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59

        521.
        2014.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고는 동절기 이후 무근 콘크리트의 상부에서 쉽게 발생하는 스케일링 현상에 주목하여 무근 콘크리트의 동해 발생원인을 고찰하고, 이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기존문헌조사를 통하여 1) 강도향상, 2) 진공배수공법 적용, 3) 흡수방지재 시공의 방법을 선정하였다. 그 후 각 방법의 동결융해저항성 향상 평가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위하여 동결융해 시험을 통한 상대동탄성계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1), 2)번의 경우 동탄성계수가 약 15% 향상, 3)의 경우 강도에 따라 7~13%향상됨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의 방법 모두 무근 콘크리트의 동결융해 저항성 향상에 유효한 방법으로 판단되며, 이를 통해 무근콘크리트의 빈번히 발생하는 품질저하 및 이로인한 유지보수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522.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Linear and nonlinear models are available to simulate the effect of mine blasting. And the results are changed by selection of each model. Plaxis 8.0, FLAC 4.0 are used in this study for simulating blasting pressure. These programs offer linear model and nonlinear model. Linear model can properly simulate loss of impact wave in plastic failure region based on comparison of site vibration measurement and numerical analysis iteratively.
        523.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analyzed diurnal variations in the surface air temperature using the high density urban climate observation network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representative basin-type city in Korea, in summer, 2013. We used a total of 28 air temperature observation points data(16 thermometers and 12 AWSs). From the distribution of monthly average air temperature, air temperature at the center of Daegu was higher than the suburbs. Also, the days of daily minimum air temperature more than or equal to 25℃ and daily maximum air temperature more than or equal to 35℃ at the schools near the center of Daegu was more than those at other schools. This tendency appeared more clearly on the days of daily minimum air temperature more than or equal to 25℃. Also, the air temperature near the center of the city was higher than that of the suburbs in the early morning. Thus it was indicated that the air temperature was hard to decrease as the bottom of the basin. From these results, the influence of urbanization to the formation of the daily minimum temperature in Daegu was indicated.
        524.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 synoptic patterns of the spring (March to May) heavy rainfall events over Mt. Halla by the approach type of the warm conveyor belts around migratory extratropical cyclones. Analyses of synoptic atmospheric conditions show that the spring warm conveyor belts in the form of low-level jets appear at lower elevation than that in summer. Most of spring heavy rainfall events over Mt. Halla at the warning stages or watch result from forward-sloping ascent warm conveyors belts accompanying active convection. Particularly, the spring heavy rainfall events at the warning level over Mt. Halla is intensified by the elongation of the foreward-sloping ascent warm conveyor belts when the east high-west low pressure systems, the upper level jet in the northern region- southwesterly low level jet and the migratory low pressure system at mature stage heading for the Korean Peninsular are combined. These findings can be used in improving the predictability of the spring heavy rainfall events over Mt. Halla.
        525.
        2014.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학교생활기록부가 아동에 대한 평가자료 및 입시참고 자료로서의 그 중요성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의 작성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체험은 그동안 외면되어 왔던 경향이 있다. 이에 이 연구는 학교생활기록부 작성에 대한 교사들에 체험과 그것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현상학적 질적 연구방법이 사용되었으며 연구 참여자와의 인터뷰, 평가일지, 학교생활기록부 내용 등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로 학교생활기록부 작성과정 속에 내재 되어있는 의미로서 ‘학교생활기록부에 대한 교사의 의미규정’, ‘학교생활기록부 작성에 대한 부담감’, ‘학교생활기록부 작성전략’, ‘또 다른 학교생활기록부’, ‘학교생활기록부 작성경험이 교사에게 주는 영향’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바람직한 학교생활기록부 작성과 관련된 정책 및 제도 수립에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526.
        201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article we present the precise positions of XP and the finite verb moving to the functional categories in the Old English (OE) main clauses in association with the label algorithm advocated in Chomsky 2013. With V2 and V3 phenomena in Old English the previous studies did not show any consistent accounts on the moved positions of XP and the finite verb mingled with the status of OE pronouns in the main clauses. In the previous studies some proposed IP-V2 and others did CP-V2 in conjunction with the different status (clitic, weak pronoun or Agr clitic) of the OE Pronouns. In contrast we show a consistent account that XP moves to CP Spec and the finite verb moves to C in the OE V2 contexts including wh-clauses whereas XP moves to IP in the V3 clauses due to the label algorithm where the ϕ-feature of C and T makes two lexical items share prominent features in order to complete the labeling of CP and TP respectively.
        528.
