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정부는 법률로써 댐 주변지역 지원을 규정‧1990년부터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댐 주변지역 지역주민의 상대적 박탈감은 여전하며, 때로는 댐을 둘러싼 지역적 갈등이 법정 투쟁으로까지 확대되는 경우도 발생한다. 이와 같이 댐과 관련된 지역적 갈등이 끊이지 않는 것에는 다양한 이유가 존재하나, 댐주변지역지원사업이 만족할 만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것 또한 주요한 이유 중 하나로 간주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댐주변지역지원사업과 관련한 고객만족 영향요인 및 요인별 영향 정도를 규명하였다. 그 결과 ‘댐의 사회적 필요성’, ‘지원절차의 합리성’, ‘지원사업의 합목적성’ 등의 요인이 댐주변지역 고객만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고객만족에 미치는 요인별 영향의 정도에 있어서는 ‘지원절차의 합리성’ 요인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지원사업의 합목적성’, ‘댐의 사회적 필요성’ 순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댐주변지역지원사업을 지역주민이 직접적으로 수혜를 받았는가의 경험 유무는 고객만족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련이 있다고는 말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요인의 구성 항목과 고객만족과의 관계분석에 있어서는 ‘지역간 형평성’이 가장 큰 영향관계를 보였으며, 다음은 ‘프로젝트 선정’, ‘주민의견 반영’, ‘지역발전’, ‘투명성’ 순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프로젝트 추진 단계의 적절성’의 통계적 유의성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희귀식물로 지정되어 있는 애기송이풀의 자생지 환경을 조사하여 보전 및 복원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조사결과 애기송이풀의 자생지는 해발고도 107~494m 범위와 경사 5~20˚의 계곡부에 주로 생육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식생 및 관속식물 조사결과 6개 지역의 18개 방형구 내에서 조사된 관속식물은 총 243분류군이 출현하였으며, 각 조사구 내 초본층의 피도와 빈도를 기초로 한 애기송이풀의 중요치를 산출한 결과 평균 13%로 나타났다. NMS 분석결과, 애기송이풀 자생지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목본층의 종구성, 초본층의 종구성보다는 환경적 영향이 더 지배적이라는 말할 수 있다. 이에 자생지의 안정적인 유지를 위해서는 서식지 보전이 중요하며 서식지 주변에 보호구역을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degree of heavy metal contamination of sediments collected at Tongyong channel. From XRF and XRD analyses, all samples consisted of similar oxides and minerals. TOC ranged between 1.73 and 2.79%. Ignition loss ranged between 9.31 and 12.28%. Degree of heavy metal contamination of sediments was performed based on standards proposed by USEPA, Ontario sediment quality guidelines, index of geoaccumulation and total enrichment factor. In summary, sediment T9 was classified as moderately contaminated region based on standards of USEPA, index of geoaccumulation and total enrichment factor. In addition, T7 and T8 were classified as moderately contaminated region based on only USEPA standard. However, concentrations of Cu and Zn of T7 and T8 gradually increased to the level of T9 where it was close to Tongyong harbor. Therefore, the regions of T7, T8 and T9 need to be monitored and if possible required to remediate contaminated sediments.
본 연구는 백령도의 관속식물을 밝히고 주요 식물들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2011년 8월부터 2012년 11월까지 총 5회에 걸쳐 수행되었다. 그 결과 관속식물은 124과 411속 647종 8아종 68변종 7품종 2교잡종으로 총 732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처음으로 밝혀진 분류군은 193분류군이었다. 이 중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야생식물은 2분류군, 한국 고유종 8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78분류군, 희귀식물 20분류군이 조사되었다. 또한 남 북방계식물 30분류군, 염생식물 43분류군이 발견되었다. 귀화식물은 92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귀화율은 12.5%로 나타났다.
