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437

        2823.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전원지 역 인 양구군을 대상으로 녹지 면적 및 식생구조 중심의 녹지구조를 정량 분석하고, 녹지에 대한 주민태도의 설문조사를 병행하여 녹지기능을 증진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수목피도는 공원이 약 29%로서 녹지공간 유형 중 가장높았고, 상업지 정원이 가장 낮아 3%에 불과하였다. 양구 전원지역의 수목식재는 개발밀도가 높은 도시의 경우보다 더 빈약하였다. 교목의 흉고직경분포는 20cm 미만의 점유비가 전체의 91%로서 도시지 역과 유사하게 유목 및 성장과정의 수목들이 우점하였다. 식재수종들의 상대우점치를 분석한 결과, 상위권 10개 수종 중4개 수종은 도시에서도 상위 10위권 내인 주요 도시경관수종들이었으며, 일부 우점종만 도시지 역과 상이하였다. 한편, 주거지 및 상업지 정원에선 우점종 대부분이 유실수로서 주로 실용적 수종을 식재한 것으로 나타났다. 녹지면적의 점유비는 공원 약 69%, 주거지 정원 39%, 공공용지 정원 37%, 가로 24%, 상업지 정원 15%등이었다. 향후 수목을 식재할 수 있는 잠재식재공간은 가로가 37%로서 현 수목피도를 약 6배, 주거지와 상업지 정원이 각각 19%,7%로서 현 수목피도를 2배이상 증진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녹지구조와 식재기법, 설문조사분석결과에 근거한 녹지확충 및 기능 개선책은 가로 구간별 테마 창출, 다층구조 조성, 정원 나지에 수목식재 및 건물 주변 에너지 절약적 식재 추진 등으로 요약된다.
        4,000원
        2829.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산림유역 조건에 따른 붕괴 토사량을 측정하여 사면 붕괴가능성을 평가하고 붕괴위험 지역에 대한 예지기술(豫知技術)을 개발함으로서 산지사면에서 발생하는 각종 재해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산림유역 관리에 대한 기술적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하였다. 붕괴 위험지역을 평가한 결과 I급지(매우 위험지역)는 화성암지 역으로 침엽수림이며 임령은 20년생 이하, 토심은 30cm 이하, 토성은 사질식양토(SCL), 석력함량은 31~40%, 사면방위는 남~동(S~E)사면, 주하천길이는 2,501~3,500m, 총하천수는26~30개, 총하천길이는5,501~10,000m, 하천차수는 3차수, 일차하천수는 11~15개 또는 16개 이상, 사면경사는 31˚이상의 지역으로 평가되었고, II급지(위험지역)는 변성암지역으로 활엽수림이며 임령은 21~24년생, 토심은31~40cm, 토성은 미사질식양토(SiCL) 또는 사질식양토(SCL), 석력함량은 11~20%, 사면방위는 남~서(S~W)사면, 주하천길이는 1,501~2,500m, 총하천수는 6~10개, 총하천길이는 3,501~5,500m, 하천차수는 2차수, 일차하천수는 6~10개, 사면경사는 31˚이상의 지역으로 평가되었으며, III급지(비 위험지역)는 퇴적암지역으로 임상은 혼효림, 임령은 25년생 이상, 토심은 41~50cm, 토성은 미사질식양토(SiCL), 석 력함량은 10% 이하, 사면방위는북~서(N~W)사면, 주하천길이는 500m 이하, 총하천수는 5개 이하, 총하천길이는 1,000m 이하, 하천차수는 1차수, 일차하천수는 2개 이하, 사면경사는 25˚이하의 지역으로 평가되었다. 붕괴위험 예측치를 이용하여 붕괴위험지역을 예지한 결과 점수의 합계가 I급지는 4.8052점 이상이며 II급지는 4.8051점에서 2.5602점 사이에 해당하며 III급지는 2.5601점 이하의 지역으로 분석되었다.
        4,000원
        2830.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2831.
        2006.1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concentration of VOCs from newly built apartments in three cities (Suncheon, Yeosu, and Gwangyang) of Honam province in Korea. VOCs were sampled using canister and analyzed by GC/MSD. The result of the canister blank test showed that, most VOCs were not detected when 5 ppb was cleaned once and 10 ppb was cleaned with two times. In case of the replicate alalysis to check for the precision of GC/MSD, RSD values were found to be excellent at 6%. The upper floor of C apartment (25 pyong) showed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TVOCs at 3,235 ㎍/㎥.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TVOCs was the highest in C apartment (25 pyong) as 1,833±1,217 ㎍/㎥.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TVOCs in K (52 pyong) and S apartment (16 pyong) were 1,820±1,035 ㎍/㎥ and 498±71 ㎍/㎥, respectively. The I/O ratio of TVOCs were 8.99∼35.90 (mean : 25.99), 11.51∼35.43 (mean : 20.07) and 6.03∼7.90 (mean : 6.92) in K, C and S apartment, respectively. From these results, it is believed that the concentration of TVOCs was comparatively high in new apartment.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use low VOC emission materials to reduce the emission concentration of VOCs from in new apartment. It is hence necessary that a scientific study is performed to secure clean indoor air quality.
