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영재들의 소집단 활동에서 집단 내 의사소통 지위와 언어네트워크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과학영재들을 대상으로 5명을 한 단위로 하는 7개 소집단을 구성하고, 이들에게 지구의 밀도 구하기라는 주제로 토론활동을 하였다. KrKwic과 UCINET 6.0 for Windows를 활용하여 집단 내 의사소통 지위와 언어네트워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집단 내 선도자의 언어네트워크는 방관자들에 비해 높은 단어 사용 빈도, 낮은 컴포넌트 비율, 높은 밀도를 나타내었다. 이는 선도자들이 방관자들에 비해 응집된 지식을 소유하고 있으며, 문제해결을 위해 방관자들보다 많은 양의 지식을 인출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런 결과는 과학영재들의 인지수준의 평가와 소집단 활동에서의 집단 구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trend toward globalization, cross-cultural teams in organizations are becoming more and more common. In particular, the influence of China and Western Europe on the global economy is getting increased. With this trend,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cross-cultural characteristics for group decision making in managerial environments.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cross-cultural differences between China and Western Europe in light of the effect of group discussion in group decision making. An experiment simulating a decision of a car purchase was conducted. A total of 48 subjects (24 Chinese and 24 Western Europeans) assigned in decision groups were asked to judge relative importance ratios of nine factors affecting their purchase decisions using the AHP program developed for the experiment. Three dependent variables (consistency, satisfaction, and consensus) were measured. Chinese were slightly more consistent than Western Europeans in discussion-involved group decision making. In terms of decision satisfaction, Western Europeans were more satisfied with discussion-included decisions than discussion-excluded decisions. Chinese, on the contrary,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cultures in decision consensus.
본 연구의 목적은 소집단 활동에서 과학영재들의 의사소통 구조를 찾아보고, 이들의 의사소통 유형과 성취 수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과학영재들을 대상으로 5명을 한 단위로 하는 8개 소집단을 구성하고, 이들에게 지구의 밀도 구하기라는 주제로 토론식 수업을 적용하였다. Pajek과 UCINET 6.0을 활용하여 과학영재들의 대화로부터 의사소통 구조와 성취 수준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상호작용 분산 정도에 따라 과학영재들의 의사소통 유형을 독점형과 공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그리고 상호작용 밀도와 집중도에 따라 과학영재들의 의사소통 유형을 DH·NH형, DH·NL형, DL·NH형, DL·NL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과학영재들의 소집단 활동에서 문제 해결 성취 수준은 구성원 간 상호작용의 분산이 아니라 상호작용의 밀도와 연결망 집중도의 차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교사들은 소집단 활동을 활용하여 학생들을 지도할 때 문제 해결에 관련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
Currently, R&D investment of government is increased dramatically. However, the budget of the government is different depend- ing on the size of ministry and priorities, and then it is difficult to obtain consensus on the budget. They did not establish decision support systems to evaluate and execute R&D budget. In this paper, we analyze factors affecting research funds by linear regression and decision tree analysis in order to increase investment efficiency in national research project. Moreover, we suggested strategies that budget is estimated reasonably.
법인의 범죄능력에 대하여 다수설은 아직 이를 인정하지 않는 입장이다. 그러나 법인의 행위로 인하여 사회구성원들이 생명⋅신체⋅자유⋅재산 등 중요한 법익을 침해당하는 경우가 점차 늘어남에 따라 법인에 대한 형사처벌의 실질적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실제로 양벌규정 형태로 법인에 대한 형사처벌 규정이 다각도로 마련되고 있다. 그러한 가운데 헌법재판소는 법인에 대한 형사처벌과 관련해서도 책임주의 원칙이 관철되어야 함을 명확히 하였다. 법인도 그 독자적인 책임이 인정되는 경우에 한하여 처벌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법인의 형사책임을 인정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의 규명이 더 이상 미루어질 수 없는 상황이 되었다.법인의 형사책임을 인정함에 있어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① 법인의 행동이 일반적 행위요소를 갖추었는가 하는 점과 ② 법인이 의사의 자유를 가진 존재인가 하는 점이다. 행위의 개념을 사회적 행위론에 따라 정의하면 ‘사회적으로 의미가 있는 행태’이다. 여기서 무의식중에 한 행동은 행위에서 제외된다. 따라서 법인 고유의 의식이 있는지 문제가 된다. 이 또한 의식의 개념을 어떻게 규정하는가에 따라 결론이 달라질 문제인데, ‘자극에 대한 조직체의 반응능력’으로 이해한다면 법인에도 의식이 있음을 인정할 수 있다. 나아가 자유의사 문제는 뉴턴 물리학을 근간으로 하는 자연과학적 방법론을 통해서는 존재 여부에 대한 결론이 불가능하다. 그보다는 의식의 존재를 긍정하는 양자물리학적 이해를 통해서 의사의 자유 여부에 대한 판단이 가능하다고 본다. 양자물리학에 기반을 두는 펜듈럼 가설에 의할 경우에 모든 존재는 에너지⋅정보체로서 물질인 동시에 의식이다. 인간을 포함한 모든 조직체는 생존과정의 의사결정에서 그 의식이 어느 다른 것의 제한도 받지 않는다. 따라서 법인에게도 자유의사가 있는 것으로 인정된다.
