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12

        541.
        200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야외지질학습 환경에서 과학 영재학생들이 학습의 성취를 가능하게 하는 요인들을 분석하는 데 있으며, 이를 위해 2007년도 한국지구과학올림피아드 겨울학교에 참가한 19명의 참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야외지질학습에 관한 인식과 태도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야외지질학습에 관한 인식과 태도의 유형을 분석한 결과 인식의 유형은 탐구적 관점에서 경험적 탐구로 이해하고 있으며, 과학철학의 관점에서 인간 중심적 견해와 실증주의적 관점, 그리고 도구주의적 관점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태도의 유형으로 학생들의 겨울학교 참여 목적은 주로 지구과학에 관한 지식 습득에 있었으며, 과학자를 희망 진로로 선택하는 경향은 부모들 보다 학생들에게서 더 높은 경향이 나타났다. 야외지질학습에 관한 학업적 자아개념은 대체로 긍정적으로 나타나며, 긍정적 정서와 부정적 정서를 모두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800원
        542.
        200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탐구는 학교과학에서 지속적으로 강조되어 왔다. 하지만 학교에서 주어지는 문제는 학생들이 일상생활에서 경험하고 부딪치는 문제들과는 여러 면에서 다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이 문제에 대한 인지도식을 거의 갖고 있지 않을 때, 과제에 대한 태도와 사고력이 문제해결과정, 특히, 문제공간의 형성과 정교화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는 미국의 한 영재센터 여름방학 프로그램 중 4-6학년 영재학생 대상 '레고 로봇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문제해결전략을 추적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과제의 선택과 파악방법, 작동자에 대한 인식의 차이 등 과제에 대한 태도는 서로 다른 문제공간을 형성하게 하였다. (2) 분석적 사고, 융통성, 효율적인 정교화 기술, 기존 인지도식의 적용 등의 사고력의 수준 차이는 문제공간의 정교화 차이와 문제해결의 성공여부로 이어졌다. (3) 초기의 문제공간의 차이는 문제해결전략의 형성 차이를 가져왔지만, 사고력 없이는 효과적인 문제해결전략의 정교화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마지막으로,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탐구를 증진시킬 몇 가지 사항이 제안되었다.
        4,200원
        543.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specifically focused on the lower garment sizing system of adolescent apparel, especially on trousers for adolescent boys. Research Method was performed by using the physical measurements of adolescent boys (14~19 years old, n=1,344) based on the ‘he fifth Korean national physical standard reports’ surveyed by SIZEKOREA. The basic materials for this study are obtained from the observations of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classification of physical figur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from waist dow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ccording to the analyses of physical changes, most items including height, circumference, length, breadth and depth were increased at the age of 14~18 and gradually reduced at the age of 19. 2) The factors which compose the lower body resulted were appeared that the first factor was vertical factor, the second factor was horizontal factor, the third factor was hip length, and the last factor was buttlock-popliteal length. 3) Formalization of physical figures for adolescent boy's lower body analyzed from factors grouped three types. 4) The basic parts that we used to propose the apparel sizing system distinguished by physical figures were Waist Circumference (Omphalion) (every 3cm regular gap) and Hip Circumference (irregular gap). Physical figures assigned 5 to Type T, and 4 to type M. The reference measurement items were divided into 7 items which are correlated with apparel manufacture.
        4,800원
        544.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udy analyzed the body shape perception, weight control attitude,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habits of 529 high school students in Jeju surveyed from January 14-18, 2008 according to students' body shape satisfaction, with the aim of providing basic nutritional education data to aid in appropriate weight control for high school students.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analysis, T-test, Chi-square 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using the SPSS Win 12.0 program. The body mass index (BMI) of subjects was in the normal range. With regard to weight distribution, 59.4% of subjects showed normal weight and girls were significantly more underweight than boys. More girls considered themselves to be fatter than boys and tended to be increasingly dissatisfied with their body shape. Both boys and girls were more interested in weight control for obesity and were significantly less satisfied with their body shape. Efforts at weight control and reduction had occurred significantly more often for girls than for boys. Dietary attitude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irls than boys. BMI positively correlated to weight control concern and nutrition knowledge positively correlated to dietary attitude. BMI negatively correlated to the body shape satisfaction, which in turn negatively correlated to food ingestion disord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ystematic nutrition educational program that can induce changes in dietary behavior and increase accurat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body shape.
