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53

        481.
        2015.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examines the trend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participation in content-focused professional development (PD) in Korea using teacher samples from the first and second cycles of The Study on the Actual Status and Quality in School Education. Using chi-square tests and t-tests, we found 1) both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tended to participate in content-focused PD more actively than non-content-focused PD; 2) middle school teachers had a decreasing pattern of participation in content-focused PD; 3)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wed mixed results in participation in content-focused PD; and 4)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nded to participate in content-focused PD more actively than middle school teachers. More support for both middle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is needed to encourage participation in content-focused PD more actively.
        484.
        201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중등 예비체육교사의 교사관심사와 교직전문성과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2014년 현재 국립대학교 사범대학 소속 체육교육과 4학년 예비교사199명(남: 128명, 여: 71명)이며, 설문지를 배포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성별에 따른 교사 관심사와 교직 전문성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독립 표본 t-test를, 교사 관심사와 교직 전문성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상관관계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성별에 따라서 교사 관심사 하위요인 중 자기 관심과 효과 관심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직무 관심에는 유의미한 차이 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교직 전문성 하위요인 중 수업 전문성과 학급경영 및 관리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과 전문직적 태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교직 전문성의 하위요인인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과 교사 관심사의 하위요인인 자기 관심과 직무 관심에 정적인 관계가 발견되었고 교직 전문성의 하위요인인 수업 전문성과 교사 관심사의 하위요인인 자기 관심과 직무 관심은 정적인 관계가 발견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살펴볼 때, 교사 관심사와 교직 전문성을 지속적으로 신장할 수 있도록 돕는 제도적인 장치가 마련되어야 하며, 예비 교사가 교직에 입문했을 때 직업적인 좌절을 겪지 않도록 교직 문화 개선의 필요성을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다.
        486.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sidents' and village leaders' complementary demand for the regional economic vitalization and 6th industrialization in the rural. Based on the field expert'(the head of the village or the chairmen of the farming association) interview, the study was conducted. For the study, 42 villages where selected to consider as 6th industry. Cross table were conducted to see if there were any differences of demand and consideration for between the type of 6th industries. This article further improve the rural environment for 6th industrialization, improve the policy measures in that rural can plan the basis for an effective strategy can be.
        487.
        2014.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교사 전문성 개발 평가를 위한 대안으로서 이론적, 실증적 연구들에 의해 검토된 Desimone 모형의 시사점 및 한계를 탐구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첫째, 교사 전문성 개발 평가에 대한 전통적인 접근법의 한계를 지적하고, Desimone의 이론적 모형의 특징을 기술하였다. 둘째, 최근 5년간 국내에서 효과적인 교사 전문성 개발이라고 검토된 실증적 연구들을 선정하여 각 연구들이 Desimone의 이론적 모형에 의해 어느 정도 설명될 수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Desimone의 모형이 국내의 교사 전문성 개발 평가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488.
        201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o-called Wang-jaesan decision (2013do2511) was declared by ‘Korean Supreme Court’ (hereafter ‘KSC’) in July, 2013. The decision had a lot of important substantial and procedural issues in criminal spheres. However, what I have tried to concentrate in this review are only two issues, the one is the issue of the authenticity of electronic evidence (or digital evidence), the other is the issue of the application of ‘the Korean version hearsay rule’ (hereafter ‘KHR’) of the electronic evidence. The methodology of this review is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Wang-jaesan decision from the perspective of Federal Rules of Evidence (hereafter ‘FRE’). In Wang-jaesan decision KSC defined the concept of integrity of electronic evidence as ‘the contents of the digital data have not been altered in any manner from the moment that were seized’ or ‘that evidence wasn’t changed after it was captured or collected.’ The meaning of this concept is different from the meaning of the traditional ‘exactness of utterances’(成立의 眞正) of article 312, 312 of KHR. That concept was made from the unique Korean modern legal history. However, it cannot deal with so many hard cases properly. Therefore I suggest in chapter Ⅰ, Ⅱ, Ⅲ, Ⅳ that We Korean legal scholars and practitioners should adopt the concept of authentication something like FRE, even though Korean Criminal Procedure Law does not have clear stipulations about it. In chapter Ⅴ, Ⅵ I did comparing analyses about the applications of KHR by KSC since 1990’s up to the 2010’s. I found that KSC has adopted enormously FRE when there were no clear stipulations in Korean Criminal Procedure Law. This is a kind of interesting phenomenon which deserves to b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comparative law and global legal transplant of evidence rule.
        489.
        2014.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다육식물을 이용한 화훼장식을 작품집을 통해 분석한 결과, 디자인, 형태, 결합소재 등 일상생활에서 상품화 되고 있는 다육식물과는 확연히 차별화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앞으로 다육식물을 이용한 화훼장식의 발전을 위해서 판매에 대한 마케팅이 가장 높게 나왔기 때문에 화훼업계 종사자들은 다육식물을 이용한 상품의 디자인을 고려하여 제작하고 소비자들에게 홍보를 통해 마케팅을 한다면 앞으로 화훼업계에 큰 발전을 기대해 볼 수 있다.
        490.