        201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북한이탈청소년이 남한사회 적응과정에서 경험하는 인식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이들의 경험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가지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남한에 1년 이상 거주 중인 북한이탈청소년 6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참여자의 경험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고, 그 중에서도 Giorgi가 제시한 4가지의 단계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가 진술한 자료를 기초로 하여, 총 4개의 구성요소와 12개의 하위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북한이탈청소년이 남한사회에서 경험하는 인식의 변화는 ‘자기 자신에 대한 인식 변화’, ‘미래에 대한 인식 변화’, ‘남한사회에 대한 인식 변화’, ‘북한과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인식 변화’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북한이탈청소년이 남한사회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인식의 변화를 경험하는지를 밝힘으로써, 현재 남한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북한이탈청소년들을 이해하고 돕는 데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앞으로 더욱 증가할 북한이탈청소년들을 돕는 데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529.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에서 발생하는 산불의 원인은 자연적인 원인보다는 인위적인 원인이 대부분이지만 이와 같은 실화가 산림에 피해를 줄 정도로 발화·연소·확산되기 위해서는 바람, 습도, 기온 등과 같이 연소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상학적 조건이 중요하다. 즉, 작은 규모의 산불의 경우 실화 등의 인위적인 요인에 의해서 발생하지만, 산불이 사회·경제적으로 영향을 미칠 만큼 대규모로 발생하기 위해서는 산불이 발생하는 당시의 기상조건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불 발생일의 기상요소를 연도별, 규모별, 지역별로 구분하여 통계적 특성을 해석하고, 대형 산불을 유발한 기상학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발생하는 산불의 발화조건, 확대규모 예측 등의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2003년부터 2012년까지 남한전역의 산불 발생 지역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국내에서 발생하는 산불의 원인은 실화에 의한 것이 가장 많았고, 산불의 대형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강한 풍속과 낮은 습도이며, 이와 같은 기상 조건은 산불의 확산속도 및 진화 작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국내에서 발생한 산불의 주된 원인은 실화나 방화가 높으므로, 대형 산불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기상조건에서는 보다 강력한 규제가 마련되어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530.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에서는 최근 25년간의 우리나라 기상청 및 일본 기상청 자료를 사용하여 선박의 안전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태풍과 엘니 뇨․라니냐 현상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엘니뇨 발생년의 연평균 태풍 발생 수는 23.9개이고, 라니냐 발생년의 그것은 24.9개이다. 엘니뇨 발생년에 태풍의 발생 수가 감소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태풍의 세기를 나타내는 평균 중심최저기압과 평균 최대 풍속은 엘니뇨 발생년에 959.3hPa과 35.8m/s, 라니냐 발생년에 965.5hPa과 33.7m/s이었다. 즉, 엘니뇨 발생년의 태풍의 세기가 라니냐 발생년의 태풍의 세기보다 강함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평균 중심최저기압은 6.2hPa 낮고, 평균 최대풍속은 2.1m/s 강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태풍의 발생 해역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 즉, 엘니뇨 발생년에 태풍은 동경 150도 이동 해역과 북위 10도 이남 해역에서 상대적으로 더 많이 발생하 고, 라니냐 발생년의 태풍은 동경 120-150도 해역과 북위 20도 이북 해역에서 더 많이 발생한다. 동경 150도 이동 해역과 북위 10도 이남 해역 에서 발생한 태풍은 북태평양 서부의 광범위한 고수온역을 보다 장시간 이동하게 되므로 더 강력하게 발달할 수 있다.
        531.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and interpret weather phenomenon of American indian paintings. From earliest times, visual artists of many cultures have found inspiration for enduring works in weather and the cycle of the seasons. Sun and clouds, violent storms, rains, and snowfalls have been used by painters to evoke an array of human moods, to mirror human actions. Representations of weather in all its variety have also been to express ideals of beauty and ideas about the moral and physical relationships between humans and the natural world. Particularly, Indian painting was already an ancient art when Spanish conquistadors forded the Rio Grande and moved into the American Southwest. For untold centuries aboriginal artists had expressed their reactions to their native land in pictures carved in rock, engraved on bone, painted on hides, wood, pottery, and cotton cloth-even drawn in colored sand. I consider that the typical Indian painting is imaginative, symbolic, two-dimensional. Its style may vary from supernatural to abstract. Subjects range from archaic religious symbols to portrayals of everyday life, from stylized landscapes to spirited hunting scenes. Painters are continually inventing ways to combine symbols of sky, harvest, or life forms, or to depict a certain dance, events. Eventually, Indian paintings in the exhibition derive from the ancient Indian traditions, and both in subject matter and manner of execution make a valuable and unique contribution to the body of creative art in America.
        532.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spatio-temporal patterns of seasonal precipitation and extreme precipitation events around Mt. Halla (1,950m) and their associations with elevation and aspect are examined based on daily precipitation data for the recent decade(2003~2012) observed at 24 weather stations in Jeju Island. Regression analyses show that annul total precipitation and the annual frequency of extreme precipitation events exceeding 80mm of daily precipitation increase with height by approximately 242mm/100m and 1.0day/100m, respectively. Seasonally, extreme precipitation events over the high mountain area mostly occur in summer (June~August) and also appear in other seasons including winter (December~February). The frequency of annual or seasonal extreme precipitation events as well as precipitation is higher in the southeastern or northeastern slope than in the southwestern or northwestern slope of Mt. Halla. These patterns are associated with the flow direction of moist air that ascends the slope of Mt. Halla when anticlockwise circulation of low pressure systems prevails. These findings provide primary information for developing the proactive strategies to mitigate potential flooding in the low-elevated coastal areas by extreme precipitation events over Mt. Halla
        533.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나트로라이트(Na-제올라이트)의 탈수현상에 따른 변화와 특성을 라만 및 X-선 회절실험을 통하여 고온, 동시적인 고온-고압 하에서 특성을 확인하였다. 고온실험은 최고 온도범위에 따라 ~450℃까지 증온한 XRD 실험에서는 가역적 변화를 관찰하였고, ~630℃까지 증온한 라만분광실험에서는 포스트라트로라이트로 상전이하는 비가역적인 변화를 관찰하였다. 감온과정 약 380℃에서 포스트 나트로라이트 상이 나타나는 온도구간을 본 연구에서 새롭게 확인하였다. 동시적인 고온-고압 하(상온 〈 T 〈 300℃, 0 GPa 〈 P 〈 2.1 GPa)에서 나트로라이트 분광선의 이동은 관찰되지 않았다.
