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53

        303.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하수관망과 하천을 포함하는 복잡한 토지이용으로 구성된 도시유역으로서는 비교적 유역면적이 큰 유역의 홍수예보모형으로 수문모형과 수리모형을 연계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유역면적이 약 에 해당하는 중랑천 유역에 적용하여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수문모형으로는 SWMM과 수리모형으로서는 HEC-RAS 모형을 선정하였으며, 적용대상유역인 중랑천 유역은 25개의 소유역으로 구분되었다. SWMM모형은 각 소배수구역의
        306.
        2008.0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05년 행정자치부 통계 자료에 의하면 국제결혼 건수는 2002년에는 15,900건, 2005년에는 43,000건에 이르렀다. 이는 결혼으로 국내에 이주한 여성의 수가 매우 급증하고 있음을 입증하는 사실이다. 정부의 주도로 이들 가정에 대한 다문화 지원 시업을 추진하고 있고, 그 중에서 주요사업이 ‘결혼이주여성 한국어교육’이다. 현재 결혼이주여성 한국어교육은 여러 곳에서 개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들 기관은 교육의 전문기관이 아니라,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대학과 공공기관이 연계하여 결혼이주여성 한국어교육을 실시하여 연계 전후를 논의해 보았다. 그 결과 대학은 강사의 수당을 지급받아 좀 더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었고, 공공기관에서는 교육의 전문성을 살릴 수 있어 적극적으로 장려해야 함을 주장하였다. 다소의 단점도 있었지만 독자적으로 시행할 때의 문제점을 많이 극복할 수 있어 지역사회와 공공기관 그리고 대학기관이 협력한다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307.
        2008.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금강수계의 가장 효율적인 가중치를 찾을 수 있는 절차를 제시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목적 최적화 모형의 결과는 목적함수에 부여된 가중치에 크게 좌우되는 경향이 있다. 특히 다목적 저수지 운영 문제의 경우는 어떤 유입량 시나리오가 적용되느냐에 따라 그에 적합한 가중치가 크게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유입량의 변동성을 감안해서 저수지 운영자에게 적합한 초기 가중치를 적용하는 것은 매우 큰 의미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유입량의 불확실성을
        308.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nalyzed the probability that experiment stations, agricultural technology and extension centers, provincial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central government organs, or civilian and other related organs will be the first choice of the compositional subjects of local innovation networks. While gender effect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educational level, income, main acquired information, sources of necessary information, and frequency of information acquisition sessions were significant, and the preference ranking model was highly relevant. According to the analysis, highly academic and business-related information was most likely to be acquired from the civilian sector; agricultural technology such as technology, crops/plants, storage, and circulation was most likely to be acquired from experiment stations and provincial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and information on agricultural production was most likely to be acquired from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s.
