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7

        101.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industrial by-products such as desulfurization gypsum and C12A7-based slag was used for activating recycling water. Consequently, it was verified via test that workability and compressive strength were not affected on activated-sludge.
        102.
        2015.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oduction of highly concentrated PM10 is in the spotlight as a social issue, and it increases the attack rate of Asthma.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concentration and distribution for PM10 from 2000 to 2011, and investigate its correlation with the death from Asthma. Furthermore,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it by dividing into two cases like including Asian dust and excluding Asian dust because it presented the high concentration when Asian dust was occurred in the spring. This study has found that the annual average concentration distribution of PM10 in Seoul was higher in the central area than the peripheral area. The annual average concentration of PM10 and death from asthma displayed the tendency to gradually decrease. The correlation coefficient for all period was 0.92(p=0.000), and the correlation was 0.84(p=0.001) in case of remove Asian dust. The monthly average concentration of PM10 has increased in the winter and decreased in the summer. The death from Asthma and correlation coefficient for all period was 0.588(p=0.044) and 0.640(p=0.025) in case of removing Asian dust. Although the causes of Asthma had a great diversity, the similar tendency by a factor of PM10 meant that the correlation was high.
        103.
        2014.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 서해안은 조수간만의 차이가 크고 경사가 완만하면서 일조량이 풍부하여 천일염 산업이 발달되어 있다. 지난해 국내에서는 42만439 톤의 갯벌 천일염이 생산되었으며, 이 중 38만 톤이 전남지역 염전에서 생산되어 전국 생산량의 90.8%를 차지했다. 천일염 생산과정에서 고농도의 무기물을 포함하는 간수가 부산물로 발생한다. 간수는 발생원에 따라 탈수염간수(dehydrated salt bittern), 함수(concentrated sea water), 천일염간수(solar salt bittern) 및 숙성천일염간수(bittern from solar salt during storage)로 분류되지만 그 종류에 관계없이 거의 일정한 화학조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서 천일염의 생산, 저장, 가공 중에 발생하는 간수는 매년 10만 톤 이상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처럼 다량으로 발생하는 간수는 식품 가공용 및 폐수 처리용을 제외하고 거의 대부분 폐기되고 있어 이의 처리 비용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 또한 크다. 따라서 이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재활용 방안이 수립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염전 및 천일염 산업에서 대량의 발생하고 있는 폐간수를 마그네슘 생산을 위한 원료 물질 및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을 위한 흡수제로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간수 중의 마그네슘 이온(Mg2+)을 수산화마그네슘(Mg(OH)2)으로 회수하는 침전법과 그 잔류 폐액의 나트륨 이온(Na+)과 CO2를 반응시켜 탄산수소나트륨(NaHCO3)으로 회수하는 암모니아-소다법(솔베이법)을 연속공정으로 적용하고 그 효율성을 평가하였다. 전남지역 B 염전에서 채수한 간수의 주성분 화학조성은 Na+ 55.84±1.50 g/L, Mg2+ 41.77±1.83 g/L, Cl- 125.69±3.06 g/L, SO42- 63.97±0.62 g/L로 해수 평균값에 비해 Na와 Cl은 약 5배, Mg와 SO4는 약 25배 정도 농축된 특성을 보였다. 간수에 1~5 M의 가성소다(NaOH) 용액을 [NaOH]/[Mg] 몰비로 2.5가 되도록 첨가하는 조건에서 Mg의 제거율은 평균 93%였으며, 간수 1 L당 110 g 이상의 침전물을 회수할 수 있었다. Mg의 제거율은 [NaOH]/[Mg]몰비가 증가할수록 즉, pH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여 몰비 2.8 이상, pH 10 이상에서는 99% 이상으로 증가하였다. 이 과정에서 Na 성분이 NaCl 또는 Na2SO4・10H2O 형태로 14~20% 정도 공침하였으나 침전물의 수세과정에서 대부분이 재용해되어 제거되었다. 침전물의 화학적 조성을 평가한 결과 Mg(OH)2의 순도가 94% 정도였다. 간수에 5 M의 가성소다 용액을 [NaOH]/[Mg] 몰비 2.8이 되도록 첨가하는 조건에서 Mg를 침전시킨 다음 잔류하는 여액을 이용하여 CO2 포집실험을 회분식과 컬럼식으로 수행한 결과, 잔류여액의 CO2 흡수량은 25℃에서 5.4 g/L으로 같은 조건 해수의 CO2 포화흡수량 2.9 g/L에 비해 2배 정도 높았다. 이는 해수에 비해 5배 이상 농축된 간수 중의 Na 성분이 이산화탄소와 반응하여 중탄산나트륨(NaHCO3) 등 탄산광물로 침전되기 때문이다. 한편 반응촉매로 암모니아를 3%, 5% 첨가할 경우 CO2 흡수량은 각각 43.2 g/L, 67.0 g/L, 침전물 회수량은 각각 82.5 g/L, 127.9 g/L로 증가하였다. 암모니아 촉매 5%를 첨가하는 조건에서 처리간수의 Na 농도별 CO2 포집실험을 실시한 결과 Na 농도가 증가할수록 침전물 발생량(CO2 흡수량)이 증가하였으며 침전물(X)과 Na 농도(Y) 사이에는 Y(g/L)=0.284X(g/L)+23.03(r2=0.9995)의 선형적 관계를 보였다. 침전물의 화학적 조성을 평가한 결과 NaHCO3의 순도가 97% 이상으로 탈황제 등으로 활용 가능성이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염전 및 천일염 산업에서 발생하는 폐간수를 해수 Mg 회수 및 CO2 흡수제로 활용할 경우 간수 1 톤당 94% 순도의 수산화마그네슘 120 kg과 97% 순도의 중탄산나트륨(중조) 128 kg을 생산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이산화탄소 67 kg 이상을 포집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104.