In this study, college students, the nature of the locus of control type determines that they affect about career decision making. For this purpose I a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study to literature research and empirical research. This research topics and research model based on the hypothesis set and set the hypothesis verified results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able to elicit. Internals types influence that they showed a positive impact in reasonable career decision making type. Externals types influence that they showed a positive impact in intuitive, dependent career decision making type. The summarized facts, as above, may be empirical analysis results that may be advised during the career decision making of college students, and will be data which will propose a new direction in the career decision making of college students also.
본 연구는 전국 교정시설에서 근무하는 교정직 공무원 554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사용해 교정직 공무원의 역할특성, 업무특성, 직무만족이 소진과 이직의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실증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연구모형에서 제시한 21개의 하위가설 중 14개가 채택되고, 7개가 기각되었다. 또한 독립변수들과 이직의사 간 효과의 분해 결과 역할특성, 업무특성, 직무만족이 소진을 경유하여 이직의사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 소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교정직 공무원의 소진 및 이직의사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인간적·개방적인 조직문화 구축, 주기적인 교육훈련 실시, 조직 내 존재감 확인 기회 부여, 업무부담의 감소, 다양한 수준에서의 스트레스 관리 제도화 등을 제시하였다.
PURPOSES : Effective speed management is necessary for preventing traffic crashes on the road. Speed hump is known as an effective tool for managing speed. Unlike existing studies which are mainly focused on humps for vehicles, this study proposed a novel method to determine design parameters for bicycle speed humps based on a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process. METHODS : Three objectives including the effectiveness of speed reduction, bicycle safety, and user's comfortability were incorporated into the proposed evaluation framework for determining design parameters. A multi-criteria value function was also derived and utilized as a part of the proposed method. RESULTS : Extensive simulations and statistical tests show that an integrated bike-box way is identified as the best in terms of operational efficiency and safety. CONCLUSIONS : It is expected that the outcomes of this study can be a valuable precursor for developing design guidelines for bicycle road and facility.
Lee, Kil-yong․Son, Min-su. 2012. The development process of Communication Strategies in Japanese by korean learners.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0(1). pp. 161-176. In this study, focused on the first language-based strategies and the target language-based strategies about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strategies in Japanese by three korean learner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target language proficiency increases, the frequency of the first language-based strategies and the target language-based strategies generally tended to decrease. However, the case of the beginning level learner, as learning progresses, the frequency of the target language-based strategies increased. Second, as target language proficiency increases, the frequency of the first language-based strategies generally tended to decrease. However, as chaotic-period of the first language and the target language, the intermediate-level learners increased the frequency of the first language based-strategies. Third, as target language proficiency increases, the frequency of problem-solving strategy of the sentence unit increased than problem-solving strategy of unit vocabulary. This study will have important implications to say that by analyzing the longitudinal data of three cross-cutting learners of differing proficiency target language, we attempted to elucidate the developmental processes of communication strategies.
본 연구는 개인의 가치를 부각하고 자기 존재를 알리는 의사소통능력이 요구되는 시대에 적합한 수업방법 개선에 주안점을 두었다. 수업은 물론 수행평가, 대학입시 구술면접, 입사시험 등에서도 자신의 의견을 조리 있게 표현해야 하므로 이러한 능력은 앞으로도 계속 강조될 것이다.담당 학급 어린이들은 발표 의욕이 낮았다. 그러나 일상 대화에서는 자기 말만 내세워 자주 다투며, 대화보다는 거친 말과 폭력이 앞섰다. 화목하고 즐거운 학급을 만들려면 상대를 이해하고 경청할 수 있는 여유로운 마음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린이 개인의 능력 차를 고려하여 서로 도우며 과제를 해결하는 협동학습을 시행하고, 어린이들의 기본생활습관 치료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어린이들이 더 많은 경험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독서와 현장학습의 기회를 확대하여 인성 및 자기 성장에 도움이 되도록 주력하였다. 자신감 형성과 바람직한 대화 기술, 즉 의사소통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해서 자기 성장 프로그램, 말하기 핑퐁, 다양한 토의 및 토론활동 등을 국어·사회과에서 통합·단계적이며 계획적인 프로그램을 구안·적용하였다.
