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한반도 남부 지역에서의 지진동 감쇄식을 개발하는 것이다 활용가능한 계기 지진 자료로부터 지진원 및 지반 매질의 특성을 추정하고 그 값을 입력 요소로써 사용하였다 확률진동이론에 의하여 최대 지반가속도 및 의사 속도 응답스펙트럼을 모사하여 이로부터 최대지반 가속도 및 의사 속도 응답스펙트럼에 대한 감쇄식을 지역규모 및 진원거리의 함수로 개발하였다
1998년 5월 3일부터 11월 8일까지 한려해상국립공원 중 거제도 일대에서 양서류 및 파충류상을 조사한 결과 양서류는 총 2목 5과 9종, 파충류는 1목 3과 9종이 관찰되어 덕유산 주왕산 설악산 국립공원 등, 타 국립공원의 생물상보다 상대적으로 풍부한 결과로 나타났다. 특정야생동물로 도롱뇽, 두꺼비, 산개구리, 아무르산개구리, 무자치, 능구렁이, 실뱀, 살모사와 까치살모사 등 9종의 양서류 및 파충류를 관찰 및 탐문으로 조사할 수 있었다. 또한 외래종인 황소개구리가 1개 지역에 집중 분포하였는데 국립공원구역에 더 이상 확산되는 것을 막기 위한 특별한 관리가 요구되었다.
한려해상국립공원의 금산지역 벽련-대장봉 계곡부(해발 200~650m)의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른 산림구조를 조사하기 위하여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라 48개 조사구를 설정하였다. 교목상층의 밀도. 평균흉고직경, 흉고단면적의 범위는 각각 820~1873본/ha, 10.7~14.6cm, 17.7~22.2m2/ha이었으며, 해발고가 높아질수록 교목층 전체의 밀도는 감소하는 반면 평균흉고직경과 흉고단면적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해발고가 높아짐에 따라 중요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수종은 신갈나무, 때죽나무, 당단풍, 팥배나무 등이었으며. 감소하는 수종은 해송, 소나무, 산벚나무, 산딸나무, 사스레피나무 등이었다 사면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중요치가 증가하는 수종은 쇠물푸레, 굴참나무, 팥배나무 등이었으며, 감소하는 수종은 때죽나무, 비목, 느티나무 등이었다. 계곡 정부를 제외할 때 해발고가 높아질수록 종수, 균재도, 종다양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인간의 간섭이 비교적 심하였음이 시사되었다. 계곡정부를 제외한 해발고대간 유사도지수는 42.0~7l.8%, 사면부위간 유사도지수는 74.8~76.7%로서 사면부위보다 해발고에 따른 종구성 상태의 차이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종별 중요치에 의하여 cluster분석한 결과 계곡하부의 졸참나무-소나무군집, 계곡중부의 사면 중, 하부와 계곡상부의 서어나무-활엽수군집, 계곡중부의 사면상부에 위치하는 굴참나무-서어나무군집, 계곡정부의 신갈나무-때죽나무군집 등 4개 군집으로 구분되었다. 종상관 분석 결과 졸참나무, 소나무, 해송 사스레피나무 등 4개 수종간, 서어나무, 느티나무, 말채나무 등 3개 수종간 유의적인 정의 상관이 있었다.
한려해상국립공원 거제도 학동지역 동백나무림 천연기념물의 식물군집구조와 식생관리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대상지에 46개 조사구를 설정하였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DCA분석과 평균상대우점치 분석 결과 46개 조사구는 동백나무군집, 동백나무-사스레피나무군집, 동백나무-참식나무군집. 편백-동백나무군집 등 4개 군집으로 나누어졌다. 군집별 천이경향은 동백나무-참식나무군집은 참식나무로의 생태적 천이가 진행될 것이며, 나머지 3개 군집은 현 상태로 유지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대상지의 식생관리는 천이억제형 식생관리가 바람직 할 것으로 보이며, 식생관리에서 제거해야 할 수종으로 단기적으로는 편백. 참식나무, 사스레피나무 3종이며, 까마귀쪽나무, 후박나무, 나도밤나무, 산벚나무, 졸참나무 등 5종은 장기적인 관리대상 수종이었다.