        534.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Historic Cul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Areas around Chosun Royal Tombs in Gyeonggi Province are larger than those around other Cultural Assets, so more efficient management tools on the Areas should be needed.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directions of policy to modify the existing management tools by analyzing the spatial extent and alteration standards of the 12 Historic Cul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Areas around Chosun Royal Tombs in Gyeonggi Provi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most cases, the spatial extents of the Areas are 500m, but the spatial extents should be precisely classified in Gyeonggi Ordinance of Cultural Assets Protection, and be excluded according to the layout of Protection Areas and roads. And the outside view from the inside is more important in Chosun Royal Tombs, so the areas on the axis of the view must be controled by considering the development density(bulk or height of buildings). Second, the same zoning areas must be classified as the same section of the Area allowing for equity, and Finally, the Current Conditions Permission Criteria should be actualized to take into account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velopment densities of zoning araes and the Criteria.
        535.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지속기간별(1-, 3-, 6-, 12-, 24개월)로 가장 가뭄이 심한 해의 5월 건조현상을 지역별로 분석하기 위해 1973년부터 2006년까지 우리나라 53개 기후관측지점에서 관측된 월별 기후자료를 이용하여 FAO Penman-Monteith 기준잠재증발산량(RET)을 산정하였다. 그리고 강수량(P)에 대한 RET의 비(P/RET)를 이용하여 건조지수(aridity index)와 P/RET의 변동지수(variation index, VI)를 산정하고, 표준강수지수(standard precipitation index, SPI)와 비교하였다. 우리나라 지역별 건조현상을 파악하기 위해 53개 기후관측지점을 20개 연구지역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지역별 건조지수의 추세분석을 위해 Mann-Kendall 추세분석, Spearman rank test 그리고 Sen's slope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각 지속기간별로 P/RET의 변동지수(VI)와 표준강수지수사이에 양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서 지속기간이 단기화 될수록 5월 기후가 더욱 건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3개월이나 6개월 지속기간의 경우 대부분 지역에서 유의하거나 혹은 유의하지 않은 수준에서 건조지수의 감소추세를 보였다. 반면에 12개월 및 24개월 지속기간의 경우 유의한 건조지수의 감소추세를 보이는 지역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536.
        201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자원시스템의 설계공급량을 결정하기 위한 평가지표의 선택은 수자원기술자가 직면한 중요한 문제이다. 대부분 신뢰도, 회복도 그리고 취약도를 대상으로 평가하게 된다. 그러나 각 지표 간에는 중복성이 있고 회복도와 취약도는 용수공급 여건이 나빠져도 개선되는 증감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실제 적용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인지하지 못하고 한번 계산된 추정치로 판단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런 현상에 대한 원인은 수자원시스템의 다양한 특성에 의해 나타나고 있는데 수문 및 수요의 계절적 변동성이 대표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댐 설계시 일반적으로 적용하고 있는 신뢰도 지표에 추가하여 다기준 적용을 위한 회복도 및 취약도의 적용성을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계절적 변동성이 큰 농업용수의 구성비율을 기준으로 7개댐을 선정하여 각 지표 간 상관성과 증감현상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중 일정량을 공급하는 용담댐은 일반적 추세를 보였으나 농업용수를 공급하는 충주, 안동 및 남강댐 등은 회복도와 취약도에서 증감현상이 뚜렷이 나타났다.
        538.
        2012.03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에서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실제 발화에서 어떤 음운이 첨가되어 나타나는지 살펴보기 위해 학습자의 발화를 수집하여 구어 사용 양상을 분석하였다. 또한 한국인 모국어 화자와의 차이도 알아보았다. 음운 첨가 양상을 자음과 모음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자음의 경우, ‘ㄱ, ㄴ, ㅁ, ㄹ’의 첨가가 나타났으며, 모음의 경우, ‘으’ 첨가만이 나타났다. 한국어 학습자의 목표가 한국어를 정확하게 학습하는 것과 더불어 한국어를 자연스럽고 유창하게 발화하는 것이므로 현대 한국인이 사용하는 구어의 양상을 파악하여 외국인 학습자에게도 교육할 필요가 있다. 그럼으로써 한국어 학습자와 모국어 화자 간에 자연스러운 의사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이를 위한 시도의 하나이다.