        5,100원
        2832.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양마 3품종을 재식거리, 품종 및 수확시기에 따른 건물수량과 사료성분의 변화를 검토하고자 강원도 철원지역에서 2005년 5월 20일부터 2005년 9월 12일까지 수행되었다. 시험배치는 3반복 분할구 배치로 주구는 재식거리와 수확시기를, 세구는 양마 3품종(Dowling, Everglade 및 Tainung)을 배치했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생육일수에 따른 건물 생산량은 93일까지는 재식거리가 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품종별 건물생
        4,000원
        2833.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2002년 9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내 부속 초지시험포장에서 옥수수 후작물로 적합한 추파용 사료작물의 재배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시험하였다. 공시초종으로 청예용 호밀(Koolgrazer), 보리(Daeyeon Bori) 및 밀(Geumgang Mill)을 주구로 배치하였으며, 수잉기, 출수기, 유숙기 및 황숙기를 세구로 하여 분할구배치법 3반복으로 수행하였다.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2년 평균 ha당 건물수
        4,000원
        2834.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2002년 9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내 부속 초지시험포장에서 수행하였다. 공시초종은 청예웅 호밀(Koolgrazer)과 헤어리베치(Common)를 공시하여 주구로 호밀 단파, 호밀 80%+헤어리베치 20% 혼파, 호밀 60%+헤어리베치 40%혼파 및 헤어리베치 단파 등의 4 파종유형과 세구로 수잉기, 출수기, 개화기 및 유숙기 등의 4 수확시기를 두어 분할구배치법 3반복으로 시험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4,000원
        2835.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900원
        2836.
        200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 마케팅 홍보에 있어서 관계마케팅 개념을 도입하여야 할 필 요성을 강조하면서 관계의 질적인 측면에서 영향을 미치는 관계마케팅 요인을 제시하여 지 역 관계마케팅 홍보 전략수립을 위한 이론적 틀을 제시하는 것이다. 관계마케팅적 접근에 의하면 지역은 거대한 시스템으로 인식되며 그 시스템의 하위 시스템으로서 방문객 관계, 타 지역 경쟁관계, 타 지역 제휴 관계, 지역 내부 관계 및 지역 환경 관계 등이 상호의존적 으로 작용하면서 최종적으로는 지역과 방문객간의 관계의 질을 향상시키게 된다. 관계의 질 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신뢰, 안전, 상호 커뮤니케이션의 질적 수준 및 관계적 규범 등으 로서 이러한 요인들은 지역에 대한 방문객의 이미지 형성에 작용하여 지역과의 관계정립에 긍정적 혹은 부정적 결과를 가져다 준다.
        5,500원
        2837.
        200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지역방송이 처한 이러한 ‘위기’의 내용과 그 원인을 살펴보고, 지역방송 위상 재정립 및 발전을 위한 정책 방안을, 방송광고 요금 및 판매와 관련된 한국방송광고공사의 기능과 지역방송광고 정책대안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고자 한다. 지방광고시장의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 지방광고 시장의 기회요인 및 구체적인 활성화 방안을 찾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질적, 양적 연구방법을 병행했다. 이상의 질적 연구와 아울러 지방광고시장이 처한 다양한 차원의 문제들을 규명하고 그에 관 한 해결책을 모색하기 위해 광고인을 대상으로 한 심층인터뷰 자료를 활용하였다. 심층인터 뷰 항목은 첫째, 지방광고시장 현황과 그 문제점 제시, 둘째, 중앙광고와 비교해 지방광고 의 특성과 차이점 제시, 셋째, 지방광고 환경의 변화와 그에 따른 기회요인 제시, 넷째, 지 역방송 발전과 KOBACO의 역할제시, 다섯째, 지방광고시장 활성화 방안 제시 등으로 구성되 었다. 문헌, 인터뷰를 근간으로 지방광고시장의 주요 구성요소인 지역방송 광고 현황 및 문제점, 광 고요금 현황 및 문제점, 광고 판매제도의 문제점 등의 문제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지방광고시 장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지역방송이 처한 또 하나의 위기는 경제적 측면에서의 위기이다. 지역방송은 비록 외형적으 로는 우량한 경영실적을 실현하고 있지만, 그 기반은 아주 취약하여 중앙의 키국에 의존적 일 뿐 아니라, 지역방송의 기반이 근본적으로 바뀌는 구조적 전환기에 처해 있다는 점이다. 현재 지역방송에 대한 지원방안은 여러 방면에서 제시되고 있다. 그 중 KOBACO와 관련된 방송광고요금 및 판매에 관한 것으로는 ▶지역방송광고요금 수준 인상 및 요금체계 개편 ▶지역방송광고 판매활동 강화 및 판매비율 제고 ▶릴레이요금 중 전파료 비율 인상 및 전파료 배분 비율 조정 ▶지역방송광고 규제 완화 및 수수료율 인하 등이 있다. 이 방안은 지역방송전문가들이 지적하듯이 양면성을 지니고 있다. 결론적으로 원칙은 확고히 세우되, 구체적 실천은 단계적이고 점진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조사를 통해 합리적 기준을 세우되, 그에 맞추어 현재의 광고요금을 조정하는 작업은 수년에 걸쳐 단계적이고 점진적으로 진행함으로써, 충격과 반발을 최소화 해야 한다. 또한 TV광고요금을 점진적으로 현실화하여 전체 방송광고비의 파이를 키우면서 광고요금 재조정작업을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6,300원