본 조사는 1998년 5월부터 9월까지 총 8일간 한려해상국립공원 지역의 관속식물상을 조사한 결과 125과, 396속, 573종, 83변종, 11품종 3교잡종 총 670종류(taxa)로 조사되었다. 이 중 남해지역은 117과, 296속, 373종, 53변종 7품종, 3교잡종 총 436종류(taxa), 가라산지역은 73과, 129속, 153종, 16변종 2품종 총171종류(taxa), 통영지역은 97과 280속, 475종, 53변종, 5품종, 1교잡종 총 434종류(taxa)로 각각 조사되었다. 한려해상국립공원 지역은 도로와 이들 주변의 위락시설 및 관상수 농장 등으로 인해 다른 국립공원 지역과 비교할 때 식생의 파괴가 심각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들 지역의 특징적인 식생과 식물상을 적극적으로 보전하기 위한 대책이 시급히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with 482 subjects(278 boys and 204 girls in Seoul and Kyunggido area) to find out the attitude and eating behaviors about Kimchi on Korean young generation. General characteristics about subject and attitude and eating behavior were surveyed by self-developed questionnaires. 85.9% of the subjects were nuclear family type and 49.9% of respondent's mother had full-time job and 96.1% of subjects were middle or upper economic status. The preference for Kimchi, 60.4%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liked Kimchi. According to grade, the rate of preference about Kimchi was significantly different, higher grade students were found higher preference on Kimchi : 64.4% of middle and 70.4% of high school students liked Kimchi. The eating patterns of Kimchi, up to 60% of respondents answered they ate Kimchi in every meal time, which suggested that it was still an important side dish in Korean meal among teenagers. The eating behaviors on Kimchi, 85~90%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preferred Kimchi in meal time. Baechu Kimchi(chinese cabbage Kimchi) and Gakdugi(radish cube Kimchi) was highly preferred. And their preference of food which made from Kimchi (such as Kimchi fried rice, Kimchi stew, Kimchi pancake) was highly evaluated. 65.6% of residents pointed out that 'Kimchi is very nutritious food'. The respondent's structure of value on Kimchi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sex and age. But it was significantly difference(p〈0.01) between the groups with preference and familiarity on Kimchi. The group had higher preference and familiarity on Kimchi agreed to the positive values about Kimchi. These result suggested that various kinds of Kimchi should be developed for young generation to meet their taste and also continuous nutrition education about traditional food especially Kimchi should be promoted at home and school.
Three kinds of traditional Andong vinegars, manufactured from Songwhaju which was a traditional rice alcoholic beverage in Andong province, were investigated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compared with commercial rice vinegar speciality and on the factors affecting their flavor components. Traditional Andong vinegars had a low level of total acids(3.1~3.6%) and more soluble solids than rice vinegar speciality. Lactic acid contents were also high and it came from lactic acid fermentation in the early stage of the vinegar manufacturing process. Other organic acids such as malic, citric and succinic acid were also detected. Free amino acid analysis showed that alanine, arginine and leucine contents, which were known as a main characteristics of rice vinegar, were especially high. In addition, a considerable amounts of glutamic acid and aspartic acid which were known as a mild effectors of acidic taste in rice vinegar products were detected.
A survey was conducted in 591 college students using 8 different cafeterias serving 31 meals. The information was obtained about the name and amount of dishes they consumed from the menu offered by college foodservice. Mean nutrient contents per meal in offered menu were higher than 1/3 of RDA for their age, sex in offered menu. The mean energy content was 466kcal from rice, 113kcal from soup, 141kcal from side dish and 21kcal from kimchi. When side dishes were classified by cooking methods, side dishes using grilling, frying, roasting methods had high energy content and fat percent above 200kcal, 40% per dish. By main ingredients, side dishes with animal food were higher energy than with plant food. Students consumed 94% of the energy provided in offered menu. When compared to proportion of foods consumed by sex, there was 43% of female and 22% of male consumed less than half in soup and 31% of female and 12% of male in kimchi. The most prevalent menu patterns of subjects included rice, soup, 2 side dishes, kimchi and were the same in both sexes. Mean energy intakes per meal were 989kcal for males and 842kcal for females which were enough to meet 1/3 of RDA for their age and sex. Most nutrient intake except fat and vitamin B1 were higher in set menu than in cafeteria. Nutrient adequacy ratio(NAR) were above 0.9 except calcium and vitamin A. The mean energy intake was 542kcal from rice, 70kcal from soup, 164kcal from side dish and 20kcal from kimchi. In conclusion, intake of most of the nutrients of students obtained from males in college foodservice were sufficient but calcium intake was insufficient and fat content was above 20% of energy. High fat consumption was due to side dishes from frying, grilling, roasting with animal food. To provide desirable meals in college foodservice, use of fat in cooking must be decreased.
