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 6월부터 1999년 9월까지 채집된 한국산 꾹저구, 무늬꾹저구, 검정꾹저구 3종의 성별에 따른 형태적 특징을 비교 분석하였다. 한국산 꾹저구속 3종은 암컷과 수컷 모두 측정한 13개의 형질 중 꼬리지느러미 길이를 제외한 12개의 형질에서 종간에 유의적 차이가 인정되었고, 이들 3종간에 각 차이의 유무를 알아보기 위한 다중비교분석 결과, 암컷의 경우 3종 모두 종간 구별이 되는 형질은 6개의 형질 즉, 체고, 두장, 미병장, 미병고, 문장, 가
한국산 수중다리뭉툭맵시벌속과 곤봉쿵툭맵시벌속은 미기록속으로 밝혀졌다. 연구에서 밝혀진 6종 Hypsicera mokiharai Kusigemati, H. femoralis(Fourcroy), H. rufosa Kusigemati, H. carinata Momoi et Kusigemari, H. nifribasis Momoi et Kusigemati 및 Acerataspos clauata (Uchida)은 한국에서 처을으로 기록된다. 분류형질로서 중요한 두부정면 및 성층사진을 제시하고, Hypsicera속에 관해서는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한국산 애방아벌레송의 분류학적 연구를 수행한 결과 2신종, Fleutiauxellus grandiniger sp. now., F.paryus sp. nov.과 1 신아종, F. curatus coreaensis subsp. nov., 및 1 미기록종, F. yotshuboshi(Kishil,1976)이 확인되었기에 이를 보한다. 한편ㅡ 기기록조으 F. quadrillum(Candeze, 1873)은 표본을 확인하지 못하였으나 분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어 목록에 추가하였다.
한국산 알뾰족반날개속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조사된 8종에서 한국산 미기록종은 다음 7ㅈㅇ으로 밝혀졌다. Sepedolhilus amurensis Schilke, S. fimvriatus(Sharp), S. marshami(Stephens), S. simulans Nakne and Sawada, S. suvarmatus Naomi and Matuyama, S. tiialis(Sharp), and S. varicornis(Sharp). 한국산 알뾰족반날개속에 대한 검색표를 작성하였고, 종을 기재하였으며, 진단 형질을 조식하였다.
한국산 Podabrus속은 Heyden(1887)이 P. heydeni Kiesenwetter를 처음으로 보고한 후, 현재까지 총 9종이 기록되었지만, 5종이 오동정으로 확인되었으며, 3신종, P. jirisanensis n. sp., P. fragiliformis n.sp., P. circumangulatus n. sp.을 발견, 기재하였다. 분포가 의심스러운 P. nigriventris Fischer는 본 논문에서 재확인하지 못하였다. 또한 Cantharinae아과에 속하는 속과 Podabrus속에 속하는 종에 대한 검색표와 채집지 및 해부현미경 사진을 수록하였다.
충남 일원에 분포하는 초염기성 암석과 이에 수반되는 각섬암, 편암, 편마암에 대해 탄성파 및 밀도가 실험실에서 측정되었다. 밀도측정 결과 사문암은 2.6∼2.86g/cm3, 활석은 2.25∼2.81g/cm3, 변성암류는 2.74∼3.07g/cm3의 범위를 갖는다. 이 결과 활석은 사문암으로부터의 변성과정으로 사문암 및 각섬암보다 넓은 범위를 보였다. P파와 S파의 속도는 사문암에서 각각 5719∼6062m/s, 2898∼3351m/s 이고, 활석에서 4019∼5478m/s, 2241/∼2976m/s, 각섬암에서 5375∼6372m/s, 3042∼3625m/s, 편암에서 5290∼5499m/s, 2968∼3137m/s, 편마암에서 4788m/s, 2804m/s를 보였다. P파의 속도는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S파의 속도보다 1.47배 빠르게 증가하였다. 탄성파 속도와 밀도 사이에 비례관계가 성립하며, 특히 밀도에 따른 P파 속도 증가율이 S파 속도증가율보다 약 1.47배 크게 나타났다. 탄성파속도의 이방분석결과 편리와 직각 방향의 속도값이 평행방향의 값보다 높았는데, 특히 변성암이 더 큰 차이를 보이는바, 이는 변성암의 형성이 지체구조성 압력의 영향으로 인한 광역변성작용에 의한 것임을 시사한다. 압력의 변화에 따른 탄성파속도 변화분석 결과 대체로 압력이 20 MPa에서 70 MPa로 증가함에 따라 변성암의 탄성파속도 증가가 다른 암석에 비하여 크게 나타났다. 재계산된 탄성파속도는 각섬암이 이 지역 하부 지각에 대한 탄성파 특성을, 편마암류 및 편암은 상부지각 암석의 탄성파 특성을 지시한다고 생각된다. 한편 사문암의 측정치는 높은 사문암화 정도를 반영하기는 하지만 상부 맨틀의 암석에 대한 탄성파의 특성을 지시한다 볼 수 있다.
Nine strains of pathogenic Vibrio sp. of clinical and environmental origin were examined for the degradation of gelatin, casein and hemolysin which is important to the virulence of this bacterium. Culture filtrates of all nine strains of Vibrio exhibited proteolytic activities. Especially, four strains of V. parahaemolyticus and one V. alginolyticus showed strong gelatin-degrading activity. In terms of hemolytic activity, three V. parahaemolyticus and V. mimicus showed strong β-hemolysis whereas those of strains of V. alginolyticus, V. fluuialis, V. uulnificus examined lacked this activity.
Seventy-four Vibrio strains were isolated from imported frozen seafoods and identified according to their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properties. They included two V. cholerae non-0l sp., two V. diazotrophicus sp., one V. hollisae sp., five V. natriegens sp., eight V. fluvialis sp., and four V. nereis sp. Two of them were not identified as Vibrio species. When these strains were tested using API-20E ket for identification, however, only the results for two V. cholerae and five of the V. fluvialis strains matched the results obtained previously. Due to the importance of detecting V. cholerae from foods, phylogenetic identification of the strains was attempted based on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 of the 16S rDNAs amplified by PCR.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two strains had identical RFLP patterns which were more closely related to that of V. proteolyticus than V. cholerae.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identification of pathogens originated from seafoods demand development of accurate and rapid identification meth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