        2014.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Schmidt 수(σc)에 따른 부유사의 부유 거동 변화 및 흐름 특성의 변화를 살펴본 후, 그에 따라 계산된 성층 흐름의 척도가 되는 Flux Richardson 수(Rif)와 Gradient Richardson 수(Rig)를 근거로 타당한 σc의 범위를 산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부유사의 종류를 점착성 유사와 비점착성 유사로 구분하였으며 진동 흐름과 흐름 조건을 가정하고 1차원 연직 수치 모형을 이용하여 수치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σc가 난류 감소효과와 관계되는 상수인 것에 근거하여 부유사의 존재로 인한 난류 감소효과 고려 여부에 따른 흐름 특성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흐름 조건에 관계없이 σc의 크기에 따라 부유 거동이 일관된 경향을 나타내는 것이 확인 되었으며 난류 감소효과를 고려하지 않는 경우 유속 및 난류 에너지가 과대 산정 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부유로 인한 성층화 조건을 형성하는 Rif 및 Rig의 범위에 기초하여 결과를 분석하고 σc가 0.3에서 0.5의 범위에 해당될 때 성층 흐름 내 유사의 수직 혼합이 유효하게 계산된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105.
        2014.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내로 침투하는 염소이온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스크린프리트 기법으로 염소이온 반응형 부식센서를 개발하고, 센서의 세선 수가 부식반응도 및 민감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을 통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개발된 부식센서를 이용하여 염소이온량에 따라 부식 반응도을 확인하였으며, 센서의 파괴정도에 따른 저항변화에서는 단선형 센서보다 다선형 센서에서 큰 저항 변화를 나타내었다. 또한, 부식센서는 NaCl 수용액의 농도가 높은 만큼 센서의 저항변화가 크고, 콘크리트 내에서 센서 종류에 따른 부식저항은 단선형보다 다선형에서 민감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센서의 매설깊이가 클수록 저항변화 사이클 (cycle)은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부식센서는 염분에 대한 부식반응과 민감도, 저항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었으며, 특히 7세선이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어, 염분의 침투정도를 모니터링 하는데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106.
        2011.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characterized water quality of groundwater and purified water used for drinking water in 30 schools in Gyeongsangbukdo Province.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43% of groundwater and 45% of purified water were not suitable for drinking. Among them, microbial contaminations were the most serious problem. In raw groundwater, the exceeding rates of total colony counts was the highest in August (53.6%). Purified water samples showed higher rate of exceeding drinking water standard for total colony counts while showing lower rate of exceeding drinking water standard for total coliforms and fecal coliforms in March and August. Overall, proper managements for microbial contaminations are required for both groundwater and purified water. Furthermore, special attention should toward students not to drink water when groundwater or purified water exceeds the drinking water quality standard.
        107.
        200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콩과식물의 뿌리혹 형성을 조절하는 신호물질의 확인을 위해 신팔달콩2호의 줄기 수액 단백질 중에서 B. japonicum USDA110의 접종 후 2.5일(DAI)에 20 kDa의 SKTI 단백질이 증가하였다가 7 DAI에는 감소되면서 6 kDa의 작은 크기의 단백질이 증가되었다. 이러한 단백질의 차등발현은 조사한 3종의 콩에서 모두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대원콩에서 가장 두드러졌다. Western 분석으로 7 DAI에서 증가하는 6 kDa 단백질이 SKTI 항체와 특이적 반응을 하는 것으로 확인하여 SKTI가 절단되어 생긴 펩타이드로 추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20 KDa의 SKTI단백질이 콩의 뿌리혹 착생 초기단계인 2.5 DAI에 영향을 주고, 7 DAI로 진행되면서 6 kDa의 작은 크기의 단백질로 분해되어 그 양이 감소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RNAi를 이용하여 유전자 기능이 억제된 형질전환된 모상근의 뿌리혹을 실제 형질전환이 확인된 모상근에 착생된 뿌리혹의 수를 비교한 결과 비재조합 A. rhizogenes을 접종시킨 대조구에 비해 SKTI RNAi 유전자를 형질전환한 모상근에서 모상근 당 착생된 뿌리혹 수가 감소되었다. 실시간 PCR 방법으로 형질전환된 모상근의 SKTI 전사체 수준에서도 상응하는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에 정확한 기작을 알 수 없지만 SKTI유전자가 뿌리혹 형성 초기에 뿌리혹 형성과정에 직간접적으로 관련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Sesbania rostrata의 뿌리혹 발생과정의 Protease 저해제와 같이 뿌리 혹 내의 감염세포 대 비감염세포의 비율을 조절하는 SKTI 발현 억제는 이러한 균형을 교란하여 뿌리혹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108.