위암발증의 원인을 밝히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통하여 강원도 화천군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일반사항, 생활습관 및 영양섭취실태와, ELISA법으로 Helicobacter pylori 감염률을 조사하였다. 조사 대상자는 40∼69세까지의 지역주민 169명으로 남자 79명, 여자 90명이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 대상자의 학력은 65.7%가 초등학교 이하였으며, 월수입은 60%가 50만원 이하였다. 대상자의 62.7%가 농업에 종사하였고 자녀수는 64.3%가 3∼5명이었으며 대상자의 34.5%가 흡연을 하고 있었고 68.4%가 음주를 한다고 대답하였다. 대상자의 전체 평균신장은 156.7㎝로 여자는 150.1㎝, 남자는 164.4㎝ 이었다. 평균체중은 61.1㎏으로 여자의 체중은 57㎏, 남자는 65.7㎏이었으며 BMI는 전체 평균 25.5%로 여자는 24.8%, 남자는 20.1%이었다. Helicobacter pylori의 감염률은 전체 조사대상자의 66.3%이었으며, 여자의 67.7%, 남자의 64.6%가 감염되었고 연령별로는 40대의 70%, 50대의 62.2%, 60대의 69.4%가 각각 감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일상 생활 요인에 따른 Helicobacter pylori의 감염률은 흡연의 정도가 심하고 학력이 낮으며 월수입이 낮을수록 높은 경향을 보였다. Helicobacter pylori의 감염여부에 따라 감염자와 비감염자의 영양섭취량을 조사해 본 결과 비감염자는 감염자와 비교해서 에너지, 총단백질, 동물성 단백질, 칼슘, 비타민 C 섭취량이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철분과 niacin의 섭취량은 낮은 경향을 보였다.
1991년부터 1993년까지와 1995년부터 1997년까지 각각 3년 동안 광주시 근교지역 각 농가에서 광주시 보건환경연구원 가축위생연구부에 병성감정을 의뢰한 원유를 대상으로 젖소 유방염의 발생양상과 원인균의 항생제에 대한 감수성의 경시변화를 조사분석한 결과, 체세포수검사 양성율은 11.1%로부터 8.0%로 감소되었으며 원인균의 발생율은 Staph. sp.가 49.7%이었고 다음은 E. coli가 23.2%, Strep. sp.가 10.4%, Bac. sp.가 7.2%의 순이었는데, 이의 항생제에 대한 감수성은 전반적으로 크게 저하되었다.
울릉도 성인봉지역(해발 984m)에 대해 해발고별 식생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해발고 l00m단위마다 l0m×10m(l00m2) 조사구 4개씩을 설치 총 40개 조사구를 조사하였다. 군집의 분리를 위하여 TWINSPAN과 DCA를 이용하였으며, TWINSPAN분석 결과 해발 300m이하의 저지대, 해발 400~700m사이의 중지대, 그리고 해발 800m이상의 고지대로 구분되었고, DCA분석 결과 저지대와 중지대사이에 식생의 비연속성이 뚜렷하였고, 유사도지수도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해발고별 종다양성분석에서는 해발고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다만 최대종다양도는 저지대로 갈수록 높았다. 밀도분석에서는 중지대가 교목층과 아교목층에서 개체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흉고단면적은 저지대가 높았다.
충남 홍성에 위치한 백동 사문암지역에서 암석 및 토양에 함유되어 있는 중금속 함량과 이 지역에서 생육하고있는 소나무 및 리기다소나무에 의해 식물체의 부위별로 흡수된 중금속 농도를 다른 모암지역(각섬석 편암 및 편마암)과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암석의 경우 사문암의 Ni, Cr, Co, Fe 농도가 각섬석 편암 및 편마암에 비해 더 높았다. 상부토양도 암석과 매우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어서, 특히 Ni, Cr, Co, Fe는 사문암토양이 가장 높았고, Zn과 Sc는 각섬석 편암이 더 높았다. 소나무의 평균 중금속 함량은 사문암지역에서 Ni, Cr, Co, Au, As, Sb. W농도가 가장 높았으며, 이 중 Ni, Cr, Co는 암석 및 토양내 높은 함량 변화와도 일치하였다. 그외에 Zn, Sc는 각섬석 편암지역이 높았으며, Fe, Mo는 편마암이 각각 높았다. 같은 사문암지역에 분포하는 두 수종을 비교하면 대부분의 원소에서 소나무보다 리기다소나무내 함량이 더 높았으며(Ni 및 W은 예외), 이로 보아 식물체로의 중금속 흡수량이 리기다소나무가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식물체의 부위별로 비교해 보면 두 수종 모두 모암의 구별없이 대부분 원소에서 뿌리부분이 지상부보다 흡수량이 높았다. 사문암지역에서 대부분 원소(Ni, Cr, Co, Zn, Sc, Fe)의 상대적인 비(평균 식물체 함량/토양 함량)는 모두 사문암보다 각섬석 편암이나 편마암지역에서 더 높았다. 특히 편마암지역은 Zn을 제외하고 전 원소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연구는 전북에 소재한 3개 중소기업의 국제화 사례를 바탕으로 지방중소기업의 국제화과 정을 연구한 것이다. 조선이기, 한독엘리베이터, 아이본 등 3개 기업의 사장과 2-3시간에 걸쳐 수출과정, 해외직접투자과정, 국제화 애로사항 등을 심층 인터뷰한 결과를 바탕으로 지방중소기업의 국제화 특징과 문제점을 파악하여 국제화이론, 기업전략 및 지방정부의 정책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지방중소기업들의 국제화 특징은 개인위주의 비체계적인 국제화, 생존차원에서 부족한 부분을 보완키 위한 국제화, 신속하고 유연한 국제화, 지방비용을 안고 국제화 등으로 요약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지방중소기업의 국제화는 순차적이고 점진적인 국제화과정을 상정한 웁살라모델보다는 혁신채택과정을 상정하는 국제화모델로 설명하는 것이 보다 타당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국제화과정에서 부딪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최고경영자의 경험지식을 내부적으로 체계화하는 작업과 지속적인 학습이 필요하며. 