos from morulac stage to advanced blastoctyst stages showed reason able pregnancy rate. 2. Excellant (A) and good (B) grade embryos showed good pregnancy rate, 81.8% and 73.3% respectively, but fair (C) grade embryos showed poor, 25% only at the same boundary of recipient synchrony. 3. More recipients had corpus luteum on the right ovary than the left, and also had better pregnancy rate (26/32 vs 13/20,81.3% vs 65%). 4. A good pregnancy rates (over 60%) were obtained with the embryo transferred 17hrs after flush at room temperature or field condition in culture medium.
        4,000원
        351.
        198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상의 연구로부터 결론은 아래와 같다. 1. 점성저항과 조파저항 성분의 상호작용에 대한 어떤 측정 근거를 산출하였다. 2. Froude의 가정 ∂C sub(t)/∂R-dC sub(f)/∂R은 부정확하다는 것을 밝혀둔다. 3. 거친 표면을 가지는 모형선에 대한, 상응하는 결과는, 완전히 다른 결론을 산출할 것이라고 기대한다. 4. 다른 기하학적 동일선의 결과에 기본 마찰곡선을 적용하여 이와 같은 연구를 반복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남겨둔다.
        4,000원
        353.
        202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은 고등 교육 발전의 핵심 과제이며, 이를 실현하기 위해 교사는 교육 개혁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교육 방법을 계속 최적화해야 한다. 이 논문은 제2외국어인 한국어 수업 실천을 바탕으로 이론 연구를 통해 교과 과정의 이론적 기초를 확립하고 설문 조사 등 방법을 통해 현재 제2외국어인 한국어 수업의 문제점을 분석한 다음 이론과 실천을 결합하여 수업 과정에서 ‘사례식-계발식-상호작용식’ 수업 모델을 통합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모색하여, 제2외국어인 한국어 수업의 ‘사례식-계발식-상호작용식’ 다차원 교수 모형을 형성하고자 한다. 다른 비슷한 수업의 교수법 개발에 참고를 제공할 수 있기를 바란다.
        354.
        202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예술작품과 감상자 간 거리는 그 어느 때보다 가까워졌고, 감상자의 적극적 참여가 강조되는 상호작 용예술이 주목받는 현실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작품은 감상자가 일정한 규칙을 따르면 그에 대한 결과를 내놓는 다소 한정 적인 경향을 띤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연구는 상호작용예술의 다변적 결과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인공생명 예술을 제시하였고, 그 상호작용성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다소 생소한 개념일 수 있는 인공생명과 인공생명예술의 이론적 배경에 대해 알아본 뒤 국내외 다양한 인공생명예술 사례를 소개하였다. 보다 명확한 사례분류를 위해 직관적이면서도 단순한 마크베다우의 부드러운, 단단한, 촉촉한 인공생명예술 분류법을 실제 인공생명예술 사례에 적용 한 뒤 각 사례별 상호작용성의 양태와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때 상호작용성의 정도는 상호작용성의 3요소인 속도, 범위, 맵핑의 충족여부를 바탕으로 결정하였다. 이 기준에 따르면 상호작용성이란 사용자가 매개환경에서 얼마나 빠르게 영향력 있으며 자연스럽게 조작이 가능한지 여부에 따라 그 정도가 결정된다. 사례분석 결과, 부드러운 인공생명예술보다는 단단한 인공생명예술에서, 단단한 인공생명예술보다는 촉촉한 인공생명예술에서 작품과 관람객 간 보다 적극적인 상호작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촉촉한 인공생명 형태에 가까울수록 지속적 진화를 거듭하는 생명체의 특성인 창발성이 두드러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창발성은 상호작용성의 3요소를 충족시켜 결과적으로 높은 상호작용성을 이끌어내었다. 다시 말해 관람객 개인 맞춤형 상호작용을 가능케 함으로써, 보다 다변적인 상호작용을 도출해내는데 용이하였다. 본 연구가 상호작용 예술의 다변화를 위한 연구의 밑거름이 되기를 희망한다.
        355.
        201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NCS 직업교육의 평가 방법이나 기준은 일률적이고 주입식이며 직무 중심 교육(지식.기술.소양)으로 인한 패션디자인 창작 활동에 장애가 되는 교육 프로그램으로, 학습자가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을 해 나갈 수 있는 학습경험 플로우의 복합적 상호작용이 필요하다. 이를 검증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학습 상호작용의 요소를 제안하고, 2차 제안된 Personal, Operator, Social Interaction 상호 작용 요소를 통해 자기 주도적 학습 충성도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요소제안을 위해서 수요 조사와 관련 업종 산업체를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자문 위원과 NCS 교육 전문가에게 의견을 수렴하여 요소를 최종 결정하였다. 1차 본 연구에서 제안된 상호작용은 첫 번째 Personal Interaction으로 교육 참가자가 정확한 학습 목표를 위해서 교육과정내용을 학습자에게 제시하여 학습 수행 계획에 따른 목표 성취 의지 및 학습 목표방향 설정에 부합할 수 있도록 하는 요소이다. 두 번째 Operator Interaction 요소로는 학습 목표를 해결하기 위해 교육생에게 주어지는 조력자 도구 요소이다. Social Interaction 요소는 실기위주의 수업이 많은 관계로 모든 교육생이 다 따라갈 수 없는 상황의 가상공간에서 의사소통을 수행 과정에서 제공하여 주도적 학습 경험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요소이다. 위 세가지 상호작용은 학습경험 Flow로 학업성취수준을 높여주는 것뿐만 아니라, 학습과정에 대한 만족감과 성취감, 나아가 자긍심과 미래에 대한 취업 성공을 높여준다고 사료된다. 향후 본 연구에서 NCS학습경험 Flow의 인지적 상호작용이 자기 주도적 학습 충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육 참가자에게 Personal, Operator, Social Interaction에 관련된 요소를 잘 제공해 주는 것이 중요 함을 향후 검증하고자 한다.