암 환자의 지속적인 증가와 이로인한 사망률이 증가하는 추세에서 부산지역에서 발생되고 있는 방사선 치료 환자의 현황을 파악함으로써 암 환자 치료 및 암 예방, 암 환자 관리에 적극적인 도움을 주고자 한다. 대상지역 3차 의료기관에서 2011년 1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내원한 환자 중 암 환자로 진단을 받은 후 방사선 치료를 받은 4462명을 대상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주요 7대 암종은 유방암, 자궁경부암, 폐암, 대장․직장암, 뇌종양, 인․후두암, 간암순으로 발생하고 있었으며, 발생 1위는 유방암이었다. 전체 발생 환자 수 중에서 38.1%를 차지하고 있어, 다른 암종에비하여 눈에 띄게 발생하고 있는 양상을 보였다. 유방암이 지속적인 증가 추세와 두드러진 발생 환자수를 가지는 암종으로 분석되었으며, 발생감소를 위한 적절한 대책과 관리가 필요할 것이다. 그러므로 유방암에 대한 발생원인과 예방방법, 적합한 관리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Adaptability of a smart top-story isolation system for reduction of seismic responses of tall buildings in regions of low-to-moderate seismicity has been investigated in this study. To this end, 20-story example building structure was selected and an MR damper and low damping elastomeric bearings were used to compose a smart base isolation system. Artificial earthquakes generated based on design spectrum of low-to-moderate seismicity regions are used for structural analyses.
Quantification of incoming-salt in the air is absolutely critical for the use of the boundary conditions in chloride resistance design. Thus, as a result of collecting incoming-salt by using multidirectional incoming-salt collector, it was confirmed that incoming-salt was collected not only in the direction of viewing the coast but also in the opposite direction. For this, it is believed that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ffective defense incoming-salt and the non-effective defense incoming-salt that is delivered through a local flow of surrounding wind
The aerosol number concentration have measured with an aerodynamic particle sizer spectrometer(APS) at Gosan in Jeju Island, which is known as background area in Korea, from March 2010 to February 2011. The obtained results of asian dust events and non-asian dust period have been compared.
The results show that the entire averaged aerosol number concentration from APS measurement during asian dust events and non-asian dust period are about 341 particles/㎝3 and 240 particles/㎝3, respectively. During asian dust events, the number concentration in small size ranges(≤0.4 ㎛) are similar to non-asian dust period, however, those in large size ranges(≥0.7 ㎛) are very higher than non-asian dust period.
The contributions of the size resolved number concentration(23 channel in 0.25∼10.0 ㎛) to total number concentration in that range are dramatically decreased with increased particle size. The contributions of smaller size ranges(≤0.4 ㎛) during asian dust events are very low compared with non-asian dust period, on the other hand, those of larger size ranges(≥0.4 ㎛) are higher than non-asian dust period.
total aerosol number concentration are depended on the number concentration in range of smaller than 0.58 ㎛ during non-asian dust period and asian dust events. On the other hand, PM10 mass concentration has mainly affected with the number concentration in range of smaller than 1.0 ㎛ during non-asian dust period, however, during asian dust events, the mass concentration has mainly affected with the number concentration in range of 0.65∼3.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hifts in sowing time on the ecological responses, growth and yields of major soybean cultivars in a southern region of South Korea.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Naju, Jeonnam Province (latitude 35° 04'N, longitude 126° 54'E) for three years from 2008 to 2010. The test cultivars included Saeol-kong and Tawon-kong of the summer type, Taekwangkong and Pungsannamul-kong, and Cheongja3 of the autumn type. Sowing took place on May 15 and 30, June 15 and 30, and July 15 of each year. Of the summer type soybean cultivars, Saeol-kong showed a smaller curtailment in days from sowing to flowering, days from flowering to maturity, and days from sowing to maturity according to sowing time postponement than Tawon-kong. Of the autumn type soybean cultivars, Taekwang-kong exhibited a lower photoperiodic response in reproductive growth period than Pungsannamul-kong and Cheongja3, both of which recorded higher level photoperiodic responses in vegetative growth stages and reproductive growth periods than other test cultivars, with the former exhibiting higher levels than the latter. Most of the test cultivars tended to decrease in stem length, node numbers of the main stem, and stem diameter according to postponed sowing time,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em length and node numbers of the main stem of the Saeol-kong cultivar. Differences in sowing times did not affect the first setting pod node order of Saeol-kong and Tawon-kong summer type cultivars of internode lengths of all of the test cultivars. All of the test cultivars tended to show decreases in pod number per plant due to postponement of sowing time except for the Saeol-kong cultivar. The variation was more prominent in small grain cultivars such as Tawon-kong and Pungsannamul-kong with the latter autumn type cultivar showing especially large variation. Yields were the greatest for the Tawon-kong, Taekwang-kong, and Pungsannamul-kong cultivars sown on May 30 and Cheongja3 sown on May 30 and June 1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yields of Saeol-kong for different sowing times from May 30 to July 15, with the yields lowest for the batch sown on May 15.