        309.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대 유아교육학자들은 유아 발달의 특성을 고려하여 0세부터 8세까지를 유아교육의 대상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미국유아교육협회(NAEYC)에서는 ‘0-8세 유아의 발달에 적합한 교육의 실제’를 위한 지침을 마련하여 이들에게 보다 적절한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권장하고 있다(Bredekamp, 1992). 이러한 입장에 기초할 때 만 3-8세에 해당하는 우리나라 유치원과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을 위한 교육은 서로 간에 분리된 체제와 상이한 내용과 방법으로 이루어지게 할 것이 아니라 상호 연계된 교육을 행하여야 할 것임을 시사 받을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 그간 우리나라에서도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육의 연계성 문제는 유아교육이 보편화되기 시작한 1980년대 이후 지금까지 교육학자, 현장 교사, 학부모들 사이에서 꾸준한 관심을 모아 왔다. 실제로 국내에서는 유아교육과 초등교육의 연계성을 효율적으로 도모하기 위한 연구들도 비교적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예: 김민진, 1996; 김선진, 2002; 김영옥, 1991; 김창복, 1998; 나정․장명림, 1997; 박수연, 1993; 이대균, 1990; 이원영, 1993; 정대현, 2005; 홍혜경, 2004 등). 그러나 연계교육을 제도화하여 유아교육과 초등교육의 연계를 도모하고 있는 다른 여러 나라들에 비해서, 우리나라는 아직 교육제도, 교육행정, 교육과정, 교사양성, 교육환경 측면 등에서 여전히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나정․장명림, 1997). 이처럼 양 교육기관의 상호 연계가 부족하여 불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교육은 아동의 정상적인 발달과 교육적 성취를 저해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유․초등 연계교육은 어린이의 발달과 생활 적응, 교육의 효율성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높이기 위한 것이기 때문인데,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유치원과 초등학교 저학년 어린이는 신체, 사회, 정서, 인지 발달의 제 측면에서 볼 때 유사한 특성을 보이므로 교육도 유사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고(김창복, 2006; Anning, 1995; Morrison, 2003 등), 둘째, 어린이가 교육기관 간의 교육 방식 차이로 인하여 생활 적응을 어렵게 해서는 안 될 것이며, 셋째, 인간의 학습은 하나의 연속적인 과정에 있으므로 교육 또한 계속성과 계열성을 유지하며 이루어져야 교육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연계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것이다. 이러한 필요성에 비추어 양 교육 간의 연계를 꾀할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의 마련이 시급하다. 그동안 적지 않은 연계 관련 연구가 수행되기는 하였으나 주로 연계의 필요성이나 실태, 교육과정에 관한 교사의 인식(김애리, 2002; 김창복, 2007; 김창복․김민진, 2006; 김창복․최연철, 2002; 김혜원, 2005 등), 언어교육이나 수학교육 등의 교과 간 교육과정 비교 분석(권세경, 2005; 김창복, 2004; 이혜은․최혜진, 2005; 홍혜경, 2004 등) 등에 관한 것이 대부분이었고, 아직 유치원과 초등학교 저학년 교육과정의 연계 방안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진 바 없다.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육의 연계 방안을 연구함에 있어서는 기존의 학자들이 제시한 바와 같이 교육과정 측면, 교육활동의 실제적 측면, 교사 인식 측면, 제도적 측면에서 각각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박은혜, 2006). 본고에서는 이 네 가지 측면 가운데 교육과정과 교육활동의 실제적 측면에 초점을 맞춰 연구를 행하고자 한다. 현재 우리나라 교육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는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비교해 보면서 교육의 기본방향, 목표, 내용 측면의 연계 방안을 모색해 보고, 또한 현행 교육과정에 기초하여 교수학습방법, 평가 측면의 연계 실태를 살펴보면서 실제 교육활동 측면의 연계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310.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 세계적으로 1980년대 이후, 통합교육과정(integrated curriculum)의 개념을 명확하게 정의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을 모색하려는 노력은 교육의 질적 향상을 수반하였다. 