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ground: High-heeled shoes can change spinal alignment and feet movement, which leads to muscle fatigue and discomfort in lumbopelvic region, legs, and feet while walking.
Object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different shoe heel heights on the walking velocity and electromyographic (EMG) activities of the lower leg muscles during short- and long-distance walking in young females.
Methods: Fifteen young females were recruited in this study. The experiments were performed with the following two different shoe heel heights: 0 ㎝ and 7 ㎝. All participants underwent an electromyographic procedure to measure the activities and fatigue levels of the tibialis anterior (TA), medial gastrocnemius (MG), rectus femoris (RF), and hamstring muscles with each heel height during both short- and long-distance walking. The walking velocities were measured using the short-distance (10-m walk) and long-distance (6-min walk) walking tests.
Results: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were found between heel height and walking distance conditions for the EMG activities and fatigue levels of TA and MG muscles, and walking velocity (p<.05). The walking velocity and activities of the TA, MG, and RF muscles appeare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0 ㎝ and 7 ㎝ heel heights during both short- and long-distance walking (p<.05).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atigue level of the MG muscle were found between the 0 ㎝ and 7 ㎝ heel heights during long-distance walking. In addition, walking velocity and the fatigue level of the MG muscle at the 7 ㎝ heel height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mparison of short- and long-distance walking (p<.05).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higher shoe heel height leads to a decrease in the walking velocity and an increase in the activity and fatigue level of the lower leg muscles, particularly during long-distance walking.
Background: Improvement of the lumbo-pelvic stability can reduce the compensatory action of the erector spinae (ES) during prone hip extension (PHE). Furthermore, the application of abdominal drawing-in (ADI) maneuver increases the action of gluteus maximus (GM) and decreases the action of ES during PHE by improving the lumbo-pelvic stability. However, the post-ADI exercise effects on PHE, not the real-time application of ADI maneuver, has not been studied.
Objects: This study is aimed at investigating the post-ADI exercise effects on the muscle activities of GM and ES during PHE.
Methods: A total of 24 female adul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ose with normal abdominal muscles (n1=12) and those with weak abdominal muscles (WA) (n2=12). Before the intervention, the subjects’ GM and ES muscle activities during PHE were measured. Subsequently, the two groups were asked to perform the ADI exercise for 10 minutes. After the ADI exercise, the GM and ES activities were equally measured during PHE.
Results: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ES muscle activities before intervention show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p<.05); the WA group showed higher muscle activities than the normal group. For the within-group comparison, the muscle activities of the ES in the WA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he ADI exercise (p<.05). For the GM muscle activity,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all comparisons (p>.05). For the changes in muscle activities before and after the ADI exercise, a significant difference exists between the two groups only for the changes in ES activities (p<.05); WA group exhibits higher changes than the normal group. By contrast, no significant difference exists between the two groups for the changes in GM activities (p>.05).
Conclusion: After the ADI exercise, the compensatory action of ES in the female adults with WC is implied to decrease during PHE.
The purposes of improving air pollution and suggesting energy resources have intensified research on various alternative energy for diesel combustion engines to solve severe environmental influences caused by air pollution. In this study, the applicable possibility of biodiesel and oxygenates (EGBE) was investigated as a cuspy method on decreasing the smoke emission. The smoke emission of blending fuel (biodiesel and EGBE) was reduced in comparison with commercial diesel fuel and it was reduced almost 63% at 2000 rpm, full load. But torque and brake specific energy fuel consumption rate didn't have any large changes. Also, the effectiveness of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for the reduction of NOx emission has been investigated. It was shown that simultaneous reduction of NOx and smoke emission was achieved with biodiesel(90%), oxygenates (10%) and cooled EGR rates (10%) in an IDI diesel engine.
본 연구는 한국 시인 백석과 아일랜드 시인 셰이머스 히니(Seamus Heaney)의 작품에서 드러나는 다양한 기억과 망각의 의미를 살펴보고 비교 분석한다. 기억과 망각이라는 주제는 독일 문화학자인 알라이다 아스만과 얀 아스만의 기억 이론을 토대로 하며, 두 시인의 작품이 각각 한국과 아일랜드 역사 속에서 어떠한 문학적 의미를 추구하고 시학을 드러내는지 짚어보며 역사적 사실, 정치적 상황 그리고 문화적 기억이 회상 그리고 망각의 틀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 비교 분석한다.
