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440

        3401.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urban form of Korean cities significantly changed in the late Chosun dynasty. The influence of commercial development was the main cause of these changes. Commerce became a important function of existing cities, and the new type of commercial towns emerged at the important spots of traffic routes. In both cases streets became dominant element of urban form. Mainly commercial buildings aggregated along the streets, and to obtain higher land use intensity shape of lots became narrow and deep. Koyang(高陽) shows the most significant example of this new type of lot and lot pattern. Approximately 30 narrow and deep type of lots lined on each side of street forming about 390 meters long linear commercial town. Similar examples were found at the outside of south gate of Suwon(水原), Nuwon(樓院), and Pangyo(板橋).
        5,400원
        3402.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atterns of Korean traditional food use in the households of middle aged women living in Kyunggido and Incheon area Four hundred eighty seven housewives whose children were in middle school answered the questionnaire about Korean traditional food use patterns in ordinary days, national festive days and in private celebration or memorial days. Most households have used Korean traditional table setting called Bansang as daily meals(96.7%) and have used home-made Kimchi(97.3%). However, the use of home-made Jang such as soy sauce, soybean paste and red pepper soybean paste was not very high(64.3%). Most households have celebrated New Years day(99.6%) with Ddukguk and Manduguk, Chusuk(95.1%) with Songpyun, and fruits, Full-Moon day(95.1%) with Ogokbap, Namul and Brum. Dongji was celebrated with Patjug by 73.3% of households. However, Samjitnal and Danho were celebrated with Whajeon and Ssukjulpyun by only 18.9% and 43.8% of the households respectively. The households using Korean traditional food to celebrate the birthday, the 1st birthday of child, the wedding or to memorize the passing day of ancestors were 96.0%, 80.7%, 81.3% and 86.7% respectively. Compared to households of urban and nuclear family, households of rural and extended family tended to use significantly more Korean traditional foods in many occasions and showed significantly higher rate of using home-made Kimchi and Jang.
        4,600원
        3403.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hropometry, dietary attitudes and the other factors of 201 children in day-care centers according to their parents' income levels. The evaluation was conducted using anthropometric measurements such as height, weight, skinfold thickness, blood pressure, and questionnaire survey which was completed by the children's mother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Overall growth of children was normal according to Korean standar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nthropometry according to the income levels. The scores of eating habits of children were different significantly according to income levels. That is, the score was the lowest in the low-income group. Children generally prefer one-dish meal or snacks, while the preference levels of kimchi, seasoned vegetable and beans broiled in soysauce were lower than those cf other foods. In the questions to know mothers' nutrition knowledge, we could see that they didn't know well about protein, breast-feeding, weaning and balance in nutrients. Nutrition knowledge score of mothers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low income group, which shows close relationship with low-score eating habits of their children. The score of nutrition knowledge was affected by the mother's education level. The higher the mother's nutrition knowledge and education level, the better children's eating habits. These findings emphasize the planning and application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for mothers especially in the low income group.
        4,000원
        3405.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 경북지방의 수박 및 참외재배에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대형터널 하우스의 온도 변화를 분석한 결과, 터널하우스 내 기온은 일몰과 함께 강하하여 외기온과 비슷한 온도를 유지하는 시간은 일몰 후 약 2시간 30분 전후로 나타났으며, 자연환기장치인 환기공 및 수동식 측창이 설치되어 재배기간중 하우스내 최고기온은 40℃ 이상 유지되지는 않았다. 하우스야간온도는 높이별 위치에 관계없이 거의 같은 온도로 유지되었으며, 재배기간중 야간온도는 외기온보다 2~3℃정도 높게 유지할 수 있었지만, 외기온이 적온 이하일 때는 보온의 필요성이 있었다. 또 재배기간중 20cm 깊이의 지온은 20℃ 이상을 유지할 수 있어서 적정지온 확보에는 문제가 없었으며, 일변동폭은 3~5℃ 정도이고 관수로 인한 지온저하는 5~6℃ 정도였다
        4,500원
        3406.