교육과정의 통합적 접근 노력은 유치원, 초등학교는 물론 중․고등학교에서도 관심사로 부각되고 있으며, 일부 학자들은 통합교육과정이 21세기의 교육과정 모형으로서 가장 적합한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기도 하다(노영희, 2006). 우리나라의 유치원 교육과정은 전통적으로 통합적 교육과정을 지향해왔다. 그리고 특히 제5차, 제6차 유치원 교육과정이 통합적 교육과정 계획과 운영을 강조하게된 것은 이러한 세계적인 변화의 맥락과 함께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초등학교 1, 2학년의 통합교과가 제4차 교육과정부터 개발․적용된 이후, 최근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개정 과정에서 통합의 개념 문제와 유치원 교육과의 연계 문제가 주요 논쟁점으로 부각된 것은 이와 같은 세계적인 통합교육에의 관심과도 무관하지 않다. 21세기에 나아가야 할 교육의 방향은 결코 전통적인 주입교육이 아닌 학습자의 요구와 흥미에 기초한 통합적 접근이어야 한다. 교육현장은 이론이 그대로 적용되는 수동적인 장소가 아니라, 수많은 문제들이 발생하며 교사에게 바람직한 해결책을 요구하는 매우 역동적인 장소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교육 현장의 교수실천은 특정 이론의 답습과 실험이 아니라 교육자들 스스로의 비판적 지성에 의해 반성적으로 실천되어야 유아교육과 초등교육이 올바른 자리매김을 할 수 있다. 통합교육과정의 역사적 흐름은 Rousseau, Pestalozzi, Freobel 등의 자연주의에 기초한 교육 사상가들로부터 시작하였으며 주요 아이디어는 Dewey의 아동중심 교육이론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통합교육과정은 Dewey의 아동중심철학이 기본 이데올로기가 되었으며, Kilpatrick을 통하여 통합교육과정 접근법으로 구체화되었고, 최근에는 통합적 접근을 위한 교육과정 재구조화 운동에 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이 큰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Charbonneau & Reider, 1995). 그러나 교육과정의 통합적 접근 노력은 20세기 후반을 지나오면서 교육현장에서 실패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에 대한 비판도 거셌다. 통합교육을 지지하는 학자들은 일부의 교육 현장에서 통합교육이 실패하는 이유를 첫째, 아동 중심 철학에 대한 오해, 둘째, 부적절한 교사 교육, 셋째, 부모와 교사 간의 협력 부재로 들었다. 특히 교사는 학급 수준에서 교육과정을 재구성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일과 효율적인 계획을 해야 하고, 통합된 일과 진행을 위해 현명하게 학급을 운영해야 하는데, 이러한 통합교육의 기본 조건을 충분히 이해하지 않고 교육을 피상적인 방법론으로만 다루려는 사람들에 의해 그 결과가 실패로 이끌어지게 된 데에 그 원인이 있었다고 분석하였다. 김재복(2007)은 우리나라의 각급 학교 교육에서 통합교육 또는 통합교육과정의 적용이 활발하게 시도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적용될 때는 여러 측면에서 저항이 나타난다고 지적하였다. 이러한 문제는 지식의 구조 또는 지식의 형식, 교사 전문가 집단의 교과 지향적인 의식구조,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방법상의 전통적인 인습, 분과별로 출제되는 시험문제 등으로부터 파생된다고 주장하였다. 결국 유치원이나 초등학교이거나 간에 통합교육과정 적용의 실패는 본질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거나, 인습적인 교과교육에의 안주 또는 구조적 정체에 기인하므로, 통합교육을 성공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실패의 원인들로 지적된 문제점에 대해 올바로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려는 노력을 기해야한다는 지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우리나라의 유치원과 초등학교 저학년 교육은 물론 그 이상의 타급학교 교육에 이르기 까지 통합적 교육과정은 21세기의 교육이 지향하는 모형임이 분명하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관점에서 20세기 교육과정의 흐름을 정리해보고, 앞으로 유치원과 초등학교 저학년의 교육현장에서 통합교육과정을 바람직하게 실천하기 위한 조건과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자 한다.
        312.
        200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비정형격자 기반의 수치해석모형을 이용하여 지하공간침수해석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모형은 지하공간의 흐름 특성을 link-node 시스템에 의해 해석하고, 계단 및 벽구조물 등의 지하공간 구조물 배치 영향을 고려한 침수해석을 수행할 수 있다. 흐름은 두가지로 구분하며, 하나는 두 개의 인접한 격자가 지하공간에서의 지하철 노선에 해당되어 수로형 흐름을 나타내는 경우이고, 다른 하나는 지하공간에서의 지하철 노선 이외의 지점 및 지하상가 등으로 물이 확산되는 위
        313.