산업화 기반을 확충하고 지역특화산업을 육성하고자 하는 지방정부의 노력이 더욱 요구된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여천공단 주변 산림지역의 식물군집구조를 밝히고 13년간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300m2 조사구를 27개소 설정하였다. DCA ordination분석 결과 곰솔군집, 곰솔-참나무류군집, 곰솔-사스레피나무군집, 소나무-곰솔군집, 소나무군집으로 나누어졌다. 5개 군집의 천이경향을 살펴보면 곰솔-참나무류군집, 소나무-곰솔군집은 졸참나무, 상수리나무를 중심으로한 참나무류군집으로 변화될 것이며, 곰솔군집, 곰솔-사스레피나무군집, 소나무군집은 현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5개 군집의 토양산도는 pH 4.38~4.61로 산성토양이었으며, 유기물함량, 치환성양이온(C a++, Mg++, K+)함량은 전국토양의 평균치보다 낮은 상태로 불량하였다. 13년간의 식물군집구조와 토양특성변화를 살펴보면 종수, Shannon의 종다양도, 최대종다양도에 있어 1983년보다 1996년이 높아졌으며, 토양특성도 동일한 경향이었다.
The urban form of Korean cities significantly changed in the late Chosun dynasty. The influence of commercial development was the main cause of these changes. Commerce became a important function of existing cities, and the new type of commercial towns emerged at the important spots of traffic routes. In both cases streets became dominant element of urban form. Mainly commercial buildings aggregated along the streets, and to obtain higher land use intensity shape of lots became narrow and deep. Koyang(高陽) shows the most significant example of this new type of lot and lot pattern. Approximately 30 narrow and deep type of lots lined on each side of street forming about 390 meters long linear commercial town. Similar examples were found at the outside of south gate of Suwon(水原), Nuwon(樓院), and Pangyo(板橋).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atterns of Korean traditional food use in the households of middle aged women living in Kyunggido and Incheon area Four hundred eighty seven housewives whose children were in middle school answered the questionnaire about Korean traditional food use patterns in ordinary days, national festive days and in private celebration or memorial days. Most households have used Korean traditional table setting called Bansang as daily meals(96.7%) and have used home-made Kimchi(97.3%). However, the use of home-made Jang such as soy sauce, soybean paste and red pepper soybean paste was not very high(64.3%). Most households have celebrated New Years day(99.6%) with Ddukguk and Manduguk, Chusuk(95.1%) with Songpyun, and fruits, Full-Moon day(95.1%) with Ogokbap, Namul and Brum. Dongji was celebrated with Patjug by 73.3% of households. However, Samjitnal and Danho were celebrated with Whajeon and Ssukjulpyun by only 18.9% and 43.8% of the households respectively. The households using Korean traditional food to celebrate the birthday, the 1st birthday of child, the wedding or to memorize the passing day of ancestors were 96.0%, 80.7%, 81.3% and 86.7% respectively. Compared to households of urban and nuclear family, households of rural and extended family tended to use significantly more Korean traditional foods in many occasions and showed significantly higher rate of using home-made Kimchi and Ja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