        199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96년과 1997년도 2년동안 1월부터 12월까지의 영남지역의 5개소를 선정하여 실험하였다. 본 실험에서 조사한 지역은 낙동강 유로연장 521.1km중 57%에 해당하는 경상북도 유로구간 298.1km로서 상류지역 3개소(안동, 상주, 구미), 중류지역 2개소(왜관, 고령)로 총 5개소에 대해 실시하여 낙동강의 수질오염 특성을 알아보고 낙동강 수질 개선 및 장례에 예상되는 수질악화에 대비한 물 관리의 기초자료로서 활용하고자 본연구를 시도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낙동강의 조사지역 5개소의 pH는 공히 6.5~8.6 정도를 나타내었다. 2. 용존산소량(DO),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은 여름철에 낮아지고 겨울철에 높아지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3. 부유물질(SS)은 여름철에 급격히 높아지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4. 총인과 총질소는 조류가 번식하여 부영양화를 일으킬 만큼 높은 수준은 관찰되지 않았으나 상당한 수준의 양이 관찰되었다. 5. -N와 -N는 비교적 높은 수준이 관찰되었다.
        4,000원
        3407.
        199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충북 영동, 경북 경산과 경주에서 1996년 12월과 1997년 1월에 포도나무 가지를 채취하여 저온에 대한 내성을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포도 Campbell Early 품종의 E.C.를 보면 12월 중의 저온에 대한 내성은 각 지역별로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으나 1월은 경주에서 재배되는 것이 가장 피해가 적었고, 충북 영동의 것이 피해가 가장 많았다. 2. Sheridan 품종 역시 12월의 E.C.가 영동에서 피해가 많았다. 경주와 경산에서는 피해가 적었다. 그리고, 1월은 전반적으로 피해가 많았다. 3. 눈의 갈변도 측정에서 두 품종 모두 영동지역에서는 12월이 1월보다 피해가 심하였고, 경북 경산, 경주 지역은 12월과 1월 모두 영동지역보다 피해가 적었다. 4. 수피 갈변도 측정에서 눈의 갈변도와 같은 경향으로 영동 지역에서 12월 휴면 초기가 피해가 심하였고, 1월은 저온에 강한 편이었다. 5. 눈의 맹아율은 12월에 에서도 맹아가 되었으나 1월에는 영동을 제외한 경산과 경주에서는 맹아율이 높았고 영동지역에서는 와 에서 낮았다.
        4,000원
        3408.
        199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8,100원
        3409.
        199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8,300원
        3410.
        1998.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the effect of in-class nutrition education and exercise program for obese adolescent boys in Taegu with the nutrition knowledge test before and after education program and anthropometric measurement. The subjects were consisted of a normal group (NG; n= 13) and an obese group (n=30). The obese group is divided into two groups; obese group A (OG-A; n=12), participated in a ten-week nutrition education only; and obese group B (OG-B; n=28), participated in a ten-week nutrition education and exercise program. The anthropometric data of the three groups were increased after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However the obesity index(BMI, R hrer, WHR, Skinfold thickness) of OG-B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he programs. The nutrition intake data were also changed after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Especially the intake of carbohydrat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OG-B from 421.5±155.9g to 349.0±41.0g (p〈0.05) after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It was noted that the intake of Ca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all three groups after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The mean score of the nutrition knowledge test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13.7±3.1 to 17.8±3.0 after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The result strongly suggested that nutrition education program should be successful if the obese adolescents and their parents especially mothers participated in the same class. In summary, nutrition education and exercise programs were effective on reducing obesity of obese adolescents. Nutrition knowledge of obese adolescen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nutrition education program.
        4,000원
        3411.
