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05

        261.
        2015.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도심지에 건설되는 건축물의 초고층화는 기둥에 작용하는 하중을 증가시켜 기둥단면 증가와 사용면적 확보의 어려움을 발생 시키고 있다. 이에 최근에는 CFT와 같은 합성기둥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CFT 기둥의 경우 폐단면으로 이루어져 있어 보- 기둥 접합부 개발의 어려움과 성능저하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원형CFT 기둥과 외다이아프램을 이용한 접합상세 개발의 연구가 미비 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Y형 플레이트를 적용한 원형 CFT 기둥-H형강 보 접합부 접합상세를 개발하여 Y형 플레이트를 적용한 접합 부 구조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Y형 플레이트 폭 및 두께를 주요변수로 설정하여 실험을 통해 구조성능을 평가하였다. 또한 실험체에 사용된 Y 형 플레이트는 설계기준에 제시된 장기허용인장력이 Y형 플레이트에 접합된 인장 측 플랜지의 축방향력 이하가 되도록 설계하여 파괴형태를 통해 Y형 플레이트의 구조적 안전성과 성능을 확인하고자 한다.
        262.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ransverse reinforcement in reinforced concrete column can improve strength and ductility by confining column to expend laterally. The effects of enhancement of strength and ductility depend on the degree of confinement on transverse reinforcement. The theoretical equations about confinement effects of reinforcement concrete column were proposed by earlier investigators. In this study, it was identify the factor for significant impact on reinforced concrete circle column based on early models, and Parameter studies was carried out by each factor. Parameter studies decide the major variables for vertical interval and yield strength of transverse reinforcement,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and sectional area. In Parameter study results, it was identify that vertical interval of transverse reinforcement is significant impact on the strength and ductility.
        264.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result of structural performance evaluation about circular CFT column-H shape steel beam which was performed as in previous study, even though we designed the Y type plate tension as below the axial force which was under design criteria, the flexure of steel beam was happened. For these reasons, in this study, to figure out the time of connections failure and the minimum value of parameters in order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advanced Y type plate in detail.
        265.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력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탄소섬유쉬트(Carbon Fiber-Reinforced Plastic Sheet, 이하 CFRP sheet)로 보강된 콘크리트에 대해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본 연구는 CFRP sheet로 구속된 콘크리트에 대한 연구 중 미비한 부분을 보완하기 위하여 보강겹수, 시험체의 크기, 형상비, 겹이음길이를 변수로 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각 시험체별 응력-변형률 곡선을 통해 콘크리트의 거동을 비교하였으며, 최대압축강도를 통하여 CFRP sheet의 보강효과를 확인하였다. 보강겹수의 증가에 따라 콘크리트의 압축성능은 크게 개선되었으며, 시험체의 크기와 형상비의 변화를 통해 이론적인 부분을 검증하였고, 겹이음길이는 둘레의 5%이상으로 해야만 보강효과에 영향이 없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시험결과와 기존 시험결과를 정리하고 이를 기준으로 기존 강도추정모델을 통계 분석함으로 모델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267.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의 자전거 보도교는 단순지지 형태의 구조적 교량형식이며, 최대 경간장이 약 7.0 m로 많은 개소의 하부 기초 설치로 인한 공사비 증가 및 도시경관을 저하하는 단점이 있다. 국가자전거도로계획에 따르면 도심지 내 자전거 보도교는 급행도로로 건설되어야 하나 기존 자전거 보도교 형식으로는 실용적이지 못하며 유지관리에도 불리한 실정이다. 본 제안교량은 단순 지지 형식의 자전거 보도교를 연속화하여 원형강관 주거더의 경간을 연장하고 하부구조의 개소를 감소시켜 건설 공사비 절감과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안된 공법은 계획 선형노선대로 주거더의 성형이 가능하여 시공성을 증가시켰으며, 원형강관 주거더의 장경간화로 인해 도시경관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환경 친화적 기술이다. 현재 원형 강관을 이용한 자전거 보도교의 연속된 접속부에 대한 이론적 연구 및 해석적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며, 국내외 설계 기준은 내용이 미흡하고 복잡한 구조 거동을 반영하고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원형강관을 이용한 자전거 보도교의 접속부에 대한 3차원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여 제안 교량의 구조적인 거동을 상세히 분석하고 허용 응력 범위 내에 안정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268.