Cost estimating is essential in decision-making for conducting project management on early design stage. The cost estimating method for each stage varies according to level of design detail. Therefore, in the cost estimating method for each stage, it must distinguish quantity items that can be directly measured from quantity items that should be predicted. The parametric estimating method is able to support cost planning for various design attributes as it is possible to set impact factors related to design features as parameters. This study suggests a prediction method for quantity information that is required to estimate the final cost during the early design stage. The case study suggests an predicting method for the steel (rebar) ratio of office buildings. The suggested parametric cost estimating model enables users to predict the steel (rebar) quantity for various design alternatives according to design features. During quantity predictions, IG(Information gain) measurements for the design attributes were analyzed, by setting the ratio of steel-rebar quantity(Ratio: ton/Concrete_㎥) as the dependent variable.
This case study carried out to improve the situation of large gap between scientific evidence and public perception on Extremely Low Frequency-Electric and Magnetic Fields (ELF-EMFs) problems in Korea. According to literature review on techniques and applications for EMF risk communication (RC)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the program which is appropriate for Korean society for RC was developed and the questionnaire to survey on perceptional level on ELF-EMFs based on this program was also developed. As some results of survey the perceptional levels on ELF-EMFs problems from some primary-school students and adults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tools (a presentation, a brochure, and a VOD) and protocols which were developed for RC, we identified in this study that the educational programs for RC have some effects to supply the right information and to improve the perceptional level on ELF-EMF problems to the general population such as the primary-school students and adults in Korea.
본 연구는 국내 주요 과학관 및 자연사 박물관의 지구과학 관련 전시 라벨 텍스트의 서술 특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립 중앙 과학관과 서대문 자연사 박물관에서 자료를 수집하였고, 체계기능언어학을 일부 적용한 분석틀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라벨들은 1) 대부분 평서형 문장, 2) 적절한 과학적 정보의 양, 3) '사실' 위주의 정보 제시, 4) 모두 논리적 설명 장르로 구성되어 있었다. 특히, 국립 중앙 과학관의 라벨들은 5) 전체 어휘 중 과학 용어의 비율이 높고 6) 주어의 절반 이상이 생략되거나 긴 명사화 형태였다. 결론적으로, 분석 대상 라벨들은 전시물과 관람객들 사이에서 과학 문화에 관한 양 방향적 의사소통을 이끌기보다 일 방향적인 의사소통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과학 문화와 관람객의 일상 문화 사이의 열린 구조를 만들어 보다 교육적으로 유의미한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라벨 텍스트의 서술 특징들을 제안하였다.
도덕적으로 옳다고 여겨지는 행동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친사회적-도덕적 행위에 대한 동기 부여가 필요하다. 선행 연구들을 통해 도덕적 행위의 동기 부여에 감정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는 기능성 자기 공명 영상 장치(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를 사용한 인지 신경 과학 분야의 연구들을 통해 실제 보상 및 동기에 관여하는 영역으로 알려진 복측 선조체(ventral striatum, VS)의 활성화를 발견함으로써 확인되었다. 원래 VS는 보상 반응의 핵심적 영역으로 물질적 보상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최근에는 사회적 보상이 주어졌을 때, 친사회적 감정을 강하게 경험할 때에도 활성화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도덕적 의사결정이 필요한 사회적 상황에서 친사회적 도덕감을 경험할 때 보상에 민감한 영역인 VS가 활성화되는 이유에 대한 설명은 아직 명확하지 않다. 따라서 본 리뷰 연구에서는 도덕적 의사결정상황에서 감정의 동기 부여 역할 및 관련 신경 기제에 대해 알아보고, VS를 중심으로 도덕적 의사결정에 관여하는 신경 네트워크 구조를 개관함으로써 친사회적, 도덕적으로 동기 부여가 되는 도덕적 의사결정 상황 및 그 이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