        1998.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울지역 대학생들의 식생활 태도, 건강과 관련된 사항, 식습관 평가, 스트레스정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학생의 53.5%가 정상체중. 43.3%가 저체중으로 나타났다. 여학생은 저체중이 68.7%로 남학생 20.1% 보다 현저하게 높았다. 2. 대학생의 62%가 '하루 3회' 식사한다고 응답하였고 아침식사를 하는 대학생은 34.1%로 대부분의 대학생이 아침식사를 거르고 있었다. 식사시간은 대체로 불규칙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3. 일주일에 1-2회 이상 운동하는 남학생은 73.2%로 여학생 48.0%보다 높았다. 흡연을 하지 않는 여학생은 89.3%로 남학생 41.5% 보다 현저하게 높았다. 대학생의 84.4%가 자신의 체형에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여학생은 현재의 체형보다 날씬해져야 한다는 응답이 80.0%로 남학생의 42.1%보다 높았다. 4. 대학생의 61.5%가 식품의 배합에 별로 관심이 없다고 응답하였고 녹황색채소를 거의 매일 섭취하는 여학생이 41.6%로 남학생의 32.3% 보다 높았고 과일의 섭취도 거의 매일 섭취하는 여학생이 45.3%로 남학생의 20.1%보다 높게 나타났다. 두부나 콩제품은 대학생의 55.6%가 '주 2회 이하' 섭취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우유나 요구르트는 83.8%의 대학생이 '주 2-3회 이상'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대학생의 식습관은 보통 이하로 평가되었으며 여학생의 식습관이 남학생보다 바람직하였고 자택에서 통학하는 대학생이 하숙, 자취, 기숙사 또는 친척집에서 통학하는 대학생 보다 식습관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6. 대부분의 대학생(73.8%)이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스트레스를 적게 받고 있는 대학생의 42.9%가 '주 5회 이상' 운동을 하고 스트레스가 매우 높은 대학생의 53.9%는 전혀 운동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사시간에 따른 스트레스점수는 '불규칙' 3.11, '가끔 불규칙' 3.04, '일정한 시간' 2.66으로 식사시간이 일정할수록 스트레스 적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보면 대학생 특히 여학생에 대한 올바른 식행동과 건강에 대한 교육이 요구되어진다. 또한 운동과 규칙적인 식사는 대학생의 스트레스를 낮추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적절한 운동과 규칙적인 식생활은 정신건강에도 도움을 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3412.
        1998.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ccording to economical status, under-nutrition and over-nutrition coexist in preschool children in Korea. Subjects consumed more than RDA in most nutrients, and children in of the upper income class tended to have more nutrients than those of the low income class. Especially in case of energy, protein, fat, vitamin B2, and 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different classes. The mean calorie compositions of carbohydrates, protein and fat were 57~59: 16~17: 26~27 and fat calorie percentage was higher than quantity recommended for Korean adults. Energy, protein, Fe, vitamin A, B1 and C intakes were taken mostly from plant food sources. In the upper income class group, intakes of protein and vitamin B2 from animal food sources were higher than in any other income classes. Intakes of iron, vitamin A, B1 and C were largely provided by plant food group. Especially 44-45% of vitamin A were taken from vegetable and fruits group, which indicated that about 50% of vitamin A intake was the form of β-carotene. Also compared with other groups, in the upper income class group, the intakes of energy, protein, Ca, p, vitamin B1 and vitamin B2 from cereal and potatoes were significantly lower, and those of Ca and P from milks and meats, fishes & eggs were significantly higher(p〈0.05). The mean fat intake in all subjects was 38~43g/day. Regardless of income class, oleic acid(6.6~8.4g) and linoleic acid(6.7~8.1g) were the most abundant fatty acids contained in the diet. The upper class group consumed significantly more total saturated fatty acids and total monounsaturated fatty acids(p〈0.05). In polyunsaturated fatty acids,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3 different income classes, but intakes of total Ω6 fatty acids in the upper class tended to be higher and those of total o3 fatty acids in low class tended to be higher. Therefore, Ω6/Ω3 tended to be higher in the upper class group. Regardless of income classes, P/M/S and Ω6/Ω3 ratios in all subjects were 0.9~l.3/1.0~1.1/1.0 and 5.2~7.4/1.0, respectively and were in a desirable range. Cholesterol intake of subject was 184-218 mg/day, which was comparable to the value of Korean adult intake.
