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18

        981.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 follicular fluid ingredient inhibiting the cumulus oocyte complex (COC) expansion. Thus, follicular fluid or liquid chromatographic fractions of follicular fluid was supplemented in COC culture medium. And COCs were incubated for 48 hours to investigate about cumulus expansion and also the first polar body extrusion.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fluid of medium follicle significantly inhibited the COC expansion. 2. The fluid of large follicle inhibited the COC expansion. 3. Follicular fluid showed six major fractions at retention volumes (RVs) 1.83, 1.91, 2.15, 2.34, 2.53 and 2.74 ml after separation with Superose 12 column. Of the major fractions, fractions RV2.15, RV2.34, RV2.53 and RV2.74 inhibited both COC expansion and polar body extrusion. Especially, fractions of RV2.15 and RV2.53 significantly inhibited COC expansion, oocyte denudation and polar body extrusion. In conclusion, porcine follicular fluid contained a COC expansion inhibiting ingredient (CEI) that may be contained largely in fractions RV2.15 and RV2.53. And CEI may inhibit oocyte maturation by inhibition of oocyte denudation and extrusion of the first polar body.
        4,000원
        988.
        200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으로 담석증, 신장치료 등의 한약제로 많이 사용하는 대왕을 여러 용매를 사용하여 얻은 대왕추출물 분액에 대한 세포독성을 여부를 MTT 정량법, NR 정량법, SRB 정량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1. 추출 용매 methylene chloride, ethyl acetate, butanol, water로부터 얻은 대왕추출물 모두 처리농도에 따라 세포에 미치는 영향이 증가하였다. 2. Butanol을 용매로 사용하여 얻은 대왕추출물 분액이 다른 3가지 용매로부터 얻은 대왕추출물보다 세포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나타났고 water를 용매로 사용하여 얻은 추출물이 A498세포주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3. Butanol을 추출 용매로 하여 얻은 대왕추출물이 A498세포주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컸는데 그 추출물에 대한 MTT_50, NR_50, SRB_50값은 각각 0.63㎎/m1, 0.65㎎/m1, 0.68㎎/m1이었고, 가장 영향이 적은 water의 경우 MTT_50, NR_50, SRB_50값은 각각 0.84㎎/m1, 0.82㎎/m1, 0.80㎎/ml이었다. 4. 정량방법 간의 대왕추출물에 대한 반응은 MTT 정량법이 가장 민감하게 나타났다.
        4,000원
        995.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929 세포를 배양하여 현재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8 개 회사의 Alcon Optiso와, Ciba SOLO care hard, Allergan Total Care, Boston Simplicity, B&L Wetting and Soaking Solution, Menicon pharma 02 Care, 새 한 Aquas - multi, 중외 제 약 앵 피 에스액 둥 8종류의 가스투과성 경성 콘택트렌즈를 위한 MPS를 25% 농도로 배양세 포에 처리하고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MTT, SRB assay 그리고 NR assay로 세포 수준의 독성을 검정하였다. L929세포에 MPS를 처리하여 MTT assay한 결과 4종류 의 MPS 에서 세포 중식 저해율이 30% 이상으로 나타났고, 3종류의 MPS는 대조군과 유사하였다. SRB assay의 경우는 2종류를 제외한 모든 제품에서 30% 이하의 세포 중식 저해율이 나타났다. NR assay는 6종류의 MPS 에서 세포 증식 저해용이 30% 이상으로 나타났고 2종류의 MPS는 대조군과 유사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일부 제품의 RGP 렌즈용 MPS가 L929세포 중식올 저해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996.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시중에서 유통되는 눈물분비 부족 및 접액부족으로 인한 안구건조증상 의 해소와 하드 콘택트렌즈의 윤활제로서 사용되는 인공누액(Artificial Tears) 10종 류와 렌즈 세척 후 행꿈과 습용 및 안구 세척에 이용되는 둥 가장 전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점안제인 생리식염수(S머ine) 7종류를 배양 생쥐섬유모세포(L929 cell)에 25% 농도로 처리하고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ELISA Reader(multi well microplate reader)를 사용해 MTT와 SRB Assay로 세포증식 저해 정도률 검정하였다. MTT Assay 결과, 인공누액의 경우 10종류 중 6종류 제품에서, 40% 이상의 세포증식 저해 가 나타났으며 식염수에서는 7종류 중 3종류에서 40% 이상의 세포중식 저해를 나타 냈다. SRB Assay결과, 인공누액 5종류에서 60% 정도의 세포중식의 저해와 식염수 3 종류에서 40% 이상의 세포중식 저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일부 제품의 인공누액과 식염수에서 L929 세포중식올 저해하 는 것으로 사료된다.
        4,200원
        997.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소프트 콘돼트렌즈의 재질파 보관용액에 의한 세포독성과 홉수 스펙트럼에 대한 홉광도를 비교하여 상호간에 관련이 있는지 여부를 조사하기 위해 본 연구롤 시행하 였다.7 개 제품의 각 제품별로 16 개 렌즈를 5ml의 증류수가 들어있는 병에 넣어 12 1 "C에서 1 시간 동안 용출하였다. 전에 연구한 배양세포 증식저해 시험에 대한 결과를 토대로 용출액과 보관용액에 대한 홉광도를 UV Spectrophotorne따를 이용하여 220- 350nm에서 측정하였다. 고함수 이온성 재질인 2 개 제품의 용출액과 보관용액의 홉 광도는 220-240nm에서 기준값보다 높게 나왔으나 241-350nm에서는 모두 훨씬 낮은 값올 나타내어 투명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용출액과 보관용액의 세포독성과 홉광도와는 거의 관련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