        2838.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임상적 활용을 위하여 LOTCA-G 번역판을 사용하여 도시지역 노인의 인지기능을 알아보고, LOTCA-G 한국판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자는 대전광역시에 거주하는 뇌손상의 경험이 없거나 치매로 진단받지 않은 65세 이상의 노인 117명이었으며 직접 면접조사 및 LOTCA-G를 사용한 인지기능평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05년 3월 11일에서 4월 2일까지로 23일간 실시되었다. 결과 : 1. 연구대상자들의 LOTCA-G를 이용한 인지기능 검사 점수는 총점 104점에 평균 92.17±10.66점이었으며, 연령이 낮은 군일수록, 교육수준이 높은 군일수록 인지기능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2. LOTCA-G의 각 하위영역별 평가 점수는 교육수준이 높은 군인 경우에 대부분의 영역에서 유의하게 높았고, 연령이 높은 군일수록 각 영역 별로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아졌다.3. LOTCA-G의 각 하위영역 간 관계는 실행력과 주의력/집중력을 제외하고는 모든 영역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4. MMSE-K와 LOTCA-G의 총점수를 비교했을 때 유의한 높은 상관관계를 가짐을 알 수 있었으며, MMSE-K의 분류별 점수에 따른 LOTCA-G의 점수는 24점 이상(96.35±5.52), 23-18점(87.72±5.52), 17점(55.40±16.56)으로 각 각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 LOTCA-G를 사용한 도시지역 노인의 인지기능수준은 연령, 교육기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간이신경검사인 MMSE-K와 비교하였을 때 LOTCA-G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어 연구에서 사용된 한국어로 번안된 본 도구도 인지기능을 평가하는 데 타당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외국에서 개발된 LOTCA-G를 그대로 번안 하여 사용한 것이므로 문화적, 사회적 차이로 인한 문항 간 차이점이 존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후속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수정 및 보완하여 한국판 LOTCA-G를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4,500원
        2839.
        200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군위군 오이재배지역을 정밀토양도를 이용하여 토양특성을 조사하고, 군위군 노지 및 시설오이 재배지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여, 연작과 관행적인 토양관리로 인하여 저하된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을 오이재배에 적합한 토양으로 개량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토양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지역은 군위군 군위읍 외랑리 오이재배단지로서 주요 토양통은 토양도에 나타난 단북통과 신정통이 가장 넓게 분포하였으며, 점토함량은 시설재배지내 토양의 경우 양토이었으며, 시설재배지의 외부 토양의 경우 23.8%로 높게 나타났다. 오이재배지 토양의 화학적 특성 결과에 대한 오이재배지 토양의 적정범위와 비교하여 보면 일반적인 화학적 성질에서 서는 유효 인산의 함량이 적정범위보다 높은 것을 알 수 있으며, 치환성 양이온 함량은 시설재배지의 외부토양은 적정범위에 속하나 시설재배지 내부토양은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상부 토양은 매우 높으나 10cm 이하는 깊이에 따라 뚜렷한 차이는 없었다. 오이 재배지 토양 중 중금속 함량은 모두 기준치보다 높게 나타났는데, 구리의 함량이 시설재배지가 노지재배지보다 높게 나타났다. 시설재배지의 경우는 다른 곳과 달리 표토 위에 부숙이 어려운 유기물의 과량투입에 따라 표토 위의 유기물 30% 이상의 유기물 층이 존재하여 모든 양분 성분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안정적인 생산을 위해서는 토양분석에 따른 토양관리법의 확립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840.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명이란 지표에 나타나는 실체에 대한 명칭이다. 세계화의 진행과 더불어 지명의 중요성과 제정과 폐지와 관련된 절차의 표준화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다. 미국과 캐나다의 경우 건국 초기부터 지명과 관련된 조직을 설치하고 지명 제정의 절차와 원칙을 표준화하고 있으며, 유엔지명전문가회의에서도 이를 명문화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 지명의 경우 로마자화 표기 원칙을 개선하고 이를 널리 홍보하며 관련 국제기구에 등록하고 전문적인 문서를 데이터베이스화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지명위원회를 상설조직화하고, 북한과의 지명관련 협의를 촉진하고 구글어스와 같은 인터넷을 활용하는 국제화와 관련된 노력이 필요할 것을 제안한다.
        4,3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