        4,500원
        3413.
        1998.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전지역 대학생들에 의한 대학급식소의 급식평가를 조사하기 위하여 3개 대학의 남녀 대학생 309명에게 설문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학생들이 대학급식소를 평가한 것 중 음식 및 메뉴의 특성에 대해서는 음식의 양, 영양가는 대체로 적절하다고 평가되었으나 온도, 신선도, 계절음식의 이용성, 식단의 변화, 메뉴선의 다양성은 만족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별로는 B학교가 맛, 외관, 영양가, 신선도, 식단의 변화, 가격 등에서 낮은 점수평가를 하여 불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위생 및 종업원의 태도에 대한 평가에서는 전체적으로 종업원의 위생, 배식시 신속함, 용모의 단정함, 친절함은 보통으로 평가되었으나 음식의 위생, 식기의 청결은 만족하지 못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A, B학교는 음식의 위생에서 낮게 평가되었고 B학교는 식기의 청결에서 낮게 평가되었다. 3. 식당시설에 대한 평가에서는 전체적으로 식탁 및 의자배치, 반납구의 위치, 카운터의 위치, 메뉴판 사용, 환기시설 등은 보통 정도라고 평가하였으나 실내장식, 난방시설은 낮은 평가점수를 나타내었다. 학교별로는 A학교는 식탁 및 의자배치, 카운터의위치, 난방시설, 실내장식 등에서 낮은 점수를 보여 불만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B학교는 메뉴판사용에서 평가 점수가 낮았다. 4. 식당분위기 및 편리성에 대한 평가에서는 전체적으로 조용함, 편안함에서 불만족하게 나타났고, 식당의 위치, 식당 운영시간, 줄서는 시간은 적절하다고 평가되었으며, 휴식공간은 평가점수가 낮았다. 학교별로는 A학교가 줄서는 시간, 휴식공간에서 낮은 평가점수를 나타내 개선해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C학교는 줄서는 시간에서 낮은 평가점수를 나타냈다. 줄서는 시간이 길어 학생들에게 불편함을 주는 요인은 배식시간의 짧음, 식권의 제한 판매, 카운터의 위치, 강의시간표의 영향 등이 관계하고 있었다. 전체적으로 볼 때 음식의 온도와 신선도, 계절음식의 이용성, 식단의 변화, 메뉴선택의 다양성, 음식의 위생, 식기의 청결, 실내장식, 난방시설, 휴식공간 등은 낮은 평가점수를 나타내 대학급식에서 만족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볼 때 대전지역 대학급식소에 대한 학생들의 급식평가는 전반적으로 만족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앞으로 더욱더 급식의 품질향상을 위해 노력해 나가야 할 것으로 보며 이를 위해서는 음식의 맛, 위생, 식단의 다양화, 급식시설 등에 더욱 개선을 하여 보다 나은 급식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하고, 또한 급식 대상자들이 만족한 급식을 할 수 있도록 급식관리자들은 적극적이고 다양한 급식평가를 통해 문제점을 재검토하여 보다 효과적인 급식운영을 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3414.
        199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95년 경남지역에서 양액재배 원수로 사용되고 있는 77개 농가의 지하수 중의 무기성분 농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하수의 깊이는 10~500m, pH는 6.2~8.4, EC는 0.11~1.44dS/m이었다. 1 liter당 무기성분의 평균함량은 N H4-N 0.3mg, N O3-N 3.1mg, P O43- 0.5mg, Ca2+ 25.4mg, Mg2+ 11.5mg, Na+ 21.7mg, C l- 42.6mg, S O42- 72.5mg였다. 지하수의 pH와 Mg2+(0.34** ), Ca2+(0.33** ) 및 EC(0.29** ) 사이에 유의적인 정(+)의 상관을 보였다. 또한 EC와 Na+(0.68** ), Ca2+(0.67** ), S O42-(0.62** ), Mg2+(0.60** ), N H4-N(0.36** ), C l-(0.53** ) 및 K+(0.26** ) 간에도 유의적인 정(+)의 상관을 보였다..