        356.
        201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팀 상호작용, 기본심리욕구, 공격성의 관계를 확인하고 팀 상호작용과 공격성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동시에 운동종목에 따른 요인 간 관계의 경로계수를 비교하는데 있다. 방법: 본 연구는 대학 팀 스포츠에 참여하고 있는 남자 대학운동선수 268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으며, 팀 상호작용, 심리욕구, 공격성 검사지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한 후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통해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구조방정식 분석, 다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팀 상호작용과 기본심리욕구는 정적 관계 (p<.05)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본심리욕구와 공격성은 부적인 관계(p<.05)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팀 상호작용과 공격성은 부적 관계(p<.05) 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매개모델과 부분매개모델 간 차이가 유의하고(p<.05), 부분매개모델에서 팀 상호 작용과 공격성의 경로가 유의하여 팀 상호작용과 공격성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는 부분매개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이스하키는 팀 상호작용과 기본심리 욕구 간에 정적관계가 나타났고, 팀 상호작용과 공격성 간에 부적 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럭비는 기본심리욕구와 공격성 간에 부적 관계가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대학 팀 운동선수들의 팀 상호작용과 공격성 및 기본심리욕구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고, X2의 변화량이 크지 않아 종목별 경로계수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종목에 따라 요인 간 관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357.
        201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인류 보편적인 관계형성이 어떻게 이루어 질 수 있는지를 그리스도교의 구원론을 기본으로 T. S. 엘리엇의 작품 『가족의 재회』에 서 탐색한다. 특히 본 연구는 『가족의 재회』의 현 시대에 인간 사회뿐 아니라 신과 관계를 형성하려는 이들에게 어떤 새로운 비전을 제시할 수 있는지를 초기 그리스도교 시대의 메타노이아와 아가페의 상호관계를 통해 규명하고자 한다. 엘리엇의 작품은 많은 그리스도적 전통을 제 시하는 데, 특히 초기 그리스도교의 파레시아 개념은 가족의 재회에 드러난 원죄인식과 인간구원의 관계를 명확하게 드러낸다. 특히 개심의 메타노이아와 신의 은총인 아가페의 개념은 본 작품의 해리와 아가사의 관계에서 드러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개인과 외부의 관계의 상호성을 바탕으로, 비록 개인의 의지만으로 관계를 회복할 수 없지만, 개인이 사 랑을 실천하는 것이 외부의 은총과 관심과 결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 수 있다고 강조한다. 새로운 관계회복은 자기방기와 같은 외부세계에 대한 열린 태도와 개인의 속죄로 더욱 강화될 것이다.
        358.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paper, we develop a virtual experimental environment to investigate users’ eye gaze in human-robot social interaction, and verify it’s potential for further studies. The system consists of a 3D robot character capable of hosting simple interactions with a user, and a gaze processing module recording which body part of the robot character, such as eyes, mouth or arms, the user is looking at, regardless of whether the robot is stationary or moving. To verify that the results acquired on this virtual environment are aligned with those of physically existing robots, we performed robot-guided quiz sessions with 120 participants and compared the participants’ gaze patterns with those in previous works. The results included the followings. First, when interacting with the robot character, the user's gaze pattern showed similar statistics as the conversations between humans. Second, an animated mouth of the robot character received longer attention compared to the stationary one. Third, nonverbal interactions such as leakage cues were also effective in the interaction with the robot character, and the correct answer ratios of the cued groups were higher. Finally, gender differences in the users’ gaze were observed, especially in the frequency of the mutual gaze.
        359.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or effective human-robot interaction, robots ne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context well, but also the robots need to transfer its understanding to the human participant in efficient way. The most convenient way to deliver robot’s understanding to the human participant is that the robot expresses its understanding using voice and natural language. Recently, the artificial intelligence for video understanding and natural language process has been developed very rapidly especially based on deep learning. Thus, this paper proposes robot vision to audio description method using deep learning. The applied deep learning model is a pipeline of two deep learning models for generating natural language sentence from robot vision and generating voice from the generated natural language sentence. Also, we conduct the real robot experiment to show the effectiveness of our method in human-robot interaction.
        360.
        2018.07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영아반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 및 교사-영아 간 상호작용의 관계를 살펴보고,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영아 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인천지역 보육기관에 취원 중인 만 0∼2세반 담임교사 241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반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교사효능감 및 교사-영아 간 상호작용과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교사효능감과 교사-영아 상호작용 간에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영아반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영아 간 상호작용과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은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영아반 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교사-영아 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직무스트레스와 교사-영아 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교사효능감의 중재 역할로서의 중요성을 시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