        4,600원
        545.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 Near point of convergence(NPC) was used in making the diagnosis of convergence insufficiency(Cl) by 93.8% of the optometrists surveyed. however, there are no published age-related normative values in the literature to substantiate these values. so we measw·e the NPC break values and the recovery values of high school students. Methods : The subiects were 186 elementary schoolchildren in lo garde. middle grade and high grade. We measured NPC by different methods(AT and PLRG), and the distance and near phoria. Results : The NPC break values and the recovery values of AT target were 3.38±2.24 cm, 8.58±3.11 cm for lo garde. 3.00±1.59 cm, 8.48±2.68 cm for middle grade and 3.44±1.55 cm, 8.22±2.14 cm for high grade. The NPC break values and the recovery values of PLRG target were 5.30±3.18 cm, 11.03±4.43 cm for lo garde. 4.3R±2.f)0 cm, 10.08±3.85 cm for middle grade and 5.39±3.37 cm. 10.87±4.07 cm for high grade. Conclusion : The NPC break values and the recovery vaJues of AT target were 3.31±1.82 cm, 8.40±2.62 cm, PLRG target were 5.12±3.13 cm, 10.73±4.14 cm. I suggest a clinical cutoff value of 8 cm for NPC break and 12 cm for the MPC recovery.
        4,000원
        546.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글로벌 과학적 소양 함양을 위한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관점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8학년 65명의 남학생이며, '지구와 별' 단원에 대하여 5주 동안 글로벌 과학적 소양 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업 전과 후에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정도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단기간의 글로벌 과학적 소양 함양을 위한 수업으로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관점을 변화시키는 것은 어려운 과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사회학적 측면에서,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가 철학적, 심리학적, 역사학적 관점에서 보다 상대적으로 향상된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4,800원
        548.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writing skill is considered important in globalised societies nowadays, the skill is taught and assessed in English classrooms in Korea. As for assessment, however, there are no authoritative rating schemes suggested for classroom testing contexts. Given this lack,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pplicability of one of the existing scales, the FCE rating scale for writing assessment, to Korean high school contexts through both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an empirical study. From both the theoretical perspectives and the empirical study, in which three English teachers at Korean high schools were asked to assess 6 writing samples using the FCE scale and to do think-aloud during the assessment, it was found that the FCE scale in this context tends to cause problems for the validity of the assessment. It was, therefore, concluded that, for the sake of validity, this kind of scale cannot be applied to the context for which it was not developed, and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rating scale, taking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test-takers, raters and assessment context in question.
        6,400원
        549.
        200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what effects Expression Activities Lessons in elementary school have on students' building up of physical, emotional, academic and social self-concept and to furnish basic data for expression activities lessons' d
        4,900원
        550.
        200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ticipating in sports activities and learning attitu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howed the value and the role of participating in sports activities. There were two factors defining participating in spo
        5,800원
        551.
        200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offer the scientific data of the right and left feet's kick motion of the ROK high school boy students and to seek out the effective method of instruction, througth comparing and analyzing the variation aspects of the kin
        5,400원
        552.
        200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o find out the efficient guiding device during teaching based on the datum what were calculated kinematic and kinetic variable about the vertical jump according to the distinction of sex in elementary school. Four male, five
        5,100원
        553.
        2008.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preferences, and intake of Korean traditional foods, focusing specifically on kimchi, tteok (rice cake), and eumcheong (beverage) varieties; and compared them by gender, living with grandparents, mother's occupation, and meal preparation by the grandmother. The subjects were 287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Busa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80% of children were interested in Korean traditional foods. 40% believed that their intake of Korean traditional foods was decreasing because these foods were not palatable to them. The majority of them, however, said they would continue to eat Korean traditional foods as they had done (54.7%) or eat more than before (36.6%) in the future. The children thought that Korean traditional foods were rich in nutrition and good for their health. The children had the highest preference for Baechu-kimchi among varieties of kimchi, and they had high preferences for Songpyeon, Galaitteok, and Injulmi. They had high preferences for Sikhye, citron tea, and adlai tea. Over 80% reported consuming Baechu-kimchi and Kkakdugi three to four times per week. They had eaten Injulmi the most frequently among the tteoks, while over 80% had eaten the other types of tteok only once or twice per month. Adlai tea, citron tea, and Sikhye were drunk more than once per week. In general, we not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hildren's perceptions, preferences, and intake of Korean traditional foods by gender, living with grandparents, mother's occupation, and meal preparation by grandmother, with the exception of several items. The students had a very positive perception of Korean traditional foods. They had higher preferences for and had more frequently consumed the more familiar Korean traditional foods. It is therefore suggested that if the children had opportunities to experience Korean traditional foods more frequently and variously at home or in restaurants, they would appreciate Korean traditional foods even more, and develop higher preferences for these foods.
        4,500원
        554.