        2007.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ntibacterial effects of anodic electrolyzed water against various bacteria were studied in this investigation. Complete inactivation of Gram-positive and Gram-negative bacteria occurred within 15 s after exposure to anodic electrolyzed water. Moreover, 1/2, 1/5 and 1/10 diluted anodic electrolyzed water by adding deionized water showed strong antibacterial effects. However, the inhibitory effect of anodic electrolyzed water on the anaerobe of Propionibacterium acnes was much weaker than that on the aerobes, including Gram-positive and Gram-negative bacteria. The degraded fragments of E. coli cell were observed upon treating anodic electrolyzed water for 1 min by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109.
        2007.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염화물이 함유된 동결수에 의한 콘크리트의 내동해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동결융해 및 표면스케일링 저항성을 평가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한 배합으로서 물결합재비는 0.37, 0.42, 0.47의 3수준, 결합재 방식은 일반 OPC 콘크리트, 고로슬래그 미분말 50%의 2성분계 콘크리트 및 플라이애시 15%와 고로슬래그 미분말 35%의 3성분계 콘크리트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고로슬래그 미분말 50% 및 플라이애시 15%와 고로슬래그 미분말 35%의 혼합 시멘트계 콘크리트의 경우 일반 OPC 콘크리트에 비하여 동결융해 및 표면스케일링 저항성이 상대적으로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내구성 저하가 우려되는 해양 환경 하에서 비래염분 및 비말 등의 해수의 작용에 의한 콘크리트의 내구성 저하현상을 억제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슬래그의 활용이 유효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112.
        200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deals with Korean scrambling. Seeing what the triggering mechanism for scrambling is very interesting, but not easy. In this paper, we discuss a derivational approach to the interpretation of scrambling chains proposed by Saito (2003). According to his claims, scrambling is an instance of an optional operation and it thus need not have any effect on the interpretation. In other words, scrambling is a stylistic rule applied in the PF side of the grammar and it is not semantically effective at all. We have, however, many counterexamples to these claims in Korean scrambling. Additionally, in the so-called Minimalist Program, movement is not optional and free, but it must be triggered by a feature on a head. Therefore, to resolve these problems with his approach, we search for an alternative approach to the interpretation of scrambling and its optionality based on Miyagawa (2003).
        114.
        2001.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낙동강 하구수에서의 변이원성 물질에 의한 오염 상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1998년에 각 계절별로 1회씩 총 4회에 걸쳐 낙동강 하구 10개 지점에서 blue rayon법을 이용한 Ames test를 실시하여, 3환 이상의 다환화합물에의한 변이원성을 조사하였다. 이 중 5월에 공업지역 부근인 제 1지점(하단동 부근)과 제 4지점(장림동 부근)에서 채취된 시료에서 현저한 변이원성이 관찰되었는데, 제 1지점의 시료에서는 S9 mix존재 및 비존재 하의 TA98, TA100 세포주 모두 현저한 용량 의존적 양성반응을 나타내어, 이 지점은 frame shift형의 직접 및 간접돌연변이형 원인 물질과 염기치환형 직접 및 간접돌연변이형 원인 물질에 의하여 오염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또한 제 4지점의 시료에서는 S9 mix존재 및 비존재 하에서 TA98세포주가 양성반응을 나타내어, 이 지점에 대한 변이원성의 돌연변이형은 fram shift형의 직접 및 간접 돌연변이임을 시사해주고 있다. 그러나 7월 이후에는 변이원성이 관찰되지 않았는데, 이는 1998년의 경제성장률의 저하에 기인된 것으로 생각되었다. 한편, 주거지역에 인접한 제 5-10지역의 시료에서는 전 조사기간에 걸쳐 변이원성이 관찰되지 않았는데, 이는 주된 오염원이 생활하수인 이들 지역의 강물이 변이원성 물질에 의해 오염되어 있지 않았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118.
        199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ly, upwelling of anoxic bottom water mass have been frequently observed in northeast part of Tokyo Bay in Japan during summer to autumn. Since the colour of water surface becomes milky-blue or milky-green, the upwelling phenomenon is called `Blue Tide`. The data analysis of field surveys during `Blue Tide` appearance have been performed for understanding the physical features of the `Blue Tide` phenomena in Tokyo Bay. It becomes clear that (1) the formation of the anoxic bottom water correlates well with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surface and bottom waters, (2) there are two necessary conditions for generating `Blue Tide` ; that is, strong stratification and off-shore wind. The strong southwest(on-shore) wind before the `Blue Tide` appearance may play an important role to make the stratification strengthen. When these conditions are larger and the northeast or east-northeast (off-shore) wind stronger than 5 m/s blows in succession, the `Blue Tide` upwelling appears at the head of Tokyo Bay.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