        2015.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ursting stress in anchorage zone of post tension girder can be estimated based on Guyon’s equation. The major parameters in calculating bursting stress are prestressing force and the distance ratio between concrete edge and anchorage plate. Although Guyon’s equation can be applied to calculate bursting stress for rectangular typed as well as circular typed plate, there is some limitation of accuracy due to 2 dimensional analysis. Therefore this study is proposed to suggest a bursting stress equation based on 3 dimensional finite element method.
        269.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원형단면 CFT 기둥-기초부 연결부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구조상세를 제안하였다. 앵커를 이용한 구조물의 연결은 원형단면을 가진 CFT 기둥의 경우 하부에 베이스플레이트를 설치하게 된다. 기초부 설계시 앵커의 연결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앵커프레임을 설치하게 되는데 이는 설계시 구조물의 구조상세가 복잡해지게 되며 시공 규모 또한 증가하게 된다. 또한 상부의 하중이 커짐에 따라 연결부의 앵커배치가 2열,3열로 증가하여 기초부와 콘크리트의 연결상세가 복잡해지고 경제적인 설계의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기초부의 과도한 설계를 개선하기 위하여 새로운 구조상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앵커연결을 지지하는 앵커프레임에 대한 구조상세를 개선하기 위하여 기존에 사용된 앵커대신 고장력 볼트를 사용하여 연결성능을 향상시켰으며 앵커프레임의 생략을 유도한 구조상세를 제안하였다. 이러한 연결상세의 합리적인 검토를 위하여 기존의 설계법과 고장력 볼트를 이용한 시험체를 각각 제작하였고 실험을 통하여 거동특성을 분석하였다. 고장력 볼트의 적용성을 확인하여 CFT 기둥-기초부의 연결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구조상세를 제안하였다. 고장력 볼트의 전단연결재 설치, 내부보강형식에 따른 구조상세 등 총 4가지의 설계변수를 기준으로 하여 시험체를 제작하였으며 탄성영역에서의 변형률 분포특성과 하중-변위관계를 통한 이력거동특성에 대한 검토를 수행하였다. 또한, 실험결과의 분석을 통하여 기둥부와 연결부의 강도평가를 실시하여 연결구조에 대한 개선된 구조상세를 제안하였다. 개선된 구조상세를 기준으로 유한요소해석을 실시하고, 이에 대한 타당성 검증 및 설계변수를 설정하여 이론에 의한 강도평가를 실시하고 개선된 구조상세에 대한 영향을 검토하였다.
        270.
        2014.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1992년 도로교설계기준의 내진설계도입 이전 규정에 따라 설계, 시공된 교각의 축소 모델을 실험체로 제작하여 원형기둥의 변위비에 따른 횡하중을 변위제어 방식으로 입력하여 준정적 방법을 통해 실험을 실시하였다. 연구에 적용한 보강재는 성능을 향상시킨무기계 합금강인 Helical Bar로써 원형기둥 외부에 보강 후 실내실험을 통하여 파괴거동, 하중-변위 관계, 연성도 평가 및 에너지 평가를실시하였다. 실험변수로는 위험단면 내에서 나선으로 보강한 보강재의 단면력의 크기와 나선보강의 간격, 보강형태로 두었으며, 준정적 실험을 통해 보강성능의 차이와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험결과 보강대상 부재의 성능에 따라 적절한 보강재의 단면력 크기결정과 보강간격 및형식의 선정이 필요하며 기계적 보강재뿐만 아니라 고강도 콘크리트 피복으로의 치환으로도 보강성능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271.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ight small scale circular reinforced concrete columns were tested under cyclic lateral load with constant axial load. Test specimens were designed with 4.5 aspect ratio. The selected test variables are longitudinal steel ratio, transverse steel ratio, yielding strength of longitudinal steel and axial load ratio. The test results of columns with different longitudinal steel ratio, transverse steel ratio and axial load ratio showed different seismic performance such as equivalent damping ratio, residual displacement and effective stiffness. It was found that the column with low strength of longitudinal steel showed significantly reduced seismic performance, especially for equivalent damping ratio and residual displacement. The regulation of flexural over-strength is adopted by Korea Bridge Design Specifications (Limited state design, 2012). The test results are compared with nominal strength, result of nonlinear moment-curvature analysis and the design specifications such as AASHTO LRFD and Korea Bridge Design Specifications (Limited state design).
