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35

        1066.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인천항 배후단지를 운영함에 있어 취급되는 품목 중 어떠한 품목이 항만 배후단지 운영에 기여하는지를 선정하고 그에 따른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으며, 대상은 아암물류1단지와 4부두 배후지로 선정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 요인분석 및 AHP 분석을 사용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하여 물동량 창출가능성을 비롯한 총 11가지의 하위평가요인을 선정하였고, 요인분석을 통해 효율적인 관리를 포함한 총 4가지의 상위평가요인들이 그룹핑 되었다 AHP분석을 통해 하위평가요인들의 우선순위를 산정한 결과 물동량 창출 가능성 측면이 배후단지 운영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선정되었다. 그리고 수출입액과 수출입 중량을 기준으로 농산물, 철강/비철금속, 전자부품을 평가 품목대안으로 선정하고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자부품이 인천항 배후단지에서 취급중인 화물 중 운영적으로 가장 많은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자부품과 같은 물동량 증가 가능성이 많은 화물에 대한 전략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본 연구가 향후 개장될 인천항 아암물류2단지와 인천신항 배후단지의 유치품목 선정에 있어 중요한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1067.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학업 부적응 등을 이유로 학업을 중단한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학교밖 공간에서 학교 및 기타 학습공간으로의 복귀를 돕도록 기획된 단기 학습프로그램의 사례를 분석하고, 이러한 프로그램 운영과 관련하여 참여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 지에 관해 심층면담을 통한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대안교육센터에서 지원하고 지역네트워크학교들이 실시했던 ‘징검다리 학습과정’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사들에 대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면담 자료는 주제분석 및 계속비교분석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참여 교사들은 프로그램의 성과를 아이들의 변화와 성장, 그리고 기관간 네트워크의 형성이라는 관점에서 인지하고 있었으며, 아이들과의 관계, 프로그램 운영의 애로, 교사로서의 발전의 어려움 등을 어려움으로 보고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가 학교밖 청소년을 위한 학습프로그램의 발전을 위하여 어떠한 이론적, 실천적 시사점을 가지는 지 논의하였다.
        1068.
        2010.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수자원공사는 낙동강 및 금강수계에 대해 실시간 물관리 시스템을 개발하여 수계 내 다목적 댐의 효율적인 운영을 도모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확장하여 최적화 기법인 표본 추계학적 동적계획법을 사용하여 한강수계 다목적댐의 효율적인 월말 목표저수량을 산정하고 이를 통해 실시간 물관리시스템의 효율을 극대화하고자 수행되었다. 수계 내 댐중 저수용량과 용수공급 측면에서 중요도가 높은 소양강댐, 충주댐, 화천댐 등 3개 댐만을 대상으로 모형을 개발하였으며 저수
        1069.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대전시의 다문화 가정은 다른 지역과 다른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농어촌 지역의 다문화 가정과 크게 다른 것은 물론이고, 다른 도시 지역과도 구별되는 특징들을 가지고 있다. 대전시만의 특수한 환경으로 고학력의 이주민이나 거주민들이 상당히 많으며, 장기 해외 거주 귀국 자녀 및 일시적 거주 외국인 가정들도 많고 새터민들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대전시의 다문화 교육은 이와 같은 특성과 환경을 고려한 대전시만의 맞춤형 교육이 되어야 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우선 대전시 다문화 가정 구성원들의 특성을 분석, 파악하고 이들에게 필요한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과 초등 교사들이 요구하는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 내용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대전광역시 서부다문화 교육센터에서 개발, 시행하고 있는 실제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을 소개하였다.
        1073.
        200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n objectiv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performing sensitivity analysis and parameter estimation of RMA2 and RMA4 models for the West-Nakdong River, 2) drawing up alternatives of gates-operation for water-quality enhancement, and 3) quantitative evaluation of methodology of 'flow-restoration by gates-operation' among 'Comprehensive Plan Improving Water-Quality in the West-Nakdong River(WNR)' with the target water-quality(BOD at Nakbon-N point: below 4.3 mg/L). The parameters for the RMA2 (depth-averaged two-dimensional flow model) and RMA4 (depth-averaged two-dimensional water-quality model) were determined by sensitivity analysis. Result of parameter estimation for RMA2 and RMA4 models is 1,000 Pa․s of the eddy viscosity, 20 of the Peclet number, 0.025 of the Manning coefficient, and 1.0 m2/s of the diffusion coefficient. We have evaluated the effects of water-quality enhancement of the selected alternatives by numerical simulation technique with the models under the steady-state flow condition and the time-variant transport condition. Because of no-resuspension from river bottom and considering BOD as conservative matter, these simulation results slightly differ from real phenomena. In the case of 50 m3/s of Daejeo-gate inflow, two-dimensional flow pn results result represents that small velocity occurs in the Pyungkang Stream and no flow in the Maekdo River. In the WNR, there occurs the most rapid flow near timhae-bridge. In the WNR, changes of water-quality for the four selected simulation cases(6, 10, 30, 50 m3/s of the Daejeo-gate inflow) were predicted. Since the Daejeo-Gate and the Noksan-Gate can be opened up to 7 days, it would be found that sustainable inflow of 30 m3/s at the Daejeo-gate makes BOD in the WNR to be under the target of water-quality.
        1074.