본 연구는 수중활동에서 나타나는 인체의 생리적 변화와 알코올 섭취로 인한 생리적 변화를 살펴보고 알코올 섭취가 스쿠버다이버에게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미국 내부통제연구소위원회의 내부통제 프레임워크를 기초로 본 연구에 적합하도록 새롭게 정립한 ‘리스크 평가 및 분석(RAA, risk assessment and analysis)’ 기법을 활용하여 알코올 섭취 전과 후의 리스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RAA기법은 리스크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1단계, 리스크를 정량화하고 리스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2단계, 그리고 이를 도식화하여 리스크맵을 분석하는 3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RAA기법을 통해 알코올 섭취로 인한 수중활동의 리스크수준이 전반적으로 증가하여 고위험군의 비율이 높아진 것을 확인하였고 리스크수준의 정량화와 고위험군 분류를 통해 리스크관리 측면에서 우선통제대상을 지정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알코올 섭취 후 행해지는 스쿠버다이빙의 위험성을 명확하게 알리고 이에 대한 스쿠버다이버들의 의식 개선을 도모하여 보다 안전한 스쿠버다이빙 환경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논문에서는 인체의 열상대역 저피탐을 위한 선행연구로써 인체에서 방사되는 적외선 신호의 특성을 소개한다. 인체에서 방사되는 적외선 신호는 인체 표면의 방사율과 표면온도에 의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적외선 신호해석을 위하여 표면온도를 정확히 도출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하여 인체의 열적 편안함을 도출하는데 주로 사용 되어온 체온 조절 작용 및 다층 구조 피부 모델을 적용하여 인체의 표면온도 도출에 사용하였다. 기법의 검증을 위하여 비정상 해석 결과와 실험결과의 비교 검증을 수행하였으며, 이로부터 체온 조절 작용이 인체의 표면온도 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비정상 해석을 통해 도출된 표면온도와 피부 및 의복의 방사율을 이용하여 적외선 신호를 도출하였으며, 가상의 배경조건에 따라 나타나는 인체의 적외선 신호 특성을 파악하였다. 의복을 착용함으로써 인체는 저방사 배경과의 적외선 신호차이가 작아지는 반면 고방사 조건에서는 역대비로 인해 오히려 피탐지성이 증가하게 된다.
원자력발전의 최대 걸림돌은 사용 후 핵연료인 고준위폐기물이다. 높은 방사능과 발생하는 열은 사용 후 핵연료의 안전한 처분을 어렵게 하고 있다. 현재 유일한 처리방법은 심지층 처분기술이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심지층 처분기술의 핵심기술 중의 하나인 처분용기의 구조안전성 설계문제를 다루고 있다. 특히 처분장에서 처분용기 처분 시 사고로 운송차량에서 추락 낙하 하여 지면과 충돌하는 경우 처분용기에 가해지는 충격력에 의하여 처분용기에 발생하는 응력 및 변형에 대한 비선형구 조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의 주된 내용은 심지층 처분장에서 운반차량으로 처분용기 운반 중 사고로 추락낙하 하여 지면과의 충돌 시에 처분용기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기구동역학해석 상용 컴퓨터코드인 RecurDyn으로 구하고 이 충격력에 의하여 처 분용기에 발생하는 응력 및 변형을 유한요소 정적 구조해석 상용 컴퓨터코드인 NISA를 이용하여 구한 것이다. 해석결과는 충돌 충격 시간 중 발생하여 처분용기에 가해지는 충격력에 의하여 처분용기, 특히 처분용기의 위 덮개 혹은 아래 덮개에 큰 응력과 대변형이 발생함을 보여주고 있다.
정철과 박목월 시에 등장하는 방랑자는 인간의 마지막 피난처인 자연을 향해 뒤도 돌아보지 않고 가는 사람들이다. 그런데 이들을 긍정적 시각으로 보면 이들은 자연에 매우 잘 순응하는 사람들이다. 동시에 부정적 측면으로 보면 이들은 자신들의 정체와 방랑하는 이유를 드러내지 않을 뿐 아니라 방랑의 원인인 갈등이나 억압에 대해 전혀 저항하지 못하는 극단적 도피자일 수 있다. 그러나 예이츠와 히니 시의 방랑자들은 그들이 누구인지 왜 방랑하고 있는지를 밝히고 저항한다. 예이츠는 앵글로 아이리시 영웅으로의 저항 정신을 그의 방랑 시에서 드러냈다. 이것은 자신을 오신, 쿠훌린및 오이디푸스 같은 영웅과 자신을 동일시 한데서도 증명될 수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히니는 순례의 섬이나 방황하는 스위니를 통해서 종교의 권위에 저항해 나락으로 떨어져 방랑해야만 했던 전설의 순례자인 스위니와 자신을 동일시했다. 한편 한국 시와 아일랜드 시에 등장한 방랑자들은 모두 예술혼인 자유를 추구하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