        4,000원
        3415.
        199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Korea, a small proportion of fishery products are contaminated with a considerable amount of potentially hazardous contaminants. So, there is generally a high risks to consumers. Inorganic contaminants with the greatest potential for toxicity are Sb, As, Cd, Pb, Hg, Se and the Sulfides. As appears to be much more variable than the other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levels of the As in fisheries caught from the waters of the western coast of Korea. The samples included 26 kinds of fishes, 18 kinds of Mollusca, 3 kinds of Crustacea and 7 kinds of salted fishes. The Moisture content of molluscan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others (p$lt;0.05). And the As contents of crustacean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fishes, molluscans and salted fishes (p$lt;0.05). The As content of Turban shell was 51.62 ppm, which was the highest among the samples. Also, the As contents of eel, cattle fish and blue crab were found to be higher than in other fisheries. This variability offers a solution for the reduction of eosure to As through restricting the harvest of aquatic organism from the western coast of Korea.
        4,000원
        3416.
        199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우포지역에 적합한 생태관광 기본계획을 수립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기 수행된 연구에서 제시된 생태관광계획모형의 순차적 단계에 따라 사례연구로서 수행되었다 우포지역에서의 자연환경 및 인문환경을 비롯한 제반여건을 분석한 결과, 우포지역에서의 친환경적인 생태관광지 조성의 필요성과 당위성이 인정되었다. 이에 따라 기초환경 조사 결과를 토대로 생태관광 주제를 설정하고 이에 적합한 시설 및 프로그램에 대한 공간계획안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제시된 계획안은 개념적 계획안으로서 실제 적용을 위해서는 법률적, 행정적, 재정적 한계 등 공공부문의 제약요인에 대한 체계적인 검토가 요구된다.
        4,200원
        3417.
        199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 강화도 지역의 산지형 도시녹지를 대상으로 식생구조 분석을 통한 관리방향 제시를 목적으로 하였다. 총면적 11,331ha에 대한 현존식생 분석 결과 식물군집은 19개 유형으로 분리할 수 있었는데 이중 상수리나무군집, 소나무-상수리나무군집, 신갈나무군집 등 2차림이 전체의 92.32%(10,461ha)를 차지하고 있었다. 아까시나무림 등 인공식재림은 전체의 5.40%(612ha)로서 수도권지역 다른 도시들 보다 적은 면적을 나타내었다. 총 57개 조사구에 대한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분석 결과 총 7개 군집으로 분리되었는데 그것은 리기다소나무(군집 A), 상수리나무(군집 B), 소나무-상수리나무(군집 C), 상수리나무-소나무 (군집 D), 소나무-서어나무-졸참나무-상수리나무(군집 E), 졸참나무-신갈나무(군집 F), 느티나무-고로쇠나무 (군집 G)이었다. 강화도 지역은 온대 중부지방에서의 일반적인 천이진행단계인 소나무림에서 상수리나무림을 거쳐 신갈나무림, 졸참나무림, 서어나무림으로 생태적 천이가 진행중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토양 pH는 평균 4.17의 강산성 토양으로서 토양환경 개선을 위한 연구가 산림식생 관리계획에서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4,300원
        3418.