경인아라뱃길의 경관기능은 조망대상으로써 인근 아파트주민에게는 외부경제효과를 의미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주택가격에 내재된 아라뱃길 조망권의 가치를 평가하는 것이다. 적용된 방법은 헤도닉가격모형(HPM)이다. 조망 수혜지역 내에 있는 아파트들 중 2011년 기간에 실제 거래가 이루어진 총 4,207세대로부터 수집된 자료를 기반으로 아파트매매가격, 단지특성, 입지특성, 시점특성 등과 관련된 변수들을 도출하였다. 투입 속성으로서 조망권변수는 수치지형도와 Google Mapview의 결합에 의해 고안된 조망권 알고리즘에 의해 도출되었다. 기존에 수행된 주택가격결정모형의 추정결과와 비교해 보았을 때, 본 모형의 추정결과는 계수의 크기에 있어 다소의 차이는 있으나 방향성에 있어서는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주거공간으로부터 아라뱃길까지의 거리와 아라뱃길의 조망권이 주택가격 형성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밝혔다. HPM에 의해 추정된 조망권의 가치는 평당 16.5만원으로 나타났다. 역내 모집단 아파트로 확장된 아라뱃길 조망권에 의한 지역자산 고도화 효과는 총 891억원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쾨펜의 기후대 구분법을 이용하여 현재 아시아 지역(경도 55.6°∼149.3°, 위도 -11.5°∼53.0°) 기후대를 분석하고, IPCC SRES A2 시나리오 상황에서의 기후대 변화를 전망하였다. 이와 더불어 기후대 구분의 기준이 되는 강수 및 기온자료의 시공간적 변동성을 분석하였다. 기후요소의 변동성을 분석한 결과, 2080년경에는 기준기간(1991∼2010)에 비해 기온은 4.0℃, 강수량은 12%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공간적으로는 기온의 경우 고위도 지역이 저위도 지역보다 기온상승폭이 크게 나타났으며 강수량은 지역적 편중이 심화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기후대 변화를 전망한 결과, 대체로 온난한 기후대의 면적은 증가한 반면, 한랭한 기후대의 면적은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준기간 대비 2080년경에는 열대 기후대(A)의 경우 7.2%, 건조 기후대(B)는 1.9% 증가하였으며 온대 기후대(C), 냉대 기후대(D), 한대 기후대(E)는 각각 -2.4%, -4.9%, -1.8% 감소하는 것으로 전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온 증가와 사막화의 영향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호남지역 유학자들의 초기 箴 작품은 蘇沿(1390-1441)이 창작한 것으로부터 李恒(1499-1576)이 지은 것에 이르기까지 총 6편이 지어졌다. 그 가운데 2편이 中宗에게 올려진 官箴이다. 그리고 경전 구절을 해석한 것이 3편, 전대의 작품에 차운하여 계승한 것이 1편으로, 의리의 발현을 수사 기법으로 삼은 작품이 상당한 비율을 차지한다.