        272.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pecimen shall contain tohose anchorage components and bursting reinforcement which will be embedded in the structural concrete, and their arrangement has comply with the intended application and with the specification as per the ETAG013. Components shall randomly selected.
        274.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형상비 4.5인 축소모형 원형기둥 실험체 8개를 제작하여 일정한 축력 하에서 반복횡하중을 가력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체의 주요변수는 횡방향철근비, 축방향철근비 (2.017%, 3.161%), 축력비 (0, 0.07, 0.15)이다. 모든 실험체의 횡방향 나선철근 체적비는 소성힌지 구간에서 0.3352~0.8938%의 값을 갖는다. 이 값은 도로교설계기준에서 요구하는 최소 심부구속철근 요구량의 39.7~122.3%에 해당하며, 이는 내진설계가 되지 않은 기존 교각이나 내진설계개념으로 설계되는 교각을 나타낸다. 본 연구의 최종목적은 실험적 기초자료의 제공과 함께 성능단계별 균열, 철근의 항복, 파단 등 정량적 수치와 경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실험결과를 통해 분석된 실험변수에 따른 교각의 파괴거동, 강도저감거동, 변위연성도에 대해 중점적으로 기술하였다.
        275.
        2012.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내병충, 다수성 계통인 CB02214-131(IT232701)을 모본으로, 청양 7호(IT232601)를 부본으로 하여 인공교배를 실시하였고, 병충해 저항성이면서 생육특성이 양호한 CB04340-64 개체를 선발하여 “청양 14호”로 계통명을 부여하였다. 충남 청양, 예산, 전남 진도 등 3지역에서 2009~2011년 3년간 지역적응성을 검정한 결과 중생종, 내병충성, 지표성분 고함유, 다수성 신품종으로 인정되어 “청광(靑廣, Cheongkwang)으로 명명하였다. 구기자 신품종 “청광”의 주요 특성은 다음과 같다. 잎은 둥근 피침형이고, 다소 작으며, 열매는 장타원형이고 중간 크기이었다. 그리고 적심에 의하여 분지가 많이 발생되었다. 병해충 저항성은 무방제 상태인 노지포장에서 자연 발생 정도를 조사하였는데, 탄저병 이병과율과 혹응애 발생률은 대비품종인 「청운」과 비슷하였다. 주요 지표성분인 베타인 함량은 「청광」이 0.75%로서 대비품종인 「청운」에 비하여 다소 높았고, 당도는 15.3°Brix로 높았으며, 산도는 비슷하였다. 건과수량은 대비품종에 비하여 생산력 검정시험에서 15%, 지역적응시험에서 6% 증수되었다. 주요 용도는 약용과 식용으로 모두 이용이 가능하였다. 구기자는 자가불화합성이 있어 단일품종을 집단재배하면 수정과 결실이 되지 않으므로 수분수 품종과 혼식하여 재배할 필요가 있다. 수분수 품종은 개화기와 열매크기가 비슷하고, 혼식에 의하여 결실률이 높은 품종으로 선정하였는데, 신품종 「청광」의 수분수 추천 품종은 「청명」이 적합하였다.
        277.