        200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컨테이너 터미널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터미널 생산성 향상이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생산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은 다양하다. 그 중 야드이송장비의 경우, 특정 선석크레인(QC, Quay Crane)에 야드트랙터(YT, Yard Tractor)가 고정 할당되는 방식에서 타수 QC들의 작업을 처리하는 풀링 방식으로 전환하여 YT의 생산성을 올리고 있다. 현재 국내 터미널에서도 YT 풀링을 도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아직 적절한 풀링 범위 및 효과적인 YT 할당 계획에 대한 노력은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YT 풀링 운영을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YT 풀링이 담당할 작업범위 결정에 미치는 요인의 도출과 상황에 따른 YT의 작업할당 모형에 대해서 제시하였다.
        1075.
        200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홍수기에 집중되는 유출량을 갈수기에 적절히 활용하기 위한 대표적인 구조물이 댐이다. 제한된 용수공급량을 적절히 분배해 용수수요량을 만족시키면서 미래 갈수기시 용수공급을 대비하여 댐 저류량을 조절하는 것이 댐 운영의 중요한 목적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갈수 시 댐 저류량에 따라 댐 계획방류량을 일정비율 줄여주는 Hedging Rule을 5단계로 적용하여 댐의 상시만수위 저류량에 대한 실제 저류량의 편차, 수요에 대한 용수공급 부족량, 그리고 하천유지
        1076.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교사의 승진경쟁 완화 및 교수활동 리더십 강화를 위해 2008년 3월부터 시범운영 되고 있는 수석교사제 실태를 분석하여, 제도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수석교사의 자격, 역할과 위상, 근무여건과 처우, 활동 저해 요인 등의 항목을 중심으로 실태를 분석하기 위해 전국 16개 시․도에서 선발된 172명의 수석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분석 결과, 수석교사의 평균 연령과 교육경력은 각각 50.1세, 26.3년으로 교감보다는 낮으나 비교적 고연령, 고경력 층인 것으로 나타났고, 수석교사가 수행하는 역할 가운데 교내 장학, 교내 연수, 수업 기술개발 등이 두드러졌으며, 자신의 지위를 부장급 정도로 인식하고 있었다. 근무여건 및 처우에 있어서는 60%이상이 별도 공간이 없었고, 주당수업시수는 초등 20시간, 중등 15시간으로 많은 편이었다. 수석교사의 수업감축으로 인한 추가 수업부담은 동료교사들에게 전가되었고, 업무추진을 위한 추가 수당은 거의 지급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전체적으로 근무여건과 처우가 열악한 것으로 드러났다. 초등의 경우 과다한 수업 부담, 중등의 경우 관리직과의 갈등이 수석교사의 활동을 가장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수석교사제의 성공적 도입과 정착을 위해 시사점을 줄 수 있는 자격 요건, 역할과 위상에 적합한 제도 정비, 처우 개선 등을 중심으로 몇 가지 제언을 제시하였다.
        1077.
        2009.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대청댐 하류 금강을 대상으로 댐건설에 따른 유황 변동이 어류서식처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RAP을 이용하였고, 대표어종으로는 쉬리, 참마자, 감돌고기를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유량이 감소하는 갈수기에 대청댐의 건설과 더불어 서식처 조건이 향상 하였으나, 용담댐 건설의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댐건설에 따른 갈수기의 방류량 증가가 본 연구에서 선정한 대표어종들이 선호하는 서식처
        1079.
        200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팔당댐 지점을 중심으로 상류에 위치하고 있는 소양강, 충주 다목적댐 운영에 따른 빈도홍수량의 거동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동일기간의 댐운영 여부에 따른 두 계열(조절유량, 비조절 유량)의 홍수량 자료를 합리적으로 획득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홍수량 산정을 위해서는 단기 강우-유출모형을 이용해야 하지만, 계산의 어려움과 유역의 비선형으로 인해 그 결과를 증명하기 매우 어려운 현실이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유역면적
        1080.
        200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집단원예치료의 개념적 틀에 근거하여 원예치료활동이 이루어진 장소, 시간, 집단의 크기 및 구성, 한계와 규칙, 구조성, 개방성과 같은 현재 원예치료 연구들에 나타나 있는 집단운영의 유형과 그 상관관계를 분석 하였다. 활동 장소는 실내와 실외 활동을 겸하여 수행한 실험이 가장 많았으나 실내 활동만으로 이루어진 실험과 큰 차이가 없었다. 활동시간은 주1회, 총12회기가 가장 많았고 1회당 활동시간은 60분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의 크기는 10명이 가장 많았고 집단의 구성은 남녀혼성, 성인으로 구성된 그룹이 가장 많았다. 집단의 한계와 규칙을 제시한 실험은 거의 없었고, 대부분 Liebmann(1986)이 제시한 ‘A' 'B' 'C' 'D'의 집단 구조가 혼재되어 있었다. 또한 집단의 개방성에 대해서도 명확히 제시된 논문이 거의 없었고 일부 논문에서 개방집단으로 수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집단원예치료 운영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활동장소와 회기당시간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역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회기당시간도 집단의 연령 구성과 유의미한 역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주회기와 총회기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이외의 요인들 간에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수행된 활동이 집단원예치료라면 개별원예치료와 일반적인 원예활동과는 차별되게 집단원예치료의 효과를 최대화하고 효율적으로 이를 운영할 수 있는 집단원예치료의 운영에 대한 지침이 마련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 이에 대한 연구와 제시가 극히 부족한 상황에서 이러한 집단원예치료의 운영에 대한 분석은 선행 연구에서 문헌고찰을 통하여 제시한 집단원예치료의 개념적 틀의 수정, 보완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되어 질 것이며, 또한 향후 집단원예치료의 요소와 집단원예치료에서 수행된 원예활동들의 분석을 통하여 궁극적으로 실제 원예치료 상황을 고려한 집단원예치료 모델을 제시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