중기는 箴을 지은 유학자가 4명밖에 되지 않아 초기에 비해 인원수가 더욱 줄었지만, 작품의 수량은 7편으로 1편이 더 많이 늘어났다. 하지만 安邦俊(1573-1654)으로부터 黃胤錫(1729-1791)에 이르기까지 150년이 넘는 시기 동안 4명의 유학자가 7편의 작품을 지었다는 것은 초기와 마찬가지로 매우 영성한 상황이라고 밖에 말할 수 없다.
『中庸』 제1장의 ‘莫見乎隱’을 해석한 황위의 「莫見乎隱箴」을 제외하고는 모두 생활 속에서 실천해야 할 수양의 덕목을 해설한 내용들이다. 다만 경계하는 대상이 자신에게 한정되느냐 아니면 자식이나 주변의 타인에게 확장되느냐의 차이가 있을 뿐, 개인적인 용도인 私箴의 범위를 벗어나는 작품은 없다.
후기는 초기 및 중기에 비해 거의 5~6배가 넘을 정도로 많은 분량의 箴 작품이 창작되었다. 그리고 경계의 내용과 방법이 이전과 달리 다양하게 확산되는 경향을 보인다. 奇正鎭(1798-1880)으로부터 柳永善(1893-1961)에 이르기까지 100년 동안 14명의 유학자에 의해 37편의 箴이 지어졌다.
이 시기는 이전보다 양적으로도 월등하게 많을 뿐만 아니라, 수사 기법도 다양한 양상으로 서술되었다. 그리고 무엇보다 타인을 경계한 작품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것은 구한말의 절박한 시대적·역사적 상황 때문에 箴을 통해 同道의 사람들에게 권면하고자 하는 의식이 반영된 현상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자신 및 학파가 주창하는 성리설을 箴의 문체로 드러내어 밝히고자 한 것도 이전 시기에는 없는 하나의 특징이라고 말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business performance determinants of private consulting firms supporting bottom-up local development projects in rural areas. Under the shortage of well-trained rural development professionals, Private consulting firms support rural development projects driven by the residents. Considering the important role for consulting firms to play in the success in rural development projects, it becomes necessary to review the circumstances of consulting market on rural development projects. This study targeted 80 companies that are listed in the book rural development consulting firms. Analysis showed that factors influencing the business performance are not professional competencies but other external factors. The implications based on the above results need to be considered for policy-making to ensure that consulting company selection must be guaranteed of the consulting firms'capability by detailed fields of consulting firms' capability, and the training system for rural development experts must be form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resident participatory education programs". This study methods was that applied this education programs to the residents of the fishing village after develop of education programs, and was surveyed to ninety five residents of these. As a result of the survey, "community attachment" and "sense of communit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consciousness before and after education. Also, difference of residents consciousness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education showed the same trend too. And, If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educational experience, residents consciousness was improved after the education programs. In other words, an education programs applied to in this study can be said to effective to that raise awareness of the residents. And this can be said to contribute in empowerment to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ndustry-wise employment growth factors in rural areas. Regional economic vitalization is sensitive to internal and external interaction changes among various industrial and occupational sectors. Thus, rural regional economic vitalization requires a comprehensive approach in analyzing industry-dependent employment structures and growth factors in rural areas. However, research conducted thus far has mostly focused on agriculture and farmers. Considering the evidence that rural communities continue to be stagnant and 80% of the rural population is engaged in nonagricultural activities, it becomes necessary to review industry-specific employment change factors in rural areas. This study targeted 5 counties in Chungnam. The results revealed that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occupied the foremost positions with regard to population employed and regional GRDP share. The influence of national growth on employment and business variation effects was as high as 98.1% and 78.6%, respectively, thus demonstrating the high likelihood of rural economy to be influenced by external factors. Growth in the public sector appeared to support employment structure. Moreover, wholesale and retail businesses, constituting 14.4% of employment in rural areas, showed a strong trend toward degeneration, to the extent that difficulties have been forecasted for the supply of goods and services essential for basic livelihood of the rural residents. The implications based on the above observations need to be considered for policy-making to ensure that industrial structure is modified on the basis of internal demand of the region, and support for small businesses is integrated in rural area development proj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