        2012.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원형 강합성 중공 철근 콘크리트 기둥은 중공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내부에 튜브를 보강하여 코어 콘크리트를 3축 구속 상태를 만들어 주어 강도, 강성, 연성도를 향상 시킨 매우 성능이 우수한 기둥이다. 본 기둥을 교량의 하부구조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횡방향 철근량 및 종방향 철근량의 기준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교각에서는 횡방향 하중에 저항하기 위하여 소성힌지 부분에 심부 구속 횡방향 철근을 배근하여 구속 효과를 증대시키고 있다. 이것은 심부 구속 횡방향 철근 배근을 통하여 교각에 필요한 강성 및 연성을 확보하여 내진성능을 향상 시킨다.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심부 구속 횡방향 철근량을 산정하는 방법은 국내의 도로교 설계 기준과 국외의 대다수 설계 기준이 동일하다. 이 설계식을 원형 강합성 중공 철근 콘크리트 기둥에 적용하기에는 그 구성 요소가 상이하고 거동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새로운 방법이 적용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현행 기준을 적용하였을 때를 분석하였고 이때에 연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도출한 후 이를 이용하여 합리적인 수정식을 제안하였다.
        278.
        2012.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정수압 가정을 하지 않고 수압의 변화를 고려할 수 있는 동수압이 고려된 수치모형을 제시하였다. 제시한 모형은 크게 2단계로 구성되어있다. 이는 x-, y- 그리고 z- 방향의 유속성분, 자유수면변위와 동수압을 해석하기 위한 것으로 첫 번째 단계에서는 이전단계에서 구한 동수압과 자유수면변위를 이용하여 운동량방정식을 해석하고, 두 번째 단계에서는 최종적인 유속장과 자유수변변위를 계산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수치 모형을 이용하여 원형섬 주변에서의 처오름 해석을 실시하였다. 수치모의 결과는 미국 육군 공병단 해안공학연구소(CERC)의 수리실험 결과와 비교하였다. 수치모의 결과는 실험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이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수치모형의 이동경계(wet-dry) 문제에 대한 적용성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써, 추후 범람해석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279.
        201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체감형 게임에서는 사용자의 몸 자체가 인터페이스로써 컨트롤러의 기능을 가지며 사용자는 자신의 행동의 결과를 체화된(embodied) 경험으로써 피드백 받는다. 이는 관객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상호작용 미디어 아트 설치미술의 경우와 같다. 컴퓨터 게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비디오 게임과는 차별적으로 실물의 움직임으로 피드백 되는 게임이 고려될 수 있으며 그 기초는 로보틱 아트에서 찾을 수 있다. 본 논문은 게임과 상호작용 미디어 아트의 접점을 체감형 게임으로 전제하여 하나의 상호작용 로봇 설치물 사례를 제시하고 실험하며 분석한다. 본 설치물은 관객의 위치나 움직임에 의하여 운동하고, 로봇의 운동에 따라 현의 유효길이가 조절됨으로써 소리에 변화를 주는 하나의 학기이다. 로봇은 다중 셀 거리 센서를 이용하여 관객을 추적하고 관객은 일정한 거리를 두고 악기와 상호작용하므로 악기와 관객 간에는 관계적 긴장이 자리할 공연적 내러티브 공간이 형성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상호작용 로봇 설치미술이 상호작용에 기초한 엔터테인먼트적 요소를 지닌 체감형 게임의 원형으로 제시될 수 있음을 몇 가지 사례를 들어 토론한다.
        280.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s to make the preservation plan for sustainable preservation restoration of Namsa-Yedamchon, Sancheong-gun, Gyeongsangnam-do through analyzing the site's characteristics and prototype landscape. Namsa-Yedamchon proudly presents ancient traditions and various historic resources. And several development plan and projects associated with historic resources of this site are in progress. Therefore, it was carried out to make master plan of Namsa-Yedamchon for preserving various prototype landscape. To achieve this, literature search, field survey, local residents' interview and the estimation of value on each prototype landscape were carried out. In literature search, it was analyzed to th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is study and past data was collected like past picture, antique books, articles and so on. In field survey, it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present condition and the problems of prototype landscape in this site. In addition, the progress of landscape change in this site was analyzed through local residents' interview. The estimation of value on each prototype landscape was carried out to set up the appropriate preservation directions and preservation scope through selecting more important prototype landscape among them. Through these steps, the master plan was deducted and it was divided into 3 type; preservation conservation zone, restoration maintenance zone and renovation utilization according to landscape components, preservation scope, surroundings and so 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