        2008.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7학년 "해수의 성분과 운동" 단원에서 MBL 실험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과 그래프 작성 및 해석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연구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6차시에 걸쳐 MBL 수업을 실시하고 사후 t-검정을 통해 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과학탐구 능력 결과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MBL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 향상에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사후 t-검정을 통해 학생들의 그래프 작성 및 해석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그래프 작성능력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그래프 해석능력에서는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어 MBL을 활용한 수업이 학생들의 그래프 해석능력의 향상에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556.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본 연구에서는 근시진행정도를 학제별로 초등학교 저 학년생(30명)을 A군, 초등 학교 고학년(30명)을 B군, 중학생(30명)을 C군, 고등학생(30명)을 D군으로 나누어 각 근시 진행정도를 비교해 어느 시기에 가장 많은 변화가 발생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3년간 3회 이상 안경원에 방문하여 시력교정을 받은 120명(남 : 60명, 여 : 60명) 240안을 대상으로 굴절검사 기록을 분석하였다. 결 과 : 1. 등가 구면굴절력의 분포는 A군 -2.32D, B군 -2.57D, C군 -3.44D, D군 -3.95D로 연 령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2. 등가 구면굴절력의 월별 변화량은 남학생의 경우 A군 -0.06D, B군 -0.055D, C군 -0.055D, D군 -0.025D로 나타났으며, 여학생은 A군 -0.08D, B군 -0.06D, C군 -0.05D, D군 -0.04D로 나타났다. 결 론 : 등가 구면굴절력의 월별 변화량을 고려해 안경 도수의 변화가 있는 시기를 굴절 검사가 필요한 시기라고 가정한다면, A군은 3.7개월, B군은 5.1개월, C군은 4.7개월, D군은 8.5개월로 예상되었다
        4,000원
        557.
        200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s among obesity, food behavior, and personality traits were studied in male and female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obesity rates were calculated via the measured heights and weights of the subjects. Food behavior was surveyed via a questionnaire. Personality traits were evaluated using an authorized personality test. The obesity rates in the child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4.1%in the male children, and 28.7% in the female children, and the rates of underweight were 18.2% in the males and 28.7% in the females. The percentage of obese children was slightly higher in the male population than in the female population. With regard to food behavior, the females evidenced significantly higher points than the males, particularly on the items designated 'slow eating' and 'stop eating upon satiety'. Among the personality traits assessed herein, which included emotional stability, general activity, sociability, masculinity, responsibility, reflectiveness, and superiority, the females evidenced significantly higher sociability scores than the males. The personality traits did not appear to b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obesity rate. However, the obese children scored lowest on all personality traits among the three groups.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ood behavior and personality traits, children with high stability, sociability, responsibility, and superiority also had significantly higher food behavior scores.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maintenance of good food behavior may enhance stability, sociability, responsibility, and superiority in children.
        4,000원
        558.
        200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8학년 학생들의 탐구보고서에 제시되어 있는 과학방법의 특징을 조사하려는 것이다. 문헌 연구로부터 과학의 본성을 고려하여 '과학방법과 정보출처 분석'이라는 분석들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사용하여 학생들의 '방법설계', '데이터분석', 정보출처'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분석 결과를 질문수준과 비교하여 '과학방법'이 질문수준의 영향을 받는지 조사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탐구 활동을 하면서 '과학방법'을 설계할 때 겪는 어려움을 알기 위해 실시한 설문지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결과는 첫째, '방법설계'는 자문과 활동이 있으며, 활동은 실험, 상관연구, 관찰을 말한다. 그 중에서 학생들은 '자문'으로 설계하는 경우가 많았다. 활동을 설계한 경우, 대부분의 학생들은 '실험'을 설계하였다. 둘째, '데이터분석'은 요약, 표, 도표, 그래프 등이 있으며, 학생들은 '요약' 형태로 그들의 데이터를 분석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요약'은 '단순요약'과 '관계진술'로 구분되었다. 셋째, '정보출처'는 컴퓨터, 도서관, 전문가 상담이 있으며, 대부분의 학생은 정보를 '컴퓨터'에서 구하였다. 넷째, 학생들의 '방법설계'와 '요약'은 질문수준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일부 학생들은 정보가 부족하거나 부정확할 뿐 아니라 정보에 제시된 전문 용어가 어려워 '방법설계'가 어렵다고 하였다.
        4,200원
        559.
        200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실무중심교육모델인 S-PBL 학습방법을 적용받은 작업치료과 학생들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조사‧분석함으로써 작업치료 관련 교과목의 학습자료 및 학습방법을 지속적으로 개발‧연구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 S-PBL 학습방법을 경험한 작업치료과 학생 10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배부된 설문 102부 중 총 85부를 가지고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설문에 대한 분석결과 첫째, 교수의 수업운영 요인에서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긍정적인 답변을 하였으며, 교수법의 수용성 요인은 2학년과 3학년이 1학년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긍정적인 답변을 하였다. 직전학기 성적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는 요인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S-PBL 학습방법의 만족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교수법의 수용성, 그룹활동의 수용성, 수업준비과정을 통한 문제해결 요인 순으로 나타났으며, 학년별 만족도 요인 중요도는 다르게 나타났다. 셋째, S-PBL 학습방법에서 어려운 점은 그룹 활동 시 모든 조원들의 참여유도가 어렵다는 것이며, 보강시켜야 할 부분은 실습과 강의, 자율학습, 토론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S-PBL 학습방법에 대한 만족도를 높여 수업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새로운 학습방법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도 향상방안, 다양한 학습자의 동기유발 방안, 교수의 촉진자로서의 태도, 교수의 중재 및 평가방식의 다양화 등이 필요하며, 이에 대한 추후연구와 실증검증이 요구된다.
        4,9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