        1998.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nsumption and general views of housewives in Inchon on commercial kochujang(fermented red pepper-soy paste) were surveyed by questionnaires in June through August, 1997. Respondents considered the taste (88.1%) as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determine the quality of kochujang and preferred hot(621%) and bright red colored kochujang(70.6%) with fine red pepper powder Eighty seven percent of respondents preferred the traditional kochujang to the commercial one mainly due to the taste and the reliability to the materials kochujang. Especially all housewives at the age of sixty and over preferred traditional kochujang and those at twenties had a higher preferrence for the commercial one compared to other age groups. While 51.4% of the respondents consumed both e traditional and commercial kochujang, 16.2% and 32.5% did only commercial and traditional kochujang, respectively. Consumption of commercial kochujang decreased with age and main food with it was pan fried dishes(33.7%). Convenience(76.6%) was the major reason for purchasing commercial fried and most respondents(44.1%) selected the special brand from the previous experience of their own. Problems to be improved in commercial kochujang were better taste(31.3%) and development of diverse usage(62.4%).
        4,000원
        3419.
        1998.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nsumers' Dining-out preference and behavior for the chilled meat consumption strategy . A total of 328 persons in Seoul, Kyunggi areas were selected by stratified random sampling method and were responded to this study questionnaire which was composed of six parts with 65 statements about chilled meat consumption. 1. The frequency of Dining-out is characterized that 'once a month' is the highest pattern of consumers(46.3%) : In that cases, the married people showed 'once a month'(52.7%) and 'once biweekly'(23.3%), but the unmarried people showed the more frequent pattern as 'once a week'(27.3%) and 'twice a week'(27.3%). And the frequency of Dining-out in relation with the education level revealed that 'the graduate people' are the highest (37.5%). 2. Generally the first food for the Dining-out is 'Kalbi'(26.2%), and the others were 'pork grilling','chilled meat grilling','fish sasimi','chinese foods','pizza' etc.... But there were some variation in relation with incomes and housing types: For the agriculture/physical labor class, they prefers the 'pork griling'(25.0%), the office work class prefers the 'Kalbi' For the house-owner group, they prefers the 'Kalbi', but the house-renting/lodging group, they prefer the 'chinese food' or 'pork grilling' etc.... 3. In choosing the Dining-out place,'quality of food'(54.3%) and 'hygiene'(21.0%) were rated as the first important factor. 4.'Soups', 'Noodles' and 'Cooked rice in casserole' were chosen as good lunch menu : for male, they prefer the 'Soups', but females prefer 'Cooked rice in casserole'. 5. People with commercials/services(44.7%) and agriculture/physical labor(50.0%) ate their lunch in private restaurant, but peoples in the office work(57.0%)/public service personnel(70.4%) and industry use refectory; and i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6. Consumers prefer the chilled meat as a Dining-out menu, but they didn't recognize the difference between chilled meat and frozen meat 7. For Dining-out menu, many people proper the beef, but the price of beef was so high than pork, agriculture/physical labor class choose the pork grilling instead of beef : commercials/services/office worker prefer the beef chilled meat . 8. The first admirable cooking method for chilled meat is direct radiation grilling with charcoal and many of consumers prefer tender, marbling, some chewy and juicy, flavor, soft as a quality of meat but physical labor class prefer the some tough and chewy texture.
        4,600원
        3420.
        1998.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urvey was carried out to obtain the information concerning nutritional status, including factors of food intake and health condition of elderly living in Ulsan area.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1) Average height of subjects was close to Korean reference, while weight was below Korean reference, average obesity rate and body mass index were +6.93% and 21.9. 2) In health related factors, 41% of subjects exercised regularly, 31.6% of subjects drank alcoholic beverage, and 41.4% of subjects smoked currently. 3) Mean food habits score was 32.1(ranging from 10 to 50) and milk and lipid food intake were decreased. 4) Dietary intake data showed the average daily intake of all nutrients except phosphorus, were lower than RDA, especially vitamin A, calcium and zinc were lower than other nutrients. According to the percentage of RDA, vitamin A was the nutrient found to be least sufficient. 5) Among the various influential factors resident type, pocket money, exercise and smoking influenced on nutrient intake considerably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