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otential of ecosystem-based fisheries management is recently recognized to be very important to improve the sustainability of fisheries resources. Under the depressed condition of many fisheries resources, this recognition has been expanded and more effort has been taken to improve this approach. Taking ecosystem concept includes the use of other tools of management in addition to fisheries regulation, such as stock and productivity enhancement, provision of physical structure, or marine protected areas. In the ecosystem-based fisheries management approach, it would require to holistically consider ecological interactions of target species with predators, competitors, and prey species, the effects of climate on fisheries ecology, the complex interactions between fishes and their habitat, and the effects of fishing on fish stocks and their ecosystem. Fisheries management based upon the understanding of these factors can prevent significant and potentially irreversible changes in marine ecosystems caused by fishing. A useful approach for analyzing tropho-dynamic interactions and mass-balance in marine ecosystems is introduced to demonstrate the complexity and usefulness of the ecosystem approach, which was applied to a small ecosystem in Korea. Korea should seriously consider to take the ecosystem-based approach to fisheries management, since most major fish stocks are currently depleted due to many reasons such as overfishing, land reclamation and coastal pollution.
본 연구는 자원부족이라는 벤처기업의 독특한 특성을 감안하여 자원기준관점과 이를 보완하는 관계론적 관점, 그리고 국제화와 국제직접투자, 전략적 선택 및 그들의 상호작용이 벤처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했다. 회귀분석 결과는 기업의 기술역량과, 국제화, 그리고 차별화전략의 추구는 기업의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 결과는 또한 기업의 기술역량과 차별화 전략 간의 상호작용, 그리고 차별화전략과 국제진출간의 상호작용 변수들의 회귀계수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정의 값을 가진다는 것을 보여 준다. 이는 기업의 기술역량과 차별화전략간, 그리고 차별화전략과 국제진출간에는 상승작용이 있어 기업의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중소벤처기업은 조직내부에 보유하는 자원이 충분치 않기 때문에 자신에게 부족한 자원과 역량을 보완할 수 있는 파트너와의 제휴를 통한 가치창조가 중요하다. 그러나 회귀분석 결과는 벤처기업의 기술역량과 마케팅제휴, 그리고 기술역량과 생산제휴간의 상호작용은 벤처기업의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국제화는 세계시장으로 나아가고자 하는 기업이 필연코 추구해야 하는 과제이다. 이러한 국제화의 당위성에 비하여 경영자들은 국제화의 실행상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것이 현실이다. 국제화의 구체적인 방법론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특히 한국기업의 경우, 이러한 실행상의 난점이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삼성그룹의 미래전략그룹의 사례를 분석적으로 제시함으로써 국제화의 구체적인 방법론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해 보고자 한다. 1997년 설립 시점부터 2006년까지의 심층적인 역사적 자료와 인터뷰를 기반으로, 삼성그룹은 어떻게 국제화를 실제 진전시키고 있는가를 설명한다. 본 사례는 조직구성요소의 가장 미묘할 수 있는 인적자원(사람)을 통해 국제화를 추구하는 비교적 드문 경우를 보여준다. 10여년의 장기적인 투자를 통해서 미래전략그룹은 삼성의 국제화에 의미있는 공헌을 하고 있다. 사례에서 드러나는 바와 같이, 기업의 국제화는 뛰어난 전략의 수립만으로는 불가능하다. 조직의 변화가 이루어질 때 비로소 국제화가 진행되는 것이다. 조직변화의 핵심에는 결국 사람의 변화가 자리잡고 있다.
점등 효과에 따른 동물플랑크톤 군집동태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통영 바다목장 해역내 한국해양연구원 가두리 설치 지역에서 2004년 7월부터 2004년 8월까지 채집을 실시하였다. 점등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시료 채집은 야간에 점등구간에서 또한 자연상태의 동물플랑크톤 군집과 비교분석을 위하여 같은 시간에 인접 지역에서 점등에 영향을 받지 않는 장소를 선정하여 점등 시료와 동일한 방법으로 채집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중 출현한 동물플랑크톤은 종 수
This paper proposes a real-time resource allocation algorithm for minimizing the completion time of overall workflow process. The jobs in a workflow process are interrelated through the precedence graph including Sequence, AND, OR and Loop control struc
The Korean livestock industry has grown rapidly. Also the relative importance of livestock production in the total agricultural products has also increased very much. However, there are lots of problems to solve from now because of changing circumstances around Korea, such as increasing imports of low price livestock products, decreasing growth rate of domestic food consumption, and food safety problems. New directions for the animal resource industry ar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ly, the business field of livestock industry must be enlarged to the animal resource area. Secondly, food safety and sustainable system are very important sectors to develop the animal resource industry in the future. Thirdly, new cooperative systems in the production field, such as integration, support system for calf raising and manure recycling are necessary. Fourthly, promotion and marketing strategies of brand products must be impro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