        200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댐군을 연계운영할 경우 발생하는 효과를 이수측면에서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여 한강수계 댐군 운영 실적의 평가에 적용하였다. 개발된 평가방법에서는 용수공급과 유황개선 부분에서 연계운영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평가지점에서 필요수량에 대한 충족률과 유황안정도를 평가지표로 사용하였다 발전 부분에서 연계운영의 효과는 댐군에 의해 생산된 총발전량을 평가지표로 사용하였다. 실제 운영실적은 공칭공급량을 공급하는 단독운영과 최적화 모형에 의한 평
        314.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도시지역에의 내수침수는 주로 우수관로 배수체계의 통수능력 부족으로 발생된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도시침수에 대한 국내외 연구가 우수관로해석에 국한되어왔다. 하지만 우수관로시스템 해석을 통해서 배수능이 부족한 관거를 찾는 것만으로 침수방지대책을 세우는 것은 매우 근사적이고 비합리적인 대안을 제시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침수양상에 대한 정확하고 합리적인 해를 도출하기 위하여 ILLUDAS를 이용한 관로시스템 해석과 2차원 지표류 계산모형을
        315.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치원과 초등학교 연계교육활동에 참여한 초등학교 교사의 경험을 파악하기 위하여 유치원 연계 교육활동에 참여한 초등학교 교사 3명의 교수-학습활동 경험을 문화 기술적으로 기술하였다. 연구대상은 공립 초등학교 교사 3명으로 유치원 5세반 1개 학급에서 각 각 사물놀이, 씨름, 건강교육을 실시하였다. 유치원 교수-학습활동 연계교육을 위하여 연구자와 초등학교 교사 3명은 5개월에 걸쳐서 상호 협의 과정, 교수-학습계획 수립, 교수-학습활동 실행의 과정을 거쳤다. 분석 자료는 교사 면접자료, 교사 이야기 쓰기, 교육활동 녹화기록, 연구자의 기록 등이었다. 분석결과에서 나타난 경험의 특성은 「유아의 특성에 대한 이해」, 「유치원 교육에 대한 이해 」, 「유치원 교사에 대한 이해 」, 「연계교육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로 나타났다.
        316.
        200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concept of RIS(Regional Innovation System) has widely been used in discourse and policy issues in Korea. But most studies of RIS concern on BT or IT industries combining with diverse regional agencies in urban areas. Some other studies were concentrated on general ideas or concept of the RI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1) to suggest a analytical method to select specialized industry in local autonomy, (2)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pecialized industry and gross sales of agricultural products and stock farm products, (3)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gross sales of agricultural products and stock farm products and GRDP, and (4) to construct a model of RIS that fits particularly for rural areas. This study particularly accentuates that a specialized industry is more meaningful when it can raise GRDP, which eventually can give positive effect of RIS on regions.
        317.
        2006.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에 홍수재해와 관련된 자연재해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사회기반시설의 집중 및 인구증가로 도시지역에서의 침수는 인명과 재산에 큰 피해를 야기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배수시스템에서의 과부하로 인한 도시지역에서의 침수심을 계산하기 위해서 우수배수시스템모형과 2차원 지표류모형을 연계한 새로운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대상유역에서의 침수유량의 거동은 두 가지 요소로 고려되는데 하나는 배수시스템에서의 흐름이고 다른 하나는 월류유량으로 발생한 범람 흐름
        318.
        200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하천 제방붕괴로 인한 제내지에서의 범람홍수의 전파양상을 효율적으로 계산할 수 있는 2차원 범람홍수모형을 개발하였다. 또한 범람모의를 위한 기본 입력자료 구축을 위해서 레이더 자료와 연계하였으며, 레이더 정량강우-홍수유출-범람해석에 대한 통합시스템을 구축하였다. 개발된 모형의 검증을 위해서 태풍 루사로 인한 감천 유역의 실제 제방붕괴 사례에 대한 적용을 실시하였으며, 범람모의를 위한 기본자료인 강우량을 산정하기 위해서 레이더 자료와 연계하였
        319.
        200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문모형의 많은 입력자료 가운데 강우 관측자료가 모의결과에 가장 주요한 원인을 가진다. 과거부터 수문모형은 유역에서의 평균강우량 자료를 한 지점에서의 강우량 자료에 의존해 왔다. 그러나, 지점에서 측정된 강우량 자료를 유역을 대표하는 평균강우량 산정에 이용할 경우 부적절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그 계측망이 조밀하지 못할 경우 더욱 그러하다. 레이더의 경우 보다 넓은 유역 전체를 관측하기 때문에 유역에서의 평균강우량을 제공함에 있어 좋은 관측장
        320.
        200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3차원 공간상에서 구면 좌표계값을 가지는 레이더 반사도 자료를 직교 좌표계로 변환하기 위한 CAPPI(Constant Altitude Plan Position Indicator) 산출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오염되지 않은 CAPPI 자료의 산출을 위해서 레이더 반사도 자료에 대한 품질검사 과정이 선행되었다. 개발된 모형은 3차원 공간상에서의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가장 근접하고 가장 적은 자료수를 운영함으로서 최적의 반사도 자료를 보간하였
        16 1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