        2014.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음악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사 간 협동이 교사 전문성에 미치는 효과가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미국 뉴욕 주에 소재한 대학교의 석사 프로그램에 참여한 7명의 음악교사들이었으며, 연구방법으로 관찰과 심층면접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간 협동의 효과는 크게 세 가지로 찾아볼 수 있었다. 첫째, 많은 음악교사들이 그들의 동료로부터 교사로서 열린 마음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배웠다. 음악교사들은 수업준비 과정에서 이 태도를 적용시켜 그들의 경험이나 사고에 의존하지 않고 새로운 자료나 교수법에 열린 마음으로 다가가도록 노력하는 모습을 보였다. 둘째, 교사 간 협동은 음악교사들의 교수법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음악교사들은 수업의 방향과 다를지라도 학생들의 의견을 존중하고 수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였으며, 학습자 중심의 교수법을 강조하였다. 또한, 수업시간에 교수들로부터 배운 새로운 교수법을 바탕으로 동료교사들의 참신한 아이디어를 활용하여 다양하고 창의적인 음악활동을 개발하였다. 셋째, 음악교사들은 서로 협동하면서 그들이 취약하다고 여기는 교과과정을 재편성할 수 있었고 그 결과, 교사들은 학생들에게 질 높은 교육을 제공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입각하여 본 연구는 교사들 간의 협동이 학교조직 안에서 적극활용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고자 한다.
        491.
        2014.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 교사가 갖추어야 할 인성요소에 대해 전문가의 인식과 예비교사의 인식이 서로 다른가를 밝히는 데 있다. 또한 교원양성기관 재학기간, 교육실습, 교육봉사 및 진로 요인에 따라 예비교사가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교직인성이 전문가의 인식과 다른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예비교사 252명을 대상으로 전문가 22인과 비교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성실성, 책임감, 교사효능감, 교육적 신념, 소명의식 영역에서 예비교사와 전문가의 중요도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예비교사의 학년에 따라, 교육실습 이수 여부에 따라, 교육봉사 이수 여부에 따라, 그리고 교직 장래희망에 따라 예비교사와 전문가의 교직인성 인식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교사들의 교직 인성 함양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493.
        2013.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과 대학의 연구자가 함께 한 전문학습공동체에서 집단 탐구 과정의 특징과 교사의 학습 기회를 분석하여 수학교과에 대한 초등교사의 수학교과 전문성 신장을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문학습공동체에 참여한 교사 활동의 바람직한 방향을 수학 및 수학교육적 탐구로 보고, 학생중심의 탐구 수학교실의 문화를 논의하는데 유용한 개념인 사회수학적 규범을 분석의 틀로 삼았다. 즉, 사회수학적 규범을 분석하여 전문학습공동체에 참여한 교사의 수학적 참여의 질과 학습의 기회를 기술하고, 이 과정에서 전문학습공동체 참여자들이 겪게 되는 성공과 어려움의 관점에서 전문성 신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전문학습공동체의 사회수학적 규범을 수학에 대한 탐구, 수학 교수법에 대한 탐구, 수학교수법 발달에 대한 탐구로 확장하여 분석한 결과를 기반으로 MKT의 하위 요소인 CCK, SCK, KCS, KCT에 따라 학습 기회를 설명하고 전문학습 공동체 운영의 내용과 방법을 제안하였다.
        494.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국내에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프리미엄 아이스크림 전문점 브랜드의 이미지 연구이다. 소비자가 브랜드 이미지에 대해서 받는 인상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측정이 되고 있지만 브랜드를 보고 판단하는 소비자들의 심리학적인 분석은 미흡한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 페르소나라는 개념을 사용하였다. 브랜드 페르소나란 소비자들이 브랜드의 이미지를 마치 특정한 사람처럼 생각하고 은유한다는 것이다. 이는 실제로 사람들이 편하게 사물을 인식하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자신과 유사한 것을 더 좋아한다는 심리학의 유사성의 법칙이 브랜드 페르소나에 있어서도 역시 동일하게 적용되는지를 본 연구에서는 알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소비자들은 브랜드를 사람과 같이 은유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이 브랜드 페르소나 조사를 통하여 나타났다. 그리고 소비자들은 자신들과 유사한 연령과 성별 그리고 성격을 지닌 브랜드 페르소나에 대한 호감이 상대적으로 상이한 인성유성을 가진 다른 브랜드 페르소나에 비교하여 더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특정 브랜드 페르소나와 고객의 세그먼트 간에 유사한 인간적 특성을 가졌을 때 더 호감을 가질 것이라는 유사성의 법칙은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495.
        201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14명의 예비전문상담교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생각하는 전문상담교사의 역할 수행은 무엇인지, 역할 수행을 위한 경력개발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경력개발을 하는데 있어 저해요인은 무엇인지에 대해 심층면접을 통하여 탐색해 봄으로써 전문상담교사 수행 능력 개발의 시사점을 알아보려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예비전문상담교사들은 전문상담교사가 개인·집단 상담, 심리 검사 및 측정, 행정업무, 센터·병원 연계, 부적응학생 상담, 상담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상당홍보 및 교육, 또래 상담동아리 운영, 진로지도, 학부모 교육연수 등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대답하였다. 역할 수행 능력을 획득하기 위한 실질적인 활동은 대부분 비형식 교육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었다. 경력개발의 개인적 측면의 저해요인은 1)금전적·시간적 어려움 2)정보 부족 3)기회의 부족 4)자신감 부족이었고, 조직적 측면의 저해요인은 1)다양한 역할 수행 요구 2)교장·교감·일반 교사의 상담 몰이해 3)전문성의 의심과 부당한 처우 4)질 좋은 연수 프로그램 부재와 학교 지원 미비 등이었다. 본 연구는 예비전문상담교사들이 전문상담교사의 역할 수행 능력을 획득하기 위해 필요한 경력개발의 방향을 보여줌으로써, 향후 국가 및 단위학교, 양성기관 등이 전문상담교사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경력개발 지원책을 설계할 수 있는 기초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496.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1세기 정보화 시대의 디스플레이는 반도체와 함께 핵심 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는 전기적 정보를 시각정보로 변화시켜 화면으로 구현해주는 영상표시 장치이다. 디스플레이 산업을 살펴보면, 20세기 이전 핵심 디스플레이인 브라운관(CRT)의 단점을 극복한 LCD로 인해 디스플레이 시장은 2000년에 들어서면서 최근까지 비약적으로 성장하여 성숙기로 진입한다. 그러나 LCD 시장은 2008년 이후부터 둔화하기 시작한다. 특히 2010년부터 세계적인 경기 침체, 중대형 LCD 공급 과잉 및 가격 급락, 중국의 LCD 생산 등은 LCD의 시장 성장을 둔화시키는 계기를 마련한다. 이 시점에서 우리는 디스플레이 시장 정체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디스플레이를 탐색할 필요성을 느낀다. 왜냐하면 LCD 산업은 현재 세계 디스플레이 시장의 93%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서 LCD 산업의 둔화는 곧 전체 디스플레이 산업의 둔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디스플레이의 시장현황 및 전망, 디스플레이의 장점 등을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가 주목해야할 차세대 디스플레이를 찾아 새로운 디스플레이 시장 기회를 살펴보고자 한다. 결과적으로 차세대 디스플레이를 Flexible Display로 전망하며, 이에 대한 다양한 전문가 In-depth Interview를 가지고 필터링하고 유사그루핑하여 Focusing된 29가지 Key-Insight Feature를 전략 플랫폼에 Mapping해 봄으로써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Biz 기회를 탐색하고 주력분야를 예측한다.
        497.
        2012.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논문은 스마트교육전문대학원 설립운영구상의 타당성을 SWOP-CIPP 분석을 교육적 타당성 경제적 타당성으로 나누어 검토하고 제도형성이론이 입각하여 그 지속가능한 제도로서의 성공가능성 문제를 논의한다. SWOP-CIPP의 준거를 사용한 기술적 단기 전략적 판단으로 볼 때 스마트교육전문대학원의 설립은 그 타당성이 매우 높은 필요하고도 시급하며 한국교원대학교가 충분한 역량을 가지고 시도할 수 있는 계획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스마트교육전문대학원은 단순이 기업이나 정부가 기획하는 사업을 넘어선 대학이라는 제도의 일부로서 지속가능성을 가져야 한다고 볼 때 제도형성론에서 요구하는 제도로서의 성공가능성은 아직 어려운 숙제로 남아있는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그러한 과제의 성격과 제도적 성공을 위해 추구해야 할 여러 가지 노력의 내용을 확인한데 그 중요한 의의가 있다.
        498.
        2012.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낮은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가진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프로그래밍 학습은 매우 어렵고 힘든 과정일 수 있다. 프로그래밍의 과정은 고차원적 사고를 요구하는 학습 과정이며, 높은 수준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래밍 학습에 어려움을 느끼는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을 위하여 로봇을 활용한 문제 중심 프로그래밍 교수-학습 과정을 설계하여 적용하였다.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은 본 교수-학습 설계를 통하여 프로그래밍의 개념을 익히는 것뿐만 아니라, 총체적으로 낮은 수준의 자기주도 학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G 공업고등학교 3학년 2개 학급에 3주에 걸쳐 실험집단에는 로봇 활용 문제중심 프로그래밍 학습을 통제집단에는 로봇을 활용하지 않은 문제중심 프로그래밍 학습을 실시하였다. 적용 결과, 로봇을 활용한 프로그래밍 활동이 학생들의 자기주도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499.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troducing hearsay rule in 1961, the words of provisions that provide the authentication and attendance of the declarant as exceptions of principle of the court's self-experience, were used as exceptions of the hearsay rule. It results in confusion of the elements of the hearsay rule with the elements of the authentication in the jurisprudence. Many literatures insist and place emphasis on the elements of the authentication as the elements of exceptions of the hearsay rule. With this confusion and misunderstanding, it became very difficult to understand the hearsay rule and many improper interpretations result from this confusion. In the future, the discussion which distinguish the elements of the hearsay rule from the elements of the authentication